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UNIT 5.1 산욕기의 신체적 회복
* 산욕기(postpartum period; puerperium)란 ?
1. 생식기계의 변화
2. 유방의 변화
3. 복벽(Abdominal wall)
4. 내분비계
5. 심혈관계
6. 호흡기계
7. 비뇨기계
8. 대사변화
9. 위장계 및 영양
10. 신경근육계
11. 피부계
UNIT 5.2 간호문제별 산욕간호
1. 산후 출혈
2. 잠재성 감염
3. 혈전성 정맥염
4. 안위간호
5. 배뇨간호
6. 휴식과 운동
7. 유방 간호
8. 영양
9. 성생활과 피임
10. 예방 접종
11. 산욕기의 위험증상
UNIT 5.3 어머니의 사회 심리적 적응 :
Reva Rubin(1984) 모성역할 수행 - 3단계
1. 소극기(Taking in phase)
2. 적극기(Taking hold phase)
3. 모성역할 적응기(Letting-Go phase)
4. 산후 우울감(Let-down feeling)
* 산욕기(postpartum period; puerperium)란 ?
1. 생식기계의 변화
2. 유방의 변화
3. 복벽(Abdominal wall)
4. 내분비계
5. 심혈관계
6. 호흡기계
7. 비뇨기계
8. 대사변화
9. 위장계 및 영양
10. 신경근육계
11. 피부계
UNIT 5.2 간호문제별 산욕간호
1. 산후 출혈
2. 잠재성 감염
3. 혈전성 정맥염
4. 안위간호
5. 배뇨간호
6. 휴식과 운동
7. 유방 간호
8. 영양
9. 성생활과 피임
10. 예방 접종
11. 산욕기의 위험증상
UNIT 5.3 어머니의 사회 심리적 적응 :
Reva Rubin(1984) 모성역할 수행 - 3단계
1. 소극기(Taking in phase)
2. 적극기(Taking hold phase)
3. 모성역할 적응기(Letting-Go phase)
4. 산후 우울감(Let-down feeling)
본문내용
수유 전 : 온찜질, 수유 후 : 냉찜질
3) 유두 관리
(1) 일반 간호
① 유두를 공기에 노출시키고, 수유 후에 열 램프 이용하여 유두 건조시키기
② 통증 시 한쪽에 5분정도만 수유하고, 남은 모유는 손으로 짜냄
(2) 유두 열상, 균열 간호
① 유두에 비누 or 크림 사용하지 않기
② 하루에 한 번만 젖꼭지를 씻도록 충고(샤워로 가능, 유두만을 씻지는 않음)
(3) 유방염 간호
① 흔한 원인균 :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개 일측성
② 신생아의 코나 상기도에 서식하던 균이 유두의 열구, 찰과상 부위로 들어가서 발생
증상
염증부위 통동(편측), 권태감, 오한, 발열(40℃), 유두에 농성 분비물
간호
중재
10일 이상 항생제 치료(penicillin G)
염증부위 동통(편측), 권태감, 오한, 발열(40℃), 유두에 농성 분비물
2~3일간 유두 덮개 이용하여 수유, 심하면 수유 중단
유두 자주 노출하여 햇볕이나 램프를 쪼여서 건조
모유를 계속 짜내기
농양 발생 시 외과적으로 절개하여 배농시킴
동통감소 : 냉찜질, 브래지어로 유방지지
4) 유즙 분비 억제
(1) 방법
① 프로락틴 억제제(Palrodel) 사용 (부작용: 두통, 현기증, 저혈압, 오심, 구토, 식욕부진)
② 탄력붕대 사용
③ 짜내지 말기
④ 배추 잎을 붙이기, 인삼이나 감주 복용
⑤ 통증 시 냉찜질 적용
8. 영양
1) 칼로리
하루에 2600~2800kcal 또는 비 임신시보다 500kcal 이상 증가시킴
(. 유즙분비로 인해 하루에 600~700kcal의 열량소모)
2) 단백질
비 임신시보다 20~30mg 증가시킴
(. 모유 1,000ml 중 단백질은 14~15mg을 차지하며, 모체의 단백질 섭취 중 50%가 유 즙으로 이행)
3) 수분공급
(1) 2,500~3,000ml/day 수분 공급 권장
(2) 특히, 칼슘이나 기타 영양의 섭취를 위해 1,000ml/day의 우유섭취 권장
4) 칼슘과 철분
(1) 임신부와 수유부에게 특히 요구됨
(2) Ca : 1,200mhg/day, Fe : 18mg/day 권장
9. 성생활과 피임
1) 성생활
(1) 성교는 오로가 감소한 후에 적당(분만 3-4주 후)
(2) 성교 시 통증이 없을 만큼 회음부가 아물어야 함
(3) 혈종이나 감염과 같은 부적응이 보이지 않을 때
(4) 성교하는 것에 불편감이 있으면 얼마동안 성생활을 금함
2) 피임
(1) 월경
① 모유수유를 하지 않는 경우 : 분만 후 9주경
② 모유수유 산모 : 수유시기에 따라 다르나 비 수유 산모보다 월경회복 기간이 더 길다
(2) 피임
임신이 가능한 시기는 예견하기 어려우므로 임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 수유여부에 관계 없이 모두 피임을 권장한다.
