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화단 운동의 배경 ...................3P
2. 의화단 운동의 시발점................3P~4P
1) 반기독교 운동
2) 대도회 및 의화권
3. 의화단 운동의 전개 ..................5P~6P
1) 의화단 운동의 성격
2) 지방관의 대응
3) 중앙정부와의 결집
4) 서양연합군과 의화단 전쟁
4. 의화단 운동의 결과.................7P~8P
1) 의화단의 탄압과 동남호보
2) 신축조약의 체결
3) 의화단 운동의 의미
※ 참고문헌 ...........................8P
2. 의화단 운동의 시발점................3P~4P
1) 반기독교 운동
2) 대도회 및 의화권
3. 의화단 운동의 전개 ..................5P~6P
1) 의화단 운동의 성격
2) 지방관의 대응
3) 중앙정부와의 결집
4) 서양연합군과 의화단 전쟁
4. 의화단 운동의 결과.................7P~8P
1) 의화단의 탄압과 동남호보
2) 신축조약의 체결
3) 의화단 운동의 의미
※ 참고문헌 ...........................8P
본문내용
후에 의해 전권대신으로 임명되어 열강과 강화를 추진했다.
2) 신축조약(북경의정서)체결
서태후는 광서제를 이끌고 황실 및 조정 관리와 함께 서안으로 탈출하였다. 의화단이 필사적으로 연합군과 저항하고 있을 때 서태후는 피난 중에 이홍장을 전권대신에 임명하여 연합군과 화의를 교섭하게 하고 의화단을 철저히 진압하도록 하여 자신의 안전을 도모하였다. 열강은 중국의 영토를 분할하여 직접 통치 할 것인가 청조를 그대로 놓고 강화조약을 체결할 것인가에 대해 고심했는데 의화단 운동을 통해 중국인의 격렬한 저항을 경험한 연합국측은 중국의 직접통치에 어려움을 인식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열강의 이해관계가 각각 대립되었기 때문에 프랑스가 제시한 의화대강 12조를 토대로 결정하여 1901년 9월에 신축조약이 체결되었다.
신축조양이 담고 있는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무기의 수입을 2년간 정지하였고, 배상금 4억5천만 냥을 요구했으며 기간은 39년으로 지불총액이 9억8천만 냥에 이르렀다. 또한 공사관구역의 설정과 가국 수비병의 주둔을 요구하였으며, 대고포대 및 베이징에서 보하이만에 걸친 포대의 철거 명시함과, 보하이만에 각 요충지에 외국군대의 주둔을 승낙하도록 하였다. 또 총리각국사무아문을 외무부로 개조하였으며 배상금지불에 관해서는 해관세와 상관세 염세등으로 충당하도록 하였다.
신축조약 체결 이후 청조는 경제적으로나 군사적으로나 열강의 관리 하에 놓여진 상태가 되어, 완전히 자립성을 상실했다고 할 수 있다. 정치적으로도 청조의 위신은 실추되어 몇백년간 유지되어 오던 왕조체계의 붕괴가 점진적으로 다가오고 있었다.
3) 의화단 운동의 의미
반기독교운동으로부터 시작된 구국적인 의화단운동은 도리어 청조의 반식민적 위치를 결정적으로 확정짓는데 일조하는 셈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화단 운동은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가진다.
대내적으로는 청조의 통치에 커다란 타격을 입히고 결과적으로는 이후의 혁명운동의 입지를 강화시켰다. 신축조약과 러시아 동북주둔군의 잔류로 국망의 위기의식이 일본유학생을 비롯한 중국의 지식층에게 고조되면서 신해혁명의 기반을 마련하게 해주었고 중국인의 격렬한 배외운동을 경험한 열강도 중국영토에 대한 직접 지배하는 일명 과분정책을 단념하게 되었다. 결국 중국이 외국의 직접식민지가 되지 않은 것이 의화단 운동의 작용도 한 몫 했다고 보는 것이다. 또한 청조내의 보수파는 의화단운동의 좌절을 계기로 실각하고 그 자리를 야무파 관료가 다시 채워 만회하면서 통치력회복을 위해 제도개혁을 추진하고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었지만, 만회하기에는 대내적으로든 대외적으로든 늦은 감이 없지 않아있었고, 마지막 왕정 고수를 위한 불씨로써 이후 많은 혁명운동의 원인을 제공해 주기도 하였다.
※참고 문헌
식송정 저. 아시아 문화와 역사5-중국사 근.현대. 1996. 신서원
서진영 저. 중국혁명사 .1992. 한울 아카데미
박한제 저. 아틀라스 중국사. 2007. 사계절
신채식 저. 동양사개론. 2006. 삼영사
신성고.윤혜영 공저,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2004. 서해문집
2) 신축조약(북경의정서)체결
서태후는 광서제를 이끌고 황실 및 조정 관리와 함께 서안으로 탈출하였다. 의화단이 필사적으로 연합군과 저항하고 있을 때 서태후는 피난 중에 이홍장을 전권대신에 임명하여 연합군과 화의를 교섭하게 하고 의화단을 철저히 진압하도록 하여 자신의 안전을 도모하였다. 열강은 중국의 영토를 분할하여 직접 통치 할 것인가 청조를 그대로 놓고 강화조약을 체결할 것인가에 대해 고심했는데 의화단 운동을 통해 중국인의 격렬한 저항을 경험한 연합국측은 중국의 직접통치에 어려움을 인식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열강의 이해관계가 각각 대립되었기 때문에 프랑스가 제시한 의화대강 12조를 토대로 결정하여 1901년 9월에 신축조약이 체결되었다.
