목차
1.두께
-실험 제목 및 부제
-실험 날짜와 실험실의 기후 환경
-공동 실험자
-실험 목적/의의
-실험 방법
-실험 결과
-실험에 대한 고찰/결론/느낌
2.밀도
-실험 제목 및 부제
-실험 날짜와 실험실의 기후 환경
-공동 실험자
-실험 목적/의의
-실험 방법
-실험 결과
-실험에 대한 고찰/결론/느낌
-실험 제목 및 부제
-실험 날짜와 실험실의 기후 환경
-공동 실험자
-실험 목적/의의
-실험 방법
-실험 결과
-실험에 대한 고찰/결론/느낌
2.밀도
-실험 제목 및 부제
-실험 날짜와 실험실의 기후 환경
-공동 실험자
-실험 목적/의의
-실험 방법
-실험 결과
-실험에 대한 고찰/결론/느낌
본문내용
가 및 실험
- 겉보기 비중과 함기율
3조
공동 실험자 :장윤정, 서경희, 문수경, 김형진, 정다영, 신재혁, 최누리, 양유진
116223 양유진
실험 제목 및 부제 : 겉보기 비중과 함기율
실험 날짜와 실험실의 기후 환경 : 2012.05.01 22°C
공동 실험자 : 장윤정, 서경희, 문수경, 김형진, 정다영, 신재혁, 최누리, 양유진
실험 목적 * 의의 : 겉보기 비중은 공기를 함유한 포의 체적에 대한 무게의 비율이며 섬유 자체의 체적에 대한 무게의 비율과는 다르다. 겉보기 비중은 단위 면적당 무게와 두께로부터 구하며 함기율은 겉보기 비중과 섬유 비중과의 비율에 의해 계산된다.
실험 장치와 재료 : Chemical Balance, 두께 측정기, 시료 (10cm x 10cm)
실험 방법
①포의 무게, 두께 그리고 면적을 측정하여 겉보기 비중을 구한다.
겉보기 비중은 단위 면적당 무게(W)와 두께(T)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W(g/cm²)
겉보기 비중 (g/cm³) = ---------
T(cm)
②섬유의 비중과 겉보기 비중으로부터 함기율은 구한다.
함기율은 포에 포함된 공기의 비율을 말하며, 포의 섬유의 비중(S₁)과 겉보기 비중(S₂)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S₁- S₂
함기율(%) = --------- X 100
S₁
시료
측정치
면
마
견
모
레이온
아세테이트
나일론
폴리
아크릴
시료의무게
1.427
1.417
1.181
1.73
0.913
1.092
0.559
1.034
1.135
두께
0.261
0.295
0.22
0.286
0.096
0.125
0.03
0.151
0.147
겉보기 비중
0.547
0.48
0.537
0.605
0.951
0.874
1.863
0.685
0.772
섬유 비중
1.54
1.5
1.25
1.3
1.5
1.32
1.14
1.23
1.16
함기율 (%)
64.5
68
57.04
53.46
36.6
33.8
0
44.3
33.45
실험에 대한 고찰 /결론 / 느낌
직물이나 편물 등은 공기를 함유하는 공간이 존재하는데, 직물이나 편물의 비중은 섬유 자체의 비중보다 작은 체적 중량의 값으로 되어있는 것을 겉보기 비중이라 한다.
함기율이란 섬유 안쪽에 공기를 보유할 수 있는 양을 말한다. 예를 들면 오리털 쿠션이나 점퍼를 보면 일반 솜에 비해 상당히 부풀어 있다. 그것은 오리털 사이에 공기가 많이 들어 있다는 것이다. 그것을 함기율이라고 한다. 따라서 함기율이 높은 섬유일수록 보온성이 뛰어나다.
겉보기 비중은W/T로 구하는데 나일론이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 그 이유는 나일론이 다른 섬유에 비해 현저하게 두께가 얇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두께와 무게 차이가 다른 섬유들에 비해 적다. 그에 비해 나일론의 함기율은 -63.4가 나오는데, 이유는 겉보기 비중이 섬유 비중보다 커 체적 중량의 값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함기율은 0이라는 답이 나온다. 반대로 겉보기 비중이 작은 섬유는 마와 모 섬유이다.
고로 함기율과 겉보기 비중은 반비례라는 결론이 나오게 된다.
- 겉보기 비중과 함기율
3조
공동 실험자 :장윤정, 서경희, 문수경, 김형진, 정다영, 신재혁, 최누리, 양유진
116223 양유진
실험 제목 및 부제 : 겉보기 비중과 함기율
실험 날짜와 실험실의 기후 환경 : 2012.05.01 22°C
공동 실험자 : 장윤정, 서경희, 문수경, 김형진, 정다영, 신재혁, 최누리, 양유진
실험 목적 * 의의 : 겉보기 비중은 공기를 함유한 포의 체적에 대한 무게의 비율이며 섬유 자체의 체적에 대한 무게의 비율과는 다르다. 겉보기 비중은 단위 면적당 무게와 두께로부터 구하며 함기율은 겉보기 비중과 섬유 비중과의 비율에 의해 계산된다.
실험 장치와 재료 : Chemical Balance, 두께 측정기, 시료 (10cm x 10cm)
실험 방법
①포의 무게, 두께 그리고 면적을 측정하여 겉보기 비중을 구한다.
겉보기 비중은 단위 면적당 무게(W)와 두께(T)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W(g/cm²)
겉보기 비중 (g/cm³) = ---------
T(cm)
②섬유의 비중과 겉보기 비중으로부터 함기율은 구한다.
함기율은 포에 포함된 공기의 비율을 말하며, 포의 섬유의 비중(S₁)과 겉보기 비중(S₂)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S₁- S₂
함기율(%) = --------- X 100
S₁
시료
측정치
면
마
견
모
레이온
아세테이트
나일론
폴리
아크릴
시료의무게
1.427
1.417
1.181
1.73
0.913
1.092
0.559
1.034
1.135
두께
0.261
0.295
0.22
0.286
0.096
0.125
0.03
0.151
0.147
겉보기 비중
0.547
0.48
0.537
0.605
0.951
0.874
1.863
0.685
0.772
섬유 비중
1.54
1.5
1.25
1.3
1.5
1.32
1.14
1.23
1.16
함기율 (%)
64.5
68
57.04
53.46
36.6
33.8
0
44.3
33.45
실험에 대한 고찰 /결론 / 느낌
직물이나 편물 등은 공기를 함유하는 공간이 존재하는데, 직물이나 편물의 비중은 섬유 자체의 비중보다 작은 체적 중량의 값으로 되어있는 것을 겉보기 비중이라 한다.
함기율이란 섬유 안쪽에 공기를 보유할 수 있는 양을 말한다. 예를 들면 오리털 쿠션이나 점퍼를 보면 일반 솜에 비해 상당히 부풀어 있다. 그것은 오리털 사이에 공기가 많이 들어 있다는 것이다. 그것을 함기율이라고 한다. 따라서 함기율이 높은 섬유일수록 보온성이 뛰어나다.
겉보기 비중은W/T로 구하는데 나일론이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 그 이유는 나일론이 다른 섬유에 비해 현저하게 두께가 얇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두께와 무게 차이가 다른 섬유들에 비해 적다. 그에 비해 나일론의 함기율은 -63.4가 나오는데, 이유는 겉보기 비중이 섬유 비중보다 커 체적 중량의 값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함기율은 0이라는 답이 나온다. 반대로 겉보기 비중이 작은 섬유는 마와 모 섬유이다.
고로 함기율과 겉보기 비중은 반비례라는 결론이 나오게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