10. 예방 접종
1) 풍진 백신
(1) 산욕기 산모: 혈청학적으로 풍진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므로 퇴원 전 풍진백신 접종
(2) 접종 후 2~3개월 동안 피임, 수유는 가능
2) Rho(D) 면역 글로불린
(1) 출산, 유산, 임신 중절, 복부손상, 자궁외임신, 양수천자 등으로 Rh(-)모체가 Rh(+)태 아의 혈액에 대해 감작되어 Rh(+)항체를 형성하는 것을 억제시킨다
(2) 효과 : 태아와 모체 간 혈액 이동된 외부 단백질에 대한 항체가 산모에게서 형성되어 태아의 적혈구를 용혈시키는 작용을 하지 않도록 막아준다
(3) 투여
① Rh+항체가 생성되기 전 주사
② 임신 28주 이전 주사
③ 분만, 유산 후 72시간 이내 주사
11. 산욕기의 위험증상
1) 분만 24hr 후 체온이 38℃ 이상, 2회/일 이상 상승 시
2) 맥박 약하고 100회/분 이상
3) 호흡곤란, 혈압 상승 or 저하 있으면서 어지럽고 시력장애
4) 분만 24hr 후에도 자궁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단단하지 않으며 배꼽 위에 위치 → 자궁 이완으로 인한 산후출혈 발생 가능
5) 식욕부진, 복통, 하지통, 두통, 설사, 수면장애, 우울이 지속
6) 회음부위 심한 부종, 통증, 열감
UNIT 5.3 어머니의 사회 심리적 적응 :
Reva Rubin(1984) 모성역할 수행 - 3단계
1. 소극기(Taking in phase)
기간
분만 후 2~3일
특징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요구가 현저함
분만과정의 전모를 자세히 알기 원하며 수다스러워짐
산모 자신이 겪은 겸험을 누구에게나 이야기하고 싶어함
힘들었던 분만으로 인하여 의존적 경향을 지니고 애정과 주의를 받고 싶어함
간호
충분한 휴식과 수면, 영양 제공
사실 그대로의 정보를 반복해서 제공
2. 적극기(Taking hold phase)
기간
분만 3~10일
특징
의존적 + 비의존적 행동
새로운 모성역할을 포착하여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수행하려고 노력하는 시기
처음으로 어머니로서의 역할 시도
신생아의 24시간 계속되는 요구로 우울감, 피로 발생
간호
육아법(수유법, 목욕, 기저귀 교환법, 아기 돌보는 법 등)에 대한 교육
3. 모성역할 적응기(Letting-Go phase)
기간
기간 : 분만 1주 후부터 산욕기까지
특징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재정립하는 시기, 현실을 직시하게 됨
아기와의 신체적 분리를 인식, 아기를 독립된 개체로 인정
새로운 어머니 역할 수용 및 실행(아기가 없던 과거의 역할을 포기-자유, 자율, 사회생활 등) →가정과 사회적으로 역할 및 책임이 과중한 상태
간호
가족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
4. 산후 우울감(Let-down feeling)
기간
일시적, 정상적인 발현
특징
이유 없이 불안정하며 운다
식욕상실, 수면장애, 우울, 자아퇴행, 책임회피, 의존적 요구의 증가
불편감, 피로
원인
분만 후 호르몬의 변화