신축조양이 담고 있는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무기의 수입을 2년간 정지하였고, 배상금 4억5천만 냥을 요구했으며 기간은 39년으로 지불총액이 9억8천만 냥에 이르렀다. 또한 공사관구역의 설정과 가국 수비병의 주둔을 요구하였으며, 대고포대 및 베이징에서 보하이만에 걸친 포대의 철거 명시함과, 보하이만에 각 요충지에 외국군대의 주둔을 승낙하도록 하였다. 또 총리각국사무아문을 외무부로 개조하였으며 배상금지불에 관해서는 해관세와 상관세 염세등으로 충당하도록 하였다.
신축조약 체결 이후 청조는 경제적으로나 군사적으로나 열강의 관리 하에 놓여진 상태가 되어, 완전히 자립성을 상실했다고 할 수 있다. 정치적으로도 청조의 위신은 실추되어 몇백년간 유지되어 오던 왕조체계의 붕괴가 점진적으로 다가오고 있었다.
3) 의화단 운동의 의미
반기독교운동으로부터 시작된 구국적인 의화단운동은 도리어 청조의 반식민적 위치를 결정적으로 확정짓는데 일조하는 셈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화단 운동은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가진다.
대내적으로는 청조의 통치에 커다란 타격을 입히고 결과적으로는 이후의 혁명운동의 입지를 강화시켰다. 신축조약과 러시아 동북주둔군의 잔류로 국망의 위기의식이 일본유학생을 비롯한 중국의 지식층에게 고조되면서 신해혁명의 기반을 마련하게 해주었고 중국인의 격렬한 배외운동을 경험한 열강도 중국영토에 대한 직접 지배하는 일명 과분정책을 단념하게 되었다. 결국 중국이 외국의 직접식민지가 되지 않은 것이 의화단 운동의 작용도 한 몫 했다고 보는 것이다. 또한 청조내의 보수파는 의화단운동의 좌절을 계기로 실각하고 그 자리를 야무파 관료가 다시 채워 만회하면서 통치력회복을 위해 제도개혁을 추진하고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었지만, 만회하기에는 대내적으로든 대외적으로든 늦은 감이 없지 않아있었고, 마지막 왕정 고수를 위한 불씨로써 이후 많은 혁명운동의 원인을 제공해 주기도 하였다.
※참고 문헌
식송정 저. 아시아 문화와 역사5-중국사 근.현대. 1996. 신서원
서진영 저. 중국혁명사 .1992. 한울 아카데미
박한제 저. 아틀라스 중국사. 2007. 사계절
신채식 저. 동양사개론. 2006. 삼영사
신성고.윤혜영 공저,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2004. 서해문집
추천자료
[중국 공산당]중국공산당(중국공산주의)의 구조, 중국공산당(중국공산주의)의 특성, 중국공산...
고등학교 중국어교육의 교육과정변천, 고등학교 중국어교육의 일반선택과목(중국어Ⅰ)과 심화...
[중국공산당][중국공산주의][공산당]중국공산당(중국공산주의)의 조직원리, 중국공산당(중국...
[중국어 동사][품사][중국어][복합동사]중국어 품사 동사의 분류, 중국어 품사 동작동사, 중...
[중국문학][개혁문학][민간문학][강호시파][구정량][도연명]중국문학과 개혁문학, 중국문학과...
[중국문학][민간문학][소수민족문학][육유][몽롱시]중국문학의 변천, 중국문학과 되돌아보기...
외국어교육 중국어교과 목표와 필요성, 외국어교육 중국어교과 중학교교육과정, 외국어교육 ...
[중국 과학기술 위상][중국 과학기술 기관][중국 과학기술 인력양성][중국 과학기술 기술혁신...
[중국철학, 중국철학 성격, 중국문화, 음양오행설, 모종삼, 모택동, 마오쩌둥, 중국]중국철학...
[중국IT, 정보기술, IT시장, 정보기술시장, IT산업, 정보기술산업]중국IT(정보기술)의 경쟁력...
[중국, 일본, 농업, 근대화, 역사인식, 역사왜곡]중일농업(중국과 일본의 농업), 중일근대화(...
[중국국유기업, 중국국유기업 주식합작제, 중국국유기업 총요소생산성, 중국국유기업 개혁]중...
[중국불교, 중국불교와 불교전래, 중국불교와 선재동자, 중국불교와 선종, 중국불교와 당왕조...
[한국중국일본 삼국(한중일3국)]한국중국일본 삼국(한중일3국)의 위상, 한국중국일본 삼국(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