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배드민턴의 역사
1)역사
2)한국의 기원
2.특성 및 효과
3.배드민턴의 예절
1)경기자의 예절
2)심판의 예절
3)관중들의 예절
4. 배드민턴 경기장
1) 배드민턴 코트
2) 네트와 장소
5. 배드민턴 용구
1) 셔틀콕
2) 라켓
3) 라켓을 쥐는 방법
4)복장
6. 경기방법
1)반칙
7. 서비스
1)셔틀콕 잡는는 법
2)포핸드 서브
3)백핸드 서브
4)서브의 목표
5)서브 시 주의사항
6)서브폴트
7)서브 리시브
8. 스트로크
9. 플라이트의 분류
10. 풋 워크
1)풋워크의 요령
2)풋워크의 유의점
3)풋워크의 효과
4)풋워크의 기본종류
11.준비운동과 정리운동
1)준비운동
2)정리운동
12.심판법
1)주심
2)부심
3)선심
4)심판의 종류
5)배드민턴 심판의 임무와 자세
13.국제경기
1)역사
2)한국의 기원
2.특성 및 효과
3.배드민턴의 예절
1)경기자의 예절
2)심판의 예절
3)관중들의 예절
4. 배드민턴 경기장
1) 배드민턴 코트
2) 네트와 장소
5. 배드민턴 용구
1) 셔틀콕
2) 라켓
3) 라켓을 쥐는 방법
4)복장
6. 경기방법
1)반칙
7. 서비스
1)셔틀콕 잡는는 법
2)포핸드 서브
3)백핸드 서브
4)서브의 목표
5)서브 시 주의사항
6)서브폴트
7)서브 리시브
8. 스트로크
9. 플라이트의 분류
10. 풋 워크
1)풋워크의 요령
2)풋워크의 유의점
3)풋워크의 효과
4)풋워크의 기본종류
11.준비운동과 정리운동
1)준비운동
2)정리운동
12.심판법
1)주심
2)부심
3)선심
4)심판의 종류
5)배드민턴 심판의 임무와 자세
13.국제경기
본문내용
있어야 함.(최소 1개 대회 이상은 해당 국가 이외에서 개최된 국제대회이여야 함)
만49세
미만
55세
올림픽, 아시안게임, 세계선수권대회등 모든 중요대회
2급
AFC 1급 이상인자로서 최소 5년 이상의 심판활동 실적이 있어야하며 그중 국제대회 심판기록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최소 1개대회 이상은 해당국가 이외에서 개최된 국제대회이어야 함)
만40세
미만
국제연맹이 주회하는 국제대회 심판
AFC LEVEL
(아시아 배드민턴 연맹)
1급
아시아연맹 2급 이상인자로서 만 1급취득후 2년 이상 심판실적이 있어야 함.
만49세
미만
아시아지역의 국제대회 심판
2급
국내 배드민턴 공인심판으로서 국제심판 응시자격이 있다고 판단하여 대한배드민턴협회에서 추천한 자
만40세
미만
일부 국제대회 심판
5)배드민턴 심판의 임무와 자세
* 경기의 흐름을 파악하여 선수들이 경기규칙에 따라 원활하게 경기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반드시 반칙을 적발하기 위해 존재한다고 하는 인식을 가져서는 안된다.
* 경기진행을 수행하는 데는 경기규칙을 명확히 숙지하여 정확하게 판단되었을 때 분명하고 신속하게 판정하여 양 선수가 심판의 잘못으로 경기의 흐름이나 승패가 좌우되는 불공정한 판정은 없어야 한다.
* 심판은 주심과 부심 그리고 선심으로 구분되며 각자 맡은 바 책임 한계를 분명히 알고 이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 주심은 이를 수행하는데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Referee와 상의하여 교체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경기규칙을 적용하는데 의문이 생길 때에도 Referee에게 도움을 받아 최정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 임무를 부여받은 경기는 물론 휴식시간에도 항상 선수들에 대한 연구를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
* 경기 전에 Referee가 주체하는 회의에 참가하여 대회의 전반적인 정보와 지시를 명확히 알고 수행하여야 하며 경기후 Referee의 확인을 받은 후 경기진행석에 전달하여야 한다.