어머니 역할 획득에 대한 스트레스(낮은 자존감)
산욕기 신체 변화에 대한 적응 장애
역할 실패에 대한 불안
출산이라는 생활사건에 대한 일시적 적응장애
간호
울도록 하고, 편안한 자세 유지, 걱정이나 근심 주지 않는 환경 제공
신체적 휴식을 최대로 도모
산모의 행동을 인정, 이해, 설명
가족과 산모에게 지지적 상담이나 서비스 제공
아기 간호에 대한 자신감 갖도록 도와주기
중증의 우울증일 때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하거나 입원시킴
3) 유두 관리
(1) 일반 간호
① 유두를 공기에 노출시키고, 수유 후에 열 램프 이용하여 유두 건조시키기
② 통증 시 한쪽에 5분정도만 수유하고, 남은 모유는 손으로 짜냄
(2) 유두 열상, 균열 간호
① 유두에 비누 or 크림 사용하지 않기
② 하루에 한 번만 젖꼭지를 씻도록 충고(샤워로 가능, 유두만을 씻지는 않음)
(3) 유방염 간호
① 흔한 원인균 :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개 일측성
② 신생아의 코나 상기도에 서식하던 균이 유두의 열구, 찰과상 부위로 들어가서 발생
증상
염증부위 통동(편측), 권태감, 오한, 발열(40℃), 유두에 농성 분비물
간호
중재
10일 이상 항생제 치료(penicillin G)
염증부위 동통(편측), 권태감, 오한, 발열(40℃), 유두에 농성 분비물
2~3일간 유두 덮개 이용하여 수유, 심하면 수유 중단
유두 자주 노출하여 햇볕이나 램프를 쪼여서 건조
모유를 계속 짜내기
농양 발생 시 외과적으로 절개하여 배농시킴
동통감소 : 냉찜질, 브래지어로 유방지지
4) 유즙 분비 억제
(1) 방법
① 프로락틴 억제제(Palrodel) 사용 (부작용: 두통, 현기증, 저혈압, 오심, 구토, 식욕부진)
② 탄력붕대 사용
③ 짜내지 말기
④ 배추 잎을 붙이기, 인삼이나 감주 복용
⑤ 통증 시 냉찜질 적용
8. 영양
1) 칼로리
하루에 2600~2800kcal 또는 비 임신시보다 500kcal 이상 증가시킴
(. 유즙분비로 인해 하루에 600~700kcal의 열량소모)
2) 단백질
비 임신시보다 20~30mg 증가시킴
(. 모유 1,000ml 중 단백질은 14~15mg을 차지하며, 모체의 단백질 섭취 중 50%가 유 즙으로 이행)
3) 수분공급
(1) 2,500~3,000ml/day 수분 공급 권장
(2) 특히, 칼슘이나 기타 영양의 섭취를 위해 1,000ml/day의 우유섭취 권장
4) 칼슘과 철분
(1) 임신부와 수유부에게 특히 요구됨
(2) Ca : 1,200mhg/day, Fe : 18mg/day 권장
9. 성생활과 피임
1) 성생활
(1) 성교는 오로가 감소한 후에 적당(분만 3-4주 후)
(2) 성교 시 통증이 없을 만큼 회음부가 아물어야 함
(3) 혈종이나 감염과 같은 부적응이 보이지 않을 때
(4) 성교하는 것에 불편감이 있으면 얼마동안 성생활을 금함
2) 피임
(1) 월경
① 모유수유를 하지 않는 경우 : 분만 후 9주경
② 모유수유 산모 : 수유시기에 따라 다르나 비 수유 산모보다 월경회복 기간이 더 길다
(2) 피임
임신이 가능한 시기는 예견하기 어려우므로 임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 수유여부에 관계 없이 모두 피임을 권장한다.
