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었던 그 나라들은 다 멸할지라도 너는 사라지지 아니하리라 내가 너를 법도대로 징계할 것이요 결코 무죄한 자로 여기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47장>
1. 주제: 블레셋의 멸망 예언
2. 요약
본장은 블레셋이 북방 민족인 바벨론의 침략을 받아 멸망된다는 내용으로 시대적 상황, 바벨론 침입으로 인한 극심한 피해, 심판의 목적, 블레셋의 철저한 멸망이 기록되어 있다.
3. 핵심단어
엄몰시키리니(2절): 넘쳐흐르는 급류는 하나님의 심판을 상징하며 본문은 블레셋이 바벨론에 의해 완전히 멸망할 것을 묘사하고 있다.
4. 핵심성구
47:7 -「여호와께서 이를 명령하셨은즉 어떻게 잠잠하며 쉬겠느냐 아스글론과 해변을 치려하여 그가 정하셨느니라 하니라」
<48장>
1. 주제: 모압에 대한 예언
2. 절별 주제
1-6
모압이 받게 될 심판
7-10
멸망의 원인과 형편
11-13
모압의 형편
14-25
자기 힘을 신뢰함
26-35
하나님과 그 백성을 모독함
36-39
모압을 위한 애가
40-47
모압이 받을 형벌과 약속
3. 요약
본장은 바벨론을 통하여 모압을 멸망시키겠다는 하나님의 계획을 진술하고 있다. 예레미야는 물질적 풍요로 교만하여 우상 숭배를 자행하고 있는 모압의 죄를 날카롭게 지적하면서 궁극적으로 심판과 수치를 당하게 될 것임을 선언하고 있다. 또한 모압의 멸망과 함께 회복에 대한 언급을 함으로써 이방인의 구원을 암시하고 있다.
4. 핵심단어
올무가(43절): 새를 잡기 위한 올가미를 뜻하는 ‘파흐’는 비유적으로 재앙이나 음모를 가리킨다. 본문에서는 모압 족속에게 임할 하나님의 두려운 심판을 의미한다.
5. 핵심성구
48:30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내가 그의 노여워함의 허탄함을 아노니 그가 자랑하여도 아무 것도 성취하지 못하였도다」
<49장>
1. 주제: 열국의 멸망 예언
2. 절별 주제
1-6
암몬의 멸망에 대한 예언
7-22
에돔의 멸망에 대한 예언
23-27
다메섹의 멸망에 대한 예언
28-33
게달과 하솔의 멸망에 대한 예언
34-39
엘람의 멸망에 대하 예언
3. 요약
본장에는 이스라엘과 전통적으로 깊은 정치적, 사회적 관계를 맺어 왔던 이스라엘 주변의 국가들에 관한 하나님의 심판이 기록되어 있다. 이스라엘의 변방에 위치했던 이 나라들은 정치적 동기에 근거하여 때로는 직접적으로 이스라엘과 적대 관계에 놓이기도 했고, 가끔 이스라엘의 고난을 조롱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하나님을 적대시하기도 했던 민족들이다. 그러나 이제 하나님은 친히 그들에게 보응자가 되시어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돌보심이 여전하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4. 핵심단어
사방 바람(36절): 바벨론의 막강한 군사력을 표현한 것이며, 하솔에 거하는 어떠한 백성이라도 바벨론의 침략을 피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특히 하늘의 사방이란 바벨론의 침략 행위가 하나님의 주권적 섭리임을 나타낸다.