* 이외에 경기장 내에서 발생하는 부상등의 모든 상황을 Referee와 협조하여 부여받은 임무를 원활하게 수행하여야 한다.
* 평상시 품행을 단정히 하며 심판으로서 품위를 유지하여야 한다.
* 대한배드민턴협회의 심판 임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1년 100회 이상의 심판실적이 있어야 하며 2년에 한번씩 협회가 주최하는 강습회에 참가하여 최근이 정보와 보수 교육을 받아야 한다.
13.국제경기하계올림픽경기대회에서는 1972년 제20회 뮌헨대회에서 시범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단식·복식, 여자 단식, 혼합 복식 등 4개 세부 종목의 경기를 치렀다. 이후 중단되었다가 1988년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에서 다시 시범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단식·복식, 여자 단식·복식, 혼합 복식 등 5개 세부 종목의 경기를 치렀고, 1992년 제25회 바르셀로나대회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단식·복식과 여자 단식·복식 등 4개 세부 종목의 경기를 치렀다. 1996년 제26회 애틀랜타대회부터 혼합 복식이 추가되어 5개 세부 종목의 경기가 열리고 있다. 한편, 아시아경기대회에서는 남자 단식·복식과 단체전, 여자 단식·복식과 단체전, 혼합 복식 등 7개 세부 종목의 경기를 치른다. 올림픽 외에 세계배드민턴연맹(Badminton World Federation;BWF)이 주관하는 주요 국제대회는 세계배드민턴선수권대회(BWF World Championships), 토머스컵(The Thomas Cup) 대회, 우버컵(The Uber Cup) 대회, 수디르만컵(The Sudirman Cup) 대회, 월드 슈퍼시리즈(BWF World Superseries), 세계청소년배드민턴선수권대회 등이 있다.세계배드민턴선수권대회는 1977년 창설된 뒤 1983년 제3회 대회까지 3년 주기로 개최되다가 1985년 제4회 대회부터 2년 주기로 홀수 연도에 개최되었고, 2005년 제14회 대회부터 올림픽이 열리는 해를 제외하고 매년 개최되고 있다. 남자 단식·복식, 여자 단식·복식과 혼합 복식 5종목의 경기를 토너먼트 방식으로 치른다. 한국의 박주봉이 남자 복식 2회, 혼합 복식 3회 우승으로 가장 많은 5개의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로 기록되었다.토머스컵 대회는 세계남자단체배드민턴선수권대회라고도 한다. 1949년에 창설된 뒤 3년마다 열리다가 1982년부터 2년마다 열리고 있다. 대회 명칭은 세계배드민턴연맹의 전신인 국제배드민턴연맹(International Badminton Federation;IBF) 초대 회장을 지낸 조지 앨런 토머스(George Alan Thomas)의 이름을 딴 것이다.
