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방광경
검사목적 및 적응
① 방사선 검사 특히 하행성 요로 조영술 결과가 비정상이거나 결론내리기 어려울 때 하부
요로를 시진하여 진단하기 위해
② 조직생검과 검사실 분석을 통해 방광의 병소가 양성인지 악성인지 구분하기 위해
③ 빈뇨, 야뇨증, 긴박뇨, 배뇨곤란, 요의 찔끔거림, 소변이 금방 안 나오는 것 (hesitancy), 실금 등 배뇨양상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④ 원인불명의 혈뇨가 있어 문제의 근원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⑤ 약물을 투여해도 효과가 없이 요로 감염이 지속되어 문제의 근원을 알기 위해
⑥ 전립선 비대와 폐색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요도와 방광경부를 보고 경요도
(transurethral) 전립선 절제술을 하기 위해
⑦ 종양, 용종, 이중 요도같은 선천적 기형, 요관낭종, 요도나 요관협착, 게실, 염증이나 궤양 부위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⑧ 방광이나 요관에서 작은 신결석을 제거하기 위해
⑨ 방광에서 용종과 작은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
⑩ 각각의 요관 카테터로 소변 검사물을 채취해서 각각의 신장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⑪ 요도와 요관의 협착을 넓히기 위해
⑫ 신우에서 소변이 배액되도록 요관 카테터(요관경)를 장치하거나 역행성 신우 촬영을 위 해 : 결장절제 같은 외과적 절차에 앞서 요관 스텐트(stent)를 장치하기 위해
⑬ 하부 요로 출혈부위의 고주파 요법(fulguration) 및 혈병을 평가하기 위해
⑭ 방광암에 방사성 시드(seeds)를 심기 위해
※ 금기
① 출혈장애 : 기구를 삽입하는 것이 하부 요로에서 과도한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② 급성 방광염이나 요도염 : 기구를 삽입하는 것이 세균을 혈류로 들어가게 하고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검사 전 간호
1) 대상자 준비 대상자 교육 :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다음을 설명한다.
① 검사의 목적
② 검사를 하게 될 장소(방광경 방)
③ 의사가 검사를 한다는 것
④ 역행성 신우 촬영 혹은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같이 검사의 목적과 형태에 따라 30분 혹은
-- 그 이상이 소요된다는 것
⑤ 전신마취나 척수마취를 할 경우 검사 8시간 전부터 음식과 수분 섭취를 제한하고, 국소
-- 마취를 할 경우에는 검사 8시간 전부터 맑은 액체만 섭취하도록 한다
⑥ 대상자의 연령과 검사의 종류에 따라 국소, 전신 혹은 척수마취제를 투여한다
⑦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검사 전후에 항생제를 투여한다
⑧ 방광을 보기 위하여 현미경 같은 특별한 기구를 요도로 삽입한다는 것
⑨ 국소마취를 했을 경우 검사할 때 압박감이나 요의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
⑩ 전신마취를 할 경우 심호흡을 비롯한 수술 후 활동들을 가르친다
⑪ 검사 후에 활력징후와 소변 배설량을 면밀히 감시한다
⑫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을 할경우 카테터를 남겨 두어 세척할 수 있는 장치를 부착
⑬ 검사 후 처음 몇 번은 배뇨를 할 때 따갑거나 불편할 수 있으며 처음과 둘째 배뇨시 소 변에 혈액이 섞일 것이라는 것
신체준비
① 비뇨 생식기의 감염, 출혈장애 혹은 기타 요로장애에 대한 간호력을 조사한다.
② CBC, 혈소판 수치, PT, PTT 등을 포함하여 혈액학적 상태와 혈액응고 능력을 확인하고 요분석 결과가 비정상인지 확인한다.
③ 투여할 마취제의 형태에 따라 식이와 수분 섭취를 제한했는지 확인한다.
④ 처방이 나면 관장을 한다.
⑤ 옷을 벗고 검사용 가운을 입도록 도와준다.
⑥ 소변을 보게 한다.
⑦ 검사 전 기본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⑧ 처방대로 항생제를 투여한다.
⑨ 처방대로 검사 전 투약을 피하나 근육으로 준다. 검사 전 투약에는 이완을 증진시키기
위한 meperidine 과 분비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atropine sulfate등이 포함된다.
검사후 간호
① 검사 후 활력징후, 호흡음, 안위수준을 관찰한다.
② 국소마취제를 투여한 경우에는 앙와위로 수분간 쉬게 한 후 천천히 일어나도록 주의를
주고, 기립성 저혈압으로 인한 현기증이 있는지 관찰한다.
③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검사 전과 비교한다.
④ 정상 배뇨 양상으로 회복여부, 배뇨 시간과 양, 소변의 양상을 사정한다.
⑤ 방광경련이 일어나면 항콜린제를 투여한다.
⑥ 부종에 의한 배뇨곤란에는 phenazopyridine(Pyridium) 같은 진통제를 주고, 어른은
따뜻한 좌욕을, 어린이는 통목욕을 하도록 한다.