5. 핵심성구
49:19 -「보라 사자가 요단강의 깊은 숲에서 나타나듯이 그가 와서 견고한 처소를 칠 것이라 내가 즉시 그들을 거기에서 쫓아내고 택한 자를 내가 그 위에 세우리니 나와 같은 자 누구며 나와 더불어 다툴 자 누구며 내 앞에 설 목자가 누구냐」
<50장>
1. 주제: 바벨론의 멸망 예언
2. 절별 주제
1-10
바벨론의 멸망과 이스라엘의 구원
11-16
폐허가 될 바벨론의 수치
17-20
이스라엘의 영광
21-28
바벨론의 패전으로 권세가 무너짐
29-32
바벨론의 교만이 꺾여짐
33-40
바벨론의 패망과 이스라엘의 구원
41-46
바벨론을 치러오는 자들
3. 요약
본장은 바벨론의 멸망 예언과 그에 따른 하나님의 상황적 섭리를 진술하고 있으며, 예루살렘의 회복 및 바벨론이 심판당하는 모습과 그 원인에 대한 예언을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 재차 바벨론을 향한 심판 예언을 언급하고 있다.
4. 핵심단어
의로운 처소시며(7절): 거룩하신 하나님의 품을 나타내며 이스라엘이 돌아갈 영원한 땅을 가리키기도 한다. 본문에서는 이스라엘을 영원히 버리지 아니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나타낸다.
5. 핵심성구
50:32 -「교만한 자가 걸려 넘어지겠고 그를 일으킬 자가 없을 것이며 내가 그의 성읍들에 불을 지르리니 그의 주위에 있는 것을 다 삼키리라」
<51장>
1. 주제: 바벨론에 대한 보응
2. 절별 주제
1-4
바벨론을 심판하는 자들
5-14
이스라엘의 구원
15-19
우상 숭배의 어리석음
20-24
하나님의 도구 바벨론
25-40
바벨론의 파멸
41-49
큰 놀람이 된 바벨론의 멸망
50-58
바벨론의 파멸
59-64
철저한 패망에 대한 상징적 행동
3. 요약
본장은 전장에 이어서 바벨론 심판의 필연성을 언급하고 있다. 전장에서 설명되었던 유다의 회복에 대한 기사가 생략되고 오직 바벨론 심판에 대한 내용만을 기록하고 있다.
4. 핵심단어
하수 속에 던지고(63절): 본문에서 바벨론의 멸망을 기록한 책을 돌에 매달아 유브라데 강에 넣는 행위는 바벨론의 멸망의 확실성을 증거한다.
5. 핵심성구
51:19 -「야곱의 분깃은 그와 같지 아니하시니 그는 만물을 지으신 분이요 이스라엘은 그의 소유인 지파라 그의 이름은 만군의 여호와시니라」
<52장>
1. 주제: 예루살렘이 파괴됨
2. 절별 주제
1-11
느부갓네살의 침공
12-23
예루살렘 성과 성전이 파괴됨
24-30
베벨론에 잡혀 간 포로의 수효
31-34
여호야긴 왕의 말년
3. 요약
본장은 유다의 패망 직전의 상황을 묘사하고 있으며, 바벨론에게 패망당하는 유다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 간 사람들의 수와 이스라엘의 미래적 소망을 밝히고 있다.
4. 핵심단어
1) 두 눈을 빼고(11절): 두 눈을 빼임당함은 왕으로서의 권위를 상실함을 상징하며 완전한 패배를 나타낸다.
2) 위보다 높이고(32절): ‘키쎄’는 ‘자리’라는 뜻으로 명예를 의미한다. 여기서는 여호야긴의 말년이 풍요했음을 보여 주는데 이는 이스라엘의 회복을 예시하는 것이다.
5. 핵심성구
52:31 -「유다 왕 여호야긴이 사로잡혀 간 지 삼십칠 년 곧 바벨론의 에윌므로닥 왕의 즉위 원년 열두째 달 스물다섯째 날 그가 유다의 여호야긴 왕의 머리를 들어 주었고 감옥에서 풀어 주었더라」
<47장>
1. 주제: 블레셋의 멸망 예언
2. 요약
본장은 블레셋이 북방 민족인 바벨론의 침략을 받아 멸망된다는 내용으로 시대적 상황, 바벨론 침입으로 인한 극심한 피해, 심판의 목적, 블레셋의 철저한 멸망이 기록되어 있다.