유버컵 대회는 세계여자단체배드민턴선수권대회라고도 한다. 1957년에 창설된 뒤 3년마다 열리다가 1984년부터 2년마다 열리고 있다. 대회 명칭은 전영오픈배드민턴선수권대회에서 총 13회 우승을 차지한 영국의 베티 우버(Betty Uber)의 이름을 딴 것이다.토머스컵과 유버컵 대회는 각 대륙별로 예선을 실시하여 본선에 진출할 12개국을 각각 선발한다. 본선에서는 12개 팀이 3개 조로 나뉘어 조별 풀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 뒤 상위 8개 팀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자를 가린다.수디르만컵 대회는 세계혼합단체배드민턴선수권대회라고도 하며, 1989년에 창설된 뒤 2년마다 열리고 있다. 대회 명칭은 인도네시아배드민턴연맹를 설립한 딕 수디르만(Dick Sudirman)의 이름을 딴 것이다. 남자 단식·복식, 여자 단식·복식과 혼합 복식으로 팀을 이루어 먼저 3종목에서 승리한 팀이 상위 단계로 올라가는 방식이다. 풀리그 방식으로 예선을 치른 뒤 상위 2개 팀이 본선에 진출하고, 준준결승부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월드슈퍼시리즈 대회는 2007년에 창설되었다. 1년 동안 코리아오픈·말레이시아오픈·전영오픈·인도오픈·인도네시아오픈·싱가포르오픈·중국마스터즈·일본오픈·덴마크오픈·프랑스오픈·중국오픈·홍콩오픈 등 12개 오픈 대회를 치른 뒤 12월에 랭킹 1~8위만 참가하는 슈퍼시리즈 파이널 경기를 치러 최종 우승자를 가린다. 2011년부터 12개 오픈 대회 가운데 상금 규모가 큰 5개 대회(코리아오픈·전영오픈·인도네시아오픈·덴마크오픈·중국오픈)를 슈퍼시리즈 프리미어 대회라고 한다.
만49세
미만
55세
올림픽, 아시안게임, 세계선수권대회등 모든 중요대회
2급
AFC 1급 이상인자로서 최소 5년 이상의 심판활동 실적이 있어야하며 그중 국제대회 심판기록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최소 1개대회 이상은 해당국가 이외에서 개최된 국제대회이어야 함)
만40세
미만
국제연맹이 주회하는 국제대회 심판
AFC LEVEL
(아시아 배드민턴 연맹)
1급
아시아연맹 2급 이상인자로서 만 1급취득후 2년 이상 심판실적이 있어야 함.
만49세
미만
아시아지역의 국제대회 심판
2급
국내 배드민턴 공인심판으로서 국제심판 응시자격이 있다고 판단하여 대한배드민턴협회에서 추천한 자
만40세
미만
일부 국제대회 심판
5)배드민턴 심판의 임무와 자세
* 경기의 흐름을 파악하여 선수들이 경기규칙에 따라 원활하게 경기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반드시 반칙을 적발하기 위해 존재한다고 하는 인식을 가져서는 안된다.
* 경기진행을 수행하는 데는 경기규칙을 명확히 숙지하여 정확하게 판단되었을 때 분명하고 신속하게 판정하여 양 선수가 심판의 잘못으로 경기의 흐름이나 승패가 좌우되는 불공정한 판정은 없어야 한다.
* 심판은 주심과 부심 그리고 선심으로 구분되며 각자 맡은 바 책임 한계를 분명히 알고 이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 주심은 이를 수행하는데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Referee와 상의하여 교체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경기규칙을 적용하는데 의문이 생길 때에도 Referee에게 도움을 받아 최정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 임무를 부여받은 경기는 물론 휴식시간에도 항상 선수들에 대한 연구를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
* 경기 전에 Referee가 주체하는 회의에 참가하여 대회의 전반적인 정보와 지시를 명확히 알고 수행하여야 하며 경기후 Referee의 확인을 받은 후 경기진행석에 전달하여야 한다.
* 이외에 경기장 내에서 발생하는 부상등의 모든 상황을 Referee와 협조하여 부여받은 임무를 원활하게 수행하여야 한다.
* 평상시 품행을 단정히 하며 심판으로서 품위를 유지하여야 한다.
* 대한배드민턴협회의 심판 임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1년 100회 이상의 심판실적이 있어야 하며 2년에 한번씩 협회가 주최하는 강습회에 참가하여 최근이 정보와 보수 교육을 받아야 한다.