10. 예방 접종
1) 풍진 백신
(1) 산욕기 산모: 혈청학적으로 풍진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므로 퇴원 전 풍진백신 접종
(2) 접종 후 2~3개월 동안 피임, 수유는 가능
2) Rho(D) 면역 글로불린
(1) 출산, 유산, 임신 중절, 복부손상, 자궁외임신, 양수천자 등으로 Rh(-)모체가 Rh(+)태 아의 혈액에 대해 감작되어 Rh(+)항체를 형성하는 것을 억제시킨다
(2) 효과 : 태아와 모체 간 혈액 이동된 외부 단백질에 대한 항체가 산모에게서 형성되어 태아의 적혈구를 용혈시키는 작용을 하지 않도록 막아준다
(3) 투여
① Rh+항체가 생성되기 전 주사
② 임신 28주 이전 주사
③ 분만, 유산 후 72시간 이내 주사
11. 산욕기의 위험증상
1) 분만 24hr 후 체온이 38℃ 이상, 2회/일 이상 상승 시
2) 맥박 약하고 100회/분 이상
3) 호흡곤란, 혈압 상승 or 저하 있으면서 어지럽고 시력장애
4) 분만 24hr 후에도 자궁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단단하지 않으며 배꼽 위에 위치 → 자궁 이완으로 인한 산후출혈 발생 가능
5) 식욕부진, 복통, 하지통, 두통, 설사, 수면장애, 우울이 지속
6) 회음부위 심한 부종, 통증, 열감
UNIT 5.3 어머니의 사회 심리적 적응 :
Reva Rubin(1984) 모성역할 수행 - 3단계
1. 소극기(Taking in phase)
기간
분만 후 2~3일
특징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요구가 현저함
분만과정의 전모를 자세히 알기 원하며 수다스러워짐
산모 자신이 겪은 겸험을 누구에게나 이야기하고 싶어함
힘들었던 분만으로 인하여 의존적 경향을 지니고 애정과 주의를 받고 싶어함
간호
충분한 휴식과 수면, 영양 제공
사실 그대로의 정보를 반복해서 제공
2. 적극기(Taking hold phase)
기간
분만 3~10일
특징
의존적 + 비의존적 행동
새로운 모성역할을 포착하여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수행하려고 노력하는 시기
처음으로 어머니로서의 역할 시도
신생아의 24시간 계속되는 요구로 우울감, 피로 발생
간호
육아법(수유법, 목욕, 기저귀 교환법, 아기 돌보는 법 등)에 대한 교육
3. 모성역할 적응기(Letting-Go phase)
기간
기간 : 분만 1주 후부터 산욕기까지
특징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재정립하는 시기, 현실을 직시하게 됨
아기와의 신체적 분리를 인식, 아기를 독립된 개체로 인정
새로운 어머니 역할 수용 및 실행(아기가 없던 과거의 역할을 포기-자유, 자율, 사회생활 등) →가정과 사회적으로 역할 및 책임이 과중한 상태
간호
가족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
4. 산후 우울감(Let-down feeling)
기간
일시적, 정상적인 발현
특징
이유 없이 불안정하며 운다
식욕상실, 수면장애, 우울, 자아퇴행, 책임회피, 의존적 요구의 증가
불편감, 피로
원인
분만 후 호르몬의 변화
어머니 역할 획득에 대한 스트레스(낮은 자존감)
산욕기 신체 변화에 대한 적응 장애
역할 실패에 대한 불안
출산이라는 생활사건에 대한 일시적 적응장애
간호
울도록 하고, 편안한 자세 유지, 걱정이나 근심 주지 않는 환경 제공
신체적 휴식을 최대로 도모
산모의 행동을 인정, 이해, 설명
가족과 산모에게 지지적 상담이나 서비스 제공
아기 간호에 대한 자신감 갖도록 도와주기
중증의 우울증일 때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하거나 입원시킴
키워드
추천자료
인격장애・충동조절 및 적응장애 간호
<지역사회 간호학>마빈스룸 지역사회 간호과정
케어복지와 방문간호에 차이점 그리고 케어복지사와 사회복지사와의 차이점
지역 사회 간호 가족분석
[모성간호]산욕생리
[모성간호학][자궁내막증][Endometrios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분만,산욕기,문헌고찰
8급간호직공무원시험 3과목 핵심요약정리 (생물,지역사회,간호관리학)
우리나라의 재가노인복지 현황과 문제점 (재가노인복지의 개념, 지역사회보호서비스를 통한 ...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성장과 발달의 이론 - 학습이론(행동주의이론, 사회학습이론), 인지...
[노인간호학] 노인복지정책, 노인복지정책관련 독거노인에게 행해지는 프로그램, 노인복지정...
인지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역사, 인지행동치료적응증, 인지행동치료목표, 인지행동치료원리,...
간호이론3B) 스트레스이론과 관련해 작성. 1) 주변의 만성질환자 1인을 선정하여 인구사회적,...
간호학특론4A)파슨즈의 환자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대상자 2인의 인구사회적, 생활습관특성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