⑦ 음식과 수분을 다시 섭취하도록 하고 금기가 아니라면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⑧ 옆구리나 치골 상부에 통증이 있거나 혈뇨가 계속되거나 배뇨가 어렵거나 배뇨 양상의
변화가 계속될 때, 열이나 오한이 있을 때 보고하도록 한다.
⑨ 요로 감염 : 균혈증이 의심되면 배뇨시 작열감이나 빈뇨가 있는지, 소변이 혼탁하거나
나쁜 냄새가 나는지, 배양 검사 결과가 양성인지, 오한과 열이 있는지 관찰하여 보고한다.
처방대로 항균제를 투여한다. 검사한 지 24시간 이내에 3000ml까지 수분을 섭취시켜서
소변을 희석시킨다.
대상자에게 어떤 음식과 약물이 방광을 자극하는지, 어떤 음료가 소변을 산성으로 기울게
하는지 가르친다.
⑩ 요정체 : 소변이 찔끔거리며 새는 것, 소변이 금방 나오지 않는 것, 소변이 소량씩 자주
나오는 것 혹은 방광팽만이 있는지 관찰하고 보고한다.
잔뇨량을 조사할 도뇨 준비를 한다. 방광의 수축을 자극하기 위해 베타네콜(Urecholine)
같은 콜린제를 투여한다. 수분 섭취를 3000ml까지 증가시키고 검사 후 적어도 24시간
동안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⑪ 출혈 : 생검을 했을 경우 가능하면 4시간 동안 안정을 취하고 과도하고 지속적인 혈뇨 와 그 양, 저혈량증을 암시하는 활력징후의 변화들을 관찰하여 보고한다.
⑫ 방광 천공 : 치골 상부의 통증이나 과도한 혈뇨가 있는지 관찰하여 보고한다.
⑬ 요관이나 요도카테터의 폐색 : 배액곤란이 있는지 보고한다. 카테터가 꼬이거나 눌리지
않게 하고, 개존상태를 유지하여 폐쇄 수집 장치에 연결한다. 처방이 있을 때만 카테터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양의 용액으로 세척을 한다. 멸균된 폐쇄 체계를 유지하고 카테터
삽입 부위를 적절하게 관리한다.
검사목적 및 적응
① 방사선 검사 특히 하행성 요로 조영술 결과가 비정상이거나 결론내리기 어려울 때 하부
요로를 시진하여 진단하기 위해
② 조직생검과 검사실 분석을 통해 방광의 병소가 양성인지 악성인지 구분하기 위해
③ 빈뇨, 야뇨증, 긴박뇨, 배뇨곤란, 요의 찔끔거림, 소변이 금방 안 나오는 것 (hesitancy), 실금 등 배뇨양상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④ 원인불명의 혈뇨가 있어 문제의 근원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⑤ 약물을 투여해도 효과가 없이 요로 감염이 지속되어 문제의 근원을 알기 위해
⑥ 전립선 비대와 폐색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요도와 방광경부를 보고 경요도
(transurethral) 전립선 절제술을 하기 위해
⑦ 종양, 용종, 이중 요도같은 선천적 기형, 요관낭종, 요도나 요관협착, 게실, 염증이나 궤양 부위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⑧ 방광이나 요관에서 작은 신결석을 제거하기 위해
⑨ 방광에서 용종과 작은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
⑩ 각각의 요관 카테터로 소변 검사물을 채취해서 각각의 신장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⑪ 요도와 요관의 협착을 넓히기 위해
⑫ 신우에서 소변이 배액되도록 요관 카테터(요관경)를 장치하거나 역행성 신우 촬영을 위 해 : 결장절제 같은 외과적 절차에 앞서 요관 스텐트(stent)를 장치하기 위해
⑬ 하부 요로 출혈부위의 고주파 요법(fulguration) 및 혈병을 평가하기 위해
⑭ 방광암에 방사성 시드(seeds)를 심기 위해
※ 금기
① 출혈장애 : 기구를 삽입하는 것이 하부 요로에서 과도한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② 급성 방광염이나 요도염 : 기구를 삽입하는 것이 세균을 혈류로 들어가게 하고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검사 전 간호
1) 대상자 준비 대상자 교육 :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다음을 설명한다.
① 검사의 목적
② 검사를 하게 될 장소(방광경 방)
③ 의사가 검사를 한다는 것
④ 역행성 신우 촬영 혹은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같이 검사의 목적과 형태에 따라 30분 혹은
-- 그 이상이 소요된다는 것
⑤ 전신마취나 척수마취를 할 경우 검사 8시간 전부터 음식과 수분 섭취를 제한하고, 국소
-- 마취를 할 경우에는 검사 8시간 전부터 맑은 액체만 섭취하도록 한다
⑥ 대상자의 연령과 검사의 종류에 따라 국소, 전신 혹은 척수마취제를 투여한다
⑦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검사 전후에 항생제를 투여한다
⑧ 방광을 보기 위하여 현미경 같은 특별한 기구를 요도로 삽입한다는 것
⑨ 국소마취를 했을 경우 검사할 때 압박감이나 요의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
⑩ 전신마취를 할 경우 심호흡을 비롯한 수술 후 활동들을 가르친다
⑪ 검사 후에 활력징후와 소변 배설량을 면밀히 감시한다
⑫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을 할경우 카테터를 남겨 두어 세척할 수 있는 장치를 부착
⑬ 검사 후 처음 몇 번은 배뇨를 할 때 따갑거나 불편할 수 있으며 처음과 둘째 배뇨시 소 변에 혈액이 섞일 것이라는 것
신체준비
① 비뇨 생식기의 감염, 출혈장애 혹은 기타 요로장애에 대한 간호력을 조사한다.