3. 핵심단어
엄몰시키리니(2절): 넘쳐흐르는 급류는 하나님의 심판을 상징하며 본문은 블레셋이 바벨론에 의해 완전히 멸망할 것을 묘사하고 있다.
4. 핵심성구
47:7 -「여호와께서 이를 명령하셨은즉 어떻게 잠잠하며 쉬겠느냐 아스글론과 해변을 치려하여 그가 정하셨느니라 하니라」
<48장>
1. 주제: 모압에 대한 예언
2. 절별 주제
1-6
모압이 받게 될 심판
7-10
멸망의 원인과 형편
11-13
모압의 형편
14-25
자기 힘을 신뢰함
26-35
하나님과 그 백성을 모독함
36-39
모압을 위한 애가
40-47
모압이 받을 형벌과 약속
3. 요약
본장은 바벨론을 통하여 모압을 멸망시키겠다는 하나님의 계획을 진술하고 있다. 예레미야는 물질적 풍요로 교만하여 우상 숭배를 자행하고 있는 모압의 죄를 날카롭게 지적하면서 궁극적으로 심판과 수치를 당하게 될 것임을 선언하고 있다. 또한 모압의 멸망과 함께 회복에 대한 언급을 함으로써 이방인의 구원을 암시하고 있다.
4. 핵심단어
올무가(43절): 새를 잡기 위한 올가미를 뜻하는 ‘파흐’는 비유적으로 재앙이나 음모를 가리킨다. 본문에서는 모압 족속에게 임할 하나님의 두려운 심판을 의미한다.
5. 핵심성구
48:30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내가 그의 노여워함의 허탄함을 아노니 그가 자랑하여도 아무 것도 성취하지 못하였도다」
<49장>
1. 주제: 열국의 멸망 예언
2. 절별 주제
1-6
암몬의 멸망에 대한 예언
7-22
에돔의 멸망에 대한 예언
23-27
다메섹의 멸망에 대한 예언
28-33
게달과 하솔의 멸망에 대한 예언
34-39
엘람의 멸망에 대하 예언
3. 요약
본장에는 이스라엘과 전통적으로 깊은 정치적, 사회적 관계를 맺어 왔던 이스라엘 주변의 국가들에 관한 하나님의 심판이 기록되어 있다. 이스라엘의 변방에 위치했던 이 나라들은 정치적 동기에 근거하여 때로는 직접적으로 이스라엘과 적대 관계에 놓이기도 했고, 가끔 이스라엘의 고난을 조롱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하나님을 적대시하기도 했던 민족들이다. 그러나 이제 하나님은 친히 그들에게 보응자가 되시어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돌보심이 여전하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4. 핵심단어
사방 바람(36절): 바벨론의 막강한 군사력을 표현한 것이며, 하솔에 거하는 어떠한 백성이라도 바벨론의 침략을 피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특히 하늘의 사방이란 바벨론의 침략 행위가 하나님의 주권적 섭리임을 나타낸다.
5. 핵심성구
49:19 -「보라 사자가 요단강의 깊은 숲에서 나타나듯이 그가 와서 견고한 처소를 칠 것이라 내가 즉시 그들을 거기에서 쫓아내고 택한 자를 내가 그 위에 세우리니 나와 같은 자 누구며 나와 더불어 다툴 자 누구며 내 앞에 설 목자가 누구냐」
<50장>
1. 주제: 바벨론의 멸망 예언
2. 절별 주제
1-10
바벨론의 멸망과 이스라엘의 구원
11-16
폐허가 될 바벨론의 수치
17-20
이스라엘의 영광
21-28
바벨론의 패전으로 권세가 무너짐
29-32
바벨론의 교만이 꺾여짐
33-40
바벨론의 패망과 이스라엘의 구원
41-46
바벨론을 치러오는 자들
3. 요약
본장은 바벨론의 멸망 예언과 그에 따른 하나님의 상황적 섭리를 진술하고 있으며, 예루살렘의 회복 및 바벨론이 심판당하는 모습과 그 원인에 대한 예언을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 재차 바벨론을 향한 심판 예언을 언급하고 있다.
