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아득안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맹아득안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설화분석

2.노래분석

3. 기존의 견해

1)맹아득안가의 노래명에 대한 이견

2)작자문제

III.결론

나의서사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참고 문헌

본문내용

주되지만, 문맥을 자세히 보면 작자 문제는 밝히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주동은 다만 <희명이 五歲盲兒로 하여금 노래케한 禱歌>라고 밝혔을 뿐인 것이다. 또한 <作歌>를 <唱歌>의 뜻으로 해석한다면 작자는 원칙적으로 작자 미상이 된다는 비판점을 안고 있다.(→금기창) 향가 설화 문학-홍기삼(민음사)p.291
2)희명의 아이설: 원문에 ‘영아작가(令兒作歌)’란 것은 아이가 노래를 지어 불렀다는 설로 양재연이 주장하는 바이다. 그러나 문제는 기도의 노래가 단순구성이면서도 천수대비의 자비심을 알아야 하는 종교를 배제하고는 이 노래를 구성 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즉, 아무리 천재 아이일지라도 아이가 노래를 직접 지어서 불렀다는 것에는 무리가 따른다.
3)고승설: 조동일은 「맹아득안가」를 어떤 승려가 만들어 놓은 사뇌가 형식의 기도문을 어머니를 통해 아이가 외우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불교 전래 시기에 승려들은 주로 개인을 상대로 병을 고치거나 신통력을 발휘하여 불교의 뛰어남을 강조했다는 점으로 봤을 때 설득력이 있다. 새로 읽는 향가 문학-임기중 p.255~257
4)작자미상설: 금기창, 사재동, 최철의 기도가설 최철은 <작자는 희명이나 아기로 볼 것>이 아니며 창작된 노래도 아니다. 그것은 기도할 때 불린 의식요 또는 기도가로 규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 향가 설화 문학 (홍기삼) p.292
III.결론
나의서사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이 노래 자체만 본다면 눈을 잃은 사람이 천수관음께 눈을 하나만 달라고 기원하는 내용이라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원하는 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고, 그 노래가 얼마나 간절함을 내포하고 있는지를 이해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설화와 관련지어 보면 노래의 내용 이해를 할 수 있는데 노래를 부르는 자는 두 눈을 잃은 아이이며 또 노래가 지니고 있는 기원의 내용이 어머니가 아기의 눈을 뜨게 해달라는 마음이 전해져 있어 모성의 힘이 보다 더 간절해짐을 느낄 수가 있다.
이 작품을 선택한 이유도 희명의 간절한 모성애 때문에 끌렸을지도 모른다. 다섯살난 아이가 눈이 멀었단 이야기를 듣고 어머니의 심정을 짐작할 수 있었다.
아직 어머니가 되어 보지 못해 그 의미를 완벽히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지금 조카들을 보면서 사랑스럽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건강하게 자라야한다는 걱정이 어머니께는 내 걱정이상으로 간절할 수 있다는 생각이 가끔 들었기 때문이다.
정말 사랑하는 아이가 눈이 먼다면 어머니는 단순히 걱정하는 것만이 아닌 가슴이 메어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내가 사춘기시절 짜증을 내며 문을 닫고 나갔던 일이 어머니께 얼마나 상처가 되셨을지 생각하니 참으로 죄송스러운 마음이 들었다.
이 작품을 통해 자식을 향한 부모님의 간절한 사랑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다.
※ 참고 문헌
옛 노래 시로 읽기(2002)-임기중(이회문화사)
새로 읽는 향가 문학(1998)-임기중(아세아문화사)
향가 설화 문학(1997)-홍기삼(민음사)
향가의 문학적 해석(1990)-최철 (연대출판부)
향가의 해석(2000)-신재홍(집문당)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4.30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0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