② CBC, 혈소판 수치, PT, PTT 등을 포함하여 혈액학적 상태와 혈액응고 능력을 확인하고 요분석 결과가 비정상인지 확인한다.
③ 투여할 마취제의 형태에 따라 식이와 수분 섭취를 제한했는지 확인한다.
④ 처방이 나면 관장을 한다.
⑤ 옷을 벗고 검사용 가운을 입도록 도와준다.
⑥ 소변을 보게 한다.
⑦ 검사 전 기본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⑧ 처방대로 항생제를 투여한다.
⑨ 처방대로 검사 전 투약을 피하나 근육으로 준다. 검사 전 투약에는 이완을 증진시키기
위한 meperidine 과 분비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atropine sulfate등이 포함된다.
검사후 간호
① 검사 후 활력징후, 호흡음, 안위수준을 관찰한다.
② 국소마취제를 투여한 경우에는 앙와위로 수분간 쉬게 한 후 천천히 일어나도록 주의를
주고, 기립성 저혈압으로 인한 현기증이 있는지 관찰한다.
③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검사 전과 비교한다.
④ 정상 배뇨 양상으로 회복여부, 배뇨 시간과 양, 소변의 양상을 사정한다.
⑤ 방광경련이 일어나면 항콜린제를 투여한다.
⑥ 부종에 의한 배뇨곤란에는 phenazopyridine(Pyridium) 같은 진통제를 주고, 어른은
따뜻한 좌욕을, 어린이는 통목욕을 하도록 한다.
⑦ 음식과 수분을 다시 섭취하도록 하고 금기가 아니라면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⑧ 옆구리나 치골 상부에 통증이 있거나 혈뇨가 계속되거나 배뇨가 어렵거나 배뇨 양상의
변화가 계속될 때, 열이나 오한이 있을 때 보고하도록 한다.
⑨ 요로 감염 : 균혈증이 의심되면 배뇨시 작열감이나 빈뇨가 있는지, 소변이 혼탁하거나
나쁜 냄새가 나는지, 배양 검사 결과가 양성인지, 오한과 열이 있는지 관찰하여 보고한다.
처방대로 항균제를 투여한다. 검사한 지 24시간 이내에 3000ml까지 수분을 섭취시켜서
소변을 희석시킨다.
대상자에게 어떤 음식과 약물이 방광을 자극하는지, 어떤 음료가 소변을 산성으로 기울게
하는지 가르친다.
⑩ 요정체 : 소변이 찔끔거리며 새는 것, 소변이 금방 나오지 않는 것, 소변이 소량씩 자주
나오는 것 혹은 방광팽만이 있는지 관찰하고 보고한다.
잔뇨량을 조사할 도뇨 준비를 한다. 방광의 수축을 자극하기 위해 베타네콜(Urecholine)
같은 콜린제를 투여한다. 수분 섭취를 3000ml까지 증가시키고 검사 후 적어도 24시간
동안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⑪ 출혈 : 생검을 했을 경우 가능하면 4시간 동안 안정을 취하고 과도하고 지속적인 혈뇨 와 그 양, 저혈량증을 암시하는 활력징후의 변화들을 관찰하여 보고한다.
⑫ 방광 천공 : 치골 상부의 통증이나 과도한 혈뇨가 있는지 관찰하여 보고한다.
⑬ 요관이나 요도카테터의 폐색 : 배액곤란이 있는지 보고한다. 카테터가 꼬이거나 눌리지
않게 하고, 개존상태를 유지하여 폐쇄 수집 장치에 연결한다. 처방이 있을 때만 카테터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양의 용액으로 세척을 한다. 멸균된 폐쇄 체계를 유지하고 카테터
삽입 부위를 적절하게 관리한다.
추천자료
당뇨병 케이스
폐수종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 신경외과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 정형외과 케이스 스터디
상부위장관출혈 대상자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 외과 케이스 스터디 (위암)
Gastric ca. 위암 케이스
위암 케이스 스터디 (stomach cancer case study)
[성인간호]GS병동-위암케이스(stomach cancer casestudy)
[소아과 케이스 컨퍼런스 (Case Conference)] 폐렴 (pneumonia)
Rectal Cancer 직장암 케이스 A+
<성인간호학 실습> 일반외과 케이스 스터디 : Gastric Cancer
성인간호실습 컨퍼런스(케이스) 간암(Liver Cancer) 입니다
간경변 간호 케이스 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