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실습 컨퍼런스(케이스) 간암(Liver Cancer) 입니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실습 컨퍼런스(케이스) 간암(Liver Cancer) 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원인
3. 임상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와 간호
6. 일반적 사항
8. 활동과 휴식
9. 순환기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10. 인지/지각
11. 랩
12. 약물
13. 활력징후
14. 간호과정
15. 참고문헌

본문내용

산증, BUN 상승, 발기부전
인트랙정 12.5mg
혈압강하제
베타차단제
본태고혈압, 만성 안정협심증, 울혈성 심부전
이뇨제, 디기탈리스 제제, ACE 억제제, 기타 혈관확장제 투여시 보조치료
어지럼, 두통, 피로, 무력, 서맥. 쇼크, 심부전
라비에트정
20mg
소화성궤양용제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GERD
발진, 두드러기, 가려움, 혈소판 감소,
포리부틴정 150mg
위장관 조절제, 항팽만제, 항염증제
식도 역류 및 열공헤르니아, 위·십이지장염,위·십이지장궤양에 있어서의 소화기능이상
비감염성 장관통과장애(변비, 설사)
드물게 변비, 설사, 복명, 구역, 구토, 소화장애, 구갈, 구내마비감, 심계항진, 피로감, 두통, GOT, GPT 상승
큐란주사 50mg,2ml
제산제
항역류제
항궤양제
위·십이지장궤양, 졸링거 엘리슨증후군, 역류성식도염, 마취전 투약
드물게 쇼크, 변비 서맥, 변비, 식욕부진, 구역, 구토 등
맥페란주사액 2ml
위장관 조절제
항팽만제
항염증제
OP후 구역구토 예방
방사선요법 유발 구역·구토 예방, 구역·구토 증상의 치료
드물게 쇼크, 말린증후군, 수지진전, 근경직
듀파락 이지시럽
1ml
하제
준하제
만성변비, 영·유아 및 소아의 변비, 분만 후의 변비
1주 정도 복용하여도 변비의 개선이 없을 경우 복용 중지
배변 습관의 갑작스련 번화 감지시 상담
과량복용시 복부 경련 및 설사, 전해질 손실
안티비오캡슐 300mg
지사제
정장, 변비, 묽은 변, 복부팽만감, 장내 이상발효
1개월 정도 복용하여도 증상의 개선이 없을 경우 복용 중지
(마)코데인정 20mg
마약성 진통제
기침 감기용제
기관지염, 폐렴, 후두염, 기관지천식, 기타 호흡기 질환에 동반되는 기침의 진정
통증의 완화
약물의존성, 호흡억제, 착란, 건망, 무기폐, 기관지 경련, 구역, 구토, 변비, 부정맥, 배뇨장애
우루사정 100mg
이담제
담석용해제
간보호제
담즘분비 부전으로 오는 간질환, 담도게 질환, 만성 간질환 기능 개선, 소화불량
때때로 설사, 구역, 구토, 드물게 배아픔, 변비, 가슴쓰림, 위부불쾌괌
트로미솔주 250ml
비경구
영양제제
급·만성 간장애에 의한 뇌증의 개선, 간장애 환자의 아미노산 보급
드물게 발진, 구역, 구토, 흉부불쾌감, 심게항진, 빈맥, 혈압상승, 말초혈관확장증
대사성 산증, 고혈당, 당뇨병, 탈수증, 간효소 상승, 전해질 불균형, BUN상승
훼로바 유(부광) 80mg
빈혈용제
임산부용
비타민 제제
철 결핍성 빈혈의 예방 및 치료
두드러기, 가려움, 구토, 설사, 열, 혼수, 때때로 AST, ALT 상승, 변비, 식용부진, 흑변
타미풀주
혼합 비타민제
수액제로 영양을 공급받는 환자의 비타민 유지요법
다음과 같은 환자에서 비타민 결핍 예방 : 외과수술시, 중증화상, 골절 및 기타외상
과량투여시 비타민 A 및 D 에 대한 과민반응
쇼크, 아나필락시스 증상
대한생리식염주사액 20ml
혈액대용제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대량·급속투여에 의해 울혈성 심부전, 부종, 산증, 혈청전해질 이상
5% 포도당주사액 500cc
정주용
기타 멸균용제
수분결핍시 수분 보급
주사제의 용해희석제
대량급속투여시 전해질 상실
저칼륨혈증, 고장성혼수, 산증
고삼투압증, 탈수증
활력징후
활력징후
날짜
7.3
12:00
7.5
12:00
7.6
12:00
BP(mmHg)
120/90
100/60
100/60
T(℃)
37.1
36.8
37.1
P
64
88
82
R
20
20
20
SaO2
96
96
96
간호과정
사정
주관적 자료/객관적 자료
“어지러워...머리가 띵해”
낙상위험사정 점수 78점
항목
정상범위
6/19
7/3
7/5
WBC
4500-10000mm³
2340▼
3250▼
5870
RBC
4.2-5.7g/dL(10^6)
3.85▼
3.57▼
3.49▼
Hb
14-18.0g/dL
10.1▼
12▼
11.6▼
Hct
38-51%
28.3▼
33.5▼
31.9▼
진단
어지러움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목표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계획
계획
이론적 근거
1. 환자와 보호자에게 낙상 예방 간호 교육을 시행한다
① 모든 환자 침상과 화장실, 욕실 등에는 낙상 주의 표시를 하고 화장실 바닥 물기를 제거한다.
② 환자가 누워있을 땐 침대 사이드 레일을 올리고 올리는 방법을 교육한다.
③ 침대 바퀴를 고정시키고 고정시키는 방법을 교육한다.
④ 환자 거동시 간호사나 보호자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간호사 비상벨 쓰는법 교육 병행)
⑤ 신발은 크기가 잘 맞고 신발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 신발을 신는다
⑥ 필요시 억제대를 사용하고 억제대 사용 하는 방법을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① 낙상 주의 표시를 함으로써 보호자나 면회자, 환자 본인도 낙상을 당하지 않도록 조심 할 수 있다. 화장실 바닥에 물기가 있으면 미끄러질 수 있다.
② 사이드 레일을 올리면 환자가 침대에서 굴러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③ 잠금장치를 안하면 침대가 쉽게 움직여져서 환자가 떨어질 위험이 있다.
④ 환자가 스스로 자기 몸의 통제가 어려운 경우 주위에서 도움을 받지 않으면 낙상을 당할 위험이 있다.
⑤ 신발이 환자의 몸에 맞지 않거나 바닥이 미끄러울 경우 보행 중 넘어질 위험이 있다.
⑥ 환자가 지병이나 기타 다른 문제로 환자의 몸의 통제가 불가능할 경우 억제대를 사용하여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한다
수행
1. 침상, 화장실, 휠체어, 욕실에 낙상주의 표지판을 부착하였다.
2. 침대 사이드레일을 올려드리고 올리는 방법을 보호자와 환자에게 교육하였다.
3. 침대 바퀴를 고정시키고 고정시키는 방법과 푸는 방법을 보호자와 환자에게 교육하였다.
4. 간호사 비상벨 쓰는 방법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보호자에게 환자 혼자서 움직이지 못하게 하도록 교육하였다.
5. 발 사이즈에 맞는 병원 슬리퍼를 제공하고 신발 바닥이 미끄럽지 않은지 확인하였다.
6. 억제대 쓰는 방법을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억제대 사용시 간호사에게 보고하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낙상을 당하지 않는다(진행중)
참고문헌
성인간호 상권(현문사)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KIMS
드러그인포
네이버 지식백과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7.07.14
  • 저작시기201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96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