4. 핵심단어
의로운 처소시며(7절): 거룩하신 하나님의 품을 나타내며 이스라엘이 돌아갈 영원한 땅을 가리키기도 한다. 본문에서는 이스라엘을 영원히 버리지 아니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나타낸다.
5. 핵심성구
50:32 -「교만한 자가 걸려 넘어지겠고 그를 일으킬 자가 없을 것이며 내가 그의 성읍들에 불을 지르리니 그의 주위에 있는 것을 다 삼키리라」
<51장>
1. 주제: 바벨론에 대한 보응
2. 절별 주제
1-4
바벨론을 심판하는 자들
5-14
이스라엘의 구원
15-19
우상 숭배의 어리석음
20-24
하나님의 도구 바벨론
25-40
바벨론의 파멸
41-49
큰 놀람이 된 바벨론의 멸망
50-58
바벨론의 파멸
59-64
철저한 패망에 대한 상징적 행동
3. 요약
본장은 전장에 이어서 바벨론 심판의 필연성을 언급하고 있다. 전장에서 설명되었던 유다의 회복에 대한 기사가 생략되고 오직 바벨론 심판에 대한 내용만을 기록하고 있다.
4. 핵심단어
하수 속에 던지고(63절): 본문에서 바벨론의 멸망을 기록한 책을 돌에 매달아 유브라데 강에 넣는 행위는 바벨론의 멸망의 확실성을 증거한다.
5. 핵심성구
51:19 -「야곱의 분깃은 그와 같지 아니하시니 그는 만물을 지으신 분이요 이스라엘은 그의 소유인 지파라 그의 이름은 만군의 여호와시니라」
<52장>
1. 주제: 예루살렘이 파괴됨
2. 절별 주제
1-11
느부갓네살의 침공
12-23
예루살렘 성과 성전이 파괴됨
24-30
베벨론에 잡혀 간 포로의 수효
31-34
여호야긴 왕의 말년
3. 요약
본장은 유다의 패망 직전의 상황을 묘사하고 있으며, 바벨론에게 패망당하는 유다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 간 사람들의 수와 이스라엘의 미래적 소망을 밝히고 있다.
4. 핵심단어
1) 두 눈을 빼고(11절): 두 눈을 빼임당함은 왕으로서의 권위를 상실함을 상징하며 완전한 패배를 나타낸다.
2) 위보다 높이고(32절): ‘키쎄’는 ‘자리’라는 뜻으로 명예를 의미한다. 여기서는 여호야긴의 말년이 풍요했음을 보여 주는데 이는 이스라엘의 회복을 예시하는 것이다.
5. 핵심성구
52:31 -「유다 왕 여호야긴이 사로잡혀 간 지 삼십칠 년 곧 바벨론의 에윌므로닥 왕의 즉위 원년 열두째 달 스물다섯째 날 그가 유다의 여호야긴 왕의 머리를 들어 주었고 감옥에서 풀어 주었더라」
추천자료
어린이집 전체수업계획안
전체수업-이야기,색종이,동시
제5장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이 생애발달 전체를 통해 형성되어 가는 과정에 대하여 고찰
양한방 통합비교 (한방/양방 전체적 통합적 비교)
초등3)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136-145 (17/21)차시> 5. 앎의 즐거움 - 아는 내...
초등4)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과학 114, 115쪽 ( 11/11 )차시> 3. 식물의 한살...
쉐보레(GM대우, 대우자동차)의 역사, 내용, 쉐보레(GM대우, 대우자동차)의 정리해고, 동향, ...
[공공선택론 公共選擇論] 거래비용 - 신제도주의 경제학과 시장실패, 거래비용, 외부성 문제...
6_전체수업계획(일일교육계획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