13.국제경기하계올림픽경기대회에서는 1972년 제20회 뮌헨대회에서 시범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단식·복식, 여자 단식, 혼합 복식 등 4개 세부 종목의 경기를 치렀다. 이후 중단되었다가 1988년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에서 다시 시범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단식·복식, 여자 단식·복식, 혼합 복식 등 5개 세부 종목의 경기를 치렀고, 1992년 제25회 바르셀로나대회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단식·복식과 여자 단식·복식 등 4개 세부 종목의 경기를 치렀다. 1996년 제26회 애틀랜타대회부터 혼합 복식이 추가되어 5개 세부 종목의 경기가 열리고 있다. 한편, 아시아경기대회에서는 남자 단식·복식과 단체전, 여자 단식·복식과 단체전, 혼합 복식 등 7개 세부 종목의 경기를 치른다. 올림픽 외에 세계배드민턴연맹(Badminton World Federation;BWF)이 주관하는 주요 국제대회는 세계배드민턴선수권대회(BWF World Championships), 토머스컵(The Thomas Cup) 대회, 우버컵(The Uber Cup) 대회, 수디르만컵(The Sudirman Cup) 대회, 월드 슈퍼시리즈(BWF World Superseries), 세계청소년배드민턴선수권대회 등이 있다.세계배드민턴선수권대회는 1977년 창설된 뒤 1983년 제3회 대회까지 3년 주기로 개최되다가 1985년 제4회 대회부터 2년 주기로 홀수 연도에 개최되었고, 2005년 제14회 대회부터 올림픽이 열리는 해를 제외하고 매년 개최되고 있다. 남자 단식·복식, 여자 단식·복식과 혼합 복식 5종목의 경기를 토너먼트 방식으로 치른다. 한국의 박주봉이 남자 복식 2회, 혼합 복식 3회 우승으로 가장 많은 5개의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로 기록되었다.토머스컵 대회는 세계남자단체배드민턴선수권대회라고도 한다. 1949년에 창설된 뒤 3년마다 열리다가 1982년부터 2년마다 열리고 있다. 대회 명칭은 세계배드민턴연맹의 전신인 국제배드민턴연맹(International Badminton Federation;IBF) 초대 회장을 지낸 조지 앨런 토머스(George Alan Thomas)의 이름을 딴 것이다.
유버컵 대회는 세계여자단체배드민턴선수권대회라고도 한다. 1957년에 창설된 뒤 3년마다 열리다가 1984년부터 2년마다 열리고 있다. 대회 명칭은 전영오픈배드민턴선수권대회에서 총 13회 우승을 차지한 영국의 베티 우버(Betty Uber)의 이름을 딴 것이다.토머스컵과 유버컵 대회는 각 대륙별로 예선을 실시하여 본선에 진출할 12개국을 각각 선발한다. 본선에서는 12개 팀이 3개 조로 나뉘어 조별 풀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 뒤 상위 8개 팀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자를 가린다.수디르만컵 대회는 세계혼합단체배드민턴선수권대회라고도 하며, 1989년에 창설된 뒤 2년마다 열리고 있다. 대회 명칭은 인도네시아배드민턴연맹를 설립한 딕 수디르만(Dick Sudirman)의 이름을 딴 것이다. 남자 단식·복식, 여자 단식·복식과 혼합 복식으로 팀을 이루어 먼저 3종목에서 승리한 팀이 상위 단계로 올라가는 방식이다. 풀리그 방식으로 예선을 치른 뒤 상위 2개 팀이 본선에 진출하고, 준준결승부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월드슈퍼시리즈 대회는 2007년에 창설되었다. 1년 동안 코리아오픈·말레이시아오픈·전영오픈·인도오픈·인도네시아오픈·싱가포르오픈·중국마스터즈·일본오픈·덴마크오픈·프랑스오픈·중국오픈·홍콩오픈 등 12개 오픈 대회를 치른 뒤 12월에 랭킹 1~8위만 참가하는 슈퍼시리즈 파이널 경기를 치러 최종 우승자를 가린다. 2011년부터 12개 오픈 대회 가운데 상금 규모가 큰 5개 대회(코리아오픈·전영오픈·인도네시아오픈·덴마크오픈·중국오픈)를 슈퍼시리즈 프리미어 대회라고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