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629
출처 : 한국금융투자협회
7. 부동산펀드 시장의 전망 <연합인포맥스>, 김정연 하나다올자산운용 섹션1 이사.
당분간 국내 부동산은 어렵다는 전망이 많다. 펀드시장도 마찬가지인가
- 그렇지않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도 부동산펀드 시장은 신규 수탁고 기준으로는 소폭이나마 성장을 지속해 가고 있다. 소위 '불황형 상품' 때문이다. 올해는 기업들이 보유하는 부동산을 펀드에 매각하고 재임차하는 방식인 세일앤리스백이 유행했다. 기업들이 유동화 목적으로 펀드에 매각한 자산 규모가 약 1조 5천억 원 정도 된다. 사옥이 많았고, 물류나 리테일도 있었다. 또 금융기관들이 매각하는 부동산담보부 부실채권에 투자하는 NPL펀드도 불황형 상품이다. 올해 금융기관이 매각한 부실채권 규모는 7조~8조원에 이르고 내년에는 10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자산운용사로서, 부동산업계로서 내년에 바뀌었으면 하는 제도는 무엇인가
- 부동산 펀드 시장은 기관투자자들을 위한 사모형으로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은 기회가 많지 않다. 부동산 투자비중이 70% 미만으로 제한된 회사형 펀드의 특성상 공모로 조성하기 어렵다. 회사형 상품으로 개발돼야 일반주식 시장에 상장돼 유동성을 확보에 유리한데 그렇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부분이 개정된다면 개인 투자자들에게 좀 더 매력적인 상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연합인포맥스(www.einfomax.co.kr)
법제처(www.moleg.go.kr)
금융투자협회(www.kofia.or.kr)
월간부동산자산관리 창간호
한국감정원공식블로그
출처 : 한국금융투자협회
7. 부동산펀드 시장의 전망 <연합인포맥스>, 김정연 하나다올자산운용 섹션1 이사.
당분간 국내 부동산은 어렵다는 전망이 많다. 펀드시장도 마찬가지인가
- 그렇지않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도 부동산펀드 시장은 신규 수탁고 기준으로는 소폭이나마 성장을 지속해 가고 있다. 소위 '불황형 상품' 때문이다. 올해는 기업들이 보유하는 부동산을 펀드에 매각하고 재임차하는 방식인 세일앤리스백이 유행했다. 기업들이 유동화 목적으로 펀드에 매각한 자산 규모가 약 1조 5천억 원 정도 된다. 사옥이 많았고, 물류나 리테일도 있었다. 또 금융기관들이 매각하는 부동산담보부 부실채권에 투자하는 NPL펀드도 불황형 상품이다. 올해 금융기관이 매각한 부실채권 규모는 7조~8조원에 이르고 내년에는 10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자산운용사로서, 부동산업계로서 내년에 바뀌었으면 하는 제도는 무엇인가
- 부동산 펀드 시장은 기관투자자들을 위한 사모형으로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은 기회가 많지 않다. 부동산 투자비중이 70% 미만으로 제한된 회사형 펀드의 특성상 공모로 조성하기 어렵다. 회사형 상품으로 개발돼야 일반주식 시장에 상장돼 유동성을 확보에 유리한데 그렇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부분이 개정된다면 개인 투자자들에게 좀 더 매력적인 상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연합인포맥스(www.einfomax.co.kr)
법제처(www.moleg.go.kr)
금융투자협회(www.kofia.or.kr)
월간부동산자산관리 창간호
한국감정원공식블로그
키워드
추천자료
투자론 우리나라의 투자신탁 제도
리츠제도의 이론적 고찰 및 외국 리츠제도의 현황, 국내 도입현황과 활성화방안에 대해 논하...
리츠에 대한 이해와 조세감면
[금융][금융제도][금융기관][금융서비스]금융과 OECD가입, 금융과 서베이, 남북한 금융제도, ...
(독서감상문) 돈은 아름다운 꽃이다를 읽고
부동산정책의 개념
달러를 버려라를 읽고 - 화폐의 패러다임 변화
(부동산개발사업)인천-논현시장조사보고서
[경제학]국제경제, 부동산, 국내경제등 기본개념정리
우리나라 주택시장의 질적변화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두가지 측면에서 주거용부동산에 대한 ...
경주방폐장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우수자료★) 부동산 분석 인천 송도지구 내 캐슬 & 해모로 분석 (송도지구의 개요, 캐슬...
★[PPT 우수자료★][부동산不動産 입지 조건] 패밀리 레스토랑 개념, 패밀리 레스토랑 입지요건...
부동산간접투자제도의 비교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