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삼면초가(三面楚歌) 위메이드
: 과거의 성공에 안주할 것인가?
1.기업소개
2.진입동기
3.중국시장 진출과 법적 분쟁
4.정체의 이유
5.제언
: 과거의 성공에 안주할 것인가?
1.기업소개
2.진입동기
3.중국시장 진출과 법적 분쟁
4.정체의 이유
5.제언
본문내용
삼면초가(三面楚歌) 위메이드
: 과거의 성공에 안주할 것인가?
기업소개
MMORPG의 선도자
중국을 넘어 세계로 향하는 위메이드
기업소개
╋━━━━━━━━━━─────────
위메이드 엔터테인먼트 (Wemade entertainment)
회사명 : (주) 위메이드 엔터테인먼트
설립 : 2000년 2월 10일
대표 : 박관호, 서수길 이사
주요 사업 : 온라인 게임 개발, 서비스
주력 제품 : 인터넷 온라인 게임
종업원 : 460명
≪ 그 래 프 ≫
〓〓〓〓〓〓〓〓〓〓〓〓〓〓〓〓〓〓〓〓〓〓〓〓〓〓〓〓〓〓〓〓〓〓〓〓〓〓〓〓〓〓〓〓〓〓〓〓〓〓〓
그리고 그 중에서 미르의 전설 2는 해외매출의 80프로이상을 차지하며
위메이드의 주 수익원, Cash cow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미르의 전설 2뿐만이다.
기업소개
╋━━━━━━━━━━─────────
개발력
• 박관호 대표이사
- 위메이드창업, 미르의 전설2 개발
• 서수길 대표이사
- SK C&C 기획본부장, 액토즈소프트 대표이사
• 전문개발인력 보유
- 평균 경력 7.5년,
- 1세대 게임개발요원 포함 320명
Tight Management
• 개발프로세스의 Innovation
• 비용 Control
• 안정적 Cash Flow 창출
• 인재육성을 위한 인프라, 프로세스 강화
운영력
• 고객과의 24시간 서비스
• 고객의견 수렴을 통한 게임의 업데이트 및 User 커뮤니티 지원
• 유저 간담회 및 오프라인 커뮤니티 지원
• 아발론, 젬파이터 User들의 e -Sports 행사 참여를 통한 충성도 제고
네트워크
• 샨다 : 중국 3대 퍼블리셔.
- 견고한 자국보호정책(판호)으로부터 안정적 시장지위 제공
- 미르2의 중국 진출시 부터 현재까지 파트너십 유지
• 세계 유수의 퍼블리싱 기업과 전략적 제휴 북미현지법인 기반 전세계 네트워크 확보
- 북미(OG Planet, Gamepot), 중국(Shanda, XNet)
- 일본(C&C Media, Arario), 대만(IGS), 동남아시아(Asiasoft), 유럽(BURDA)
: 과거의 성공에 안주할 것인가?
기업소개
MMORPG의 선도자
중국을 넘어 세계로 향하는 위메이드
기업소개
╋━━━━━━━━━━─────────
위메이드 엔터테인먼트 (Wemade entertainment)
회사명 : (주) 위메이드 엔터테인먼트
설립 : 2000년 2월 10일
대표 : 박관호, 서수길 이사
주요 사업 : 온라인 게임 개발, 서비스
주력 제품 : 인터넷 온라인 게임
종업원 : 460명
≪ 그 래 프 ≫
〓〓〓〓〓〓〓〓〓〓〓〓〓〓〓〓〓〓〓〓〓〓〓〓〓〓〓〓〓〓〓〓〓〓〓〓〓〓〓〓〓〓〓〓〓〓〓〓〓〓〓
그리고 그 중에서 미르의 전설 2는 해외매출의 80프로이상을 차지하며
위메이드의 주 수익원, Cash cow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미르의 전설 2뿐만이다.
기업소개
╋━━━━━━━━━━─────────
개발력
• 박관호 대표이사
- 위메이드창업, 미르의 전설2 개발
• 서수길 대표이사
- SK C&C 기획본부장, 액토즈소프트 대표이사
• 전문개발인력 보유
- 평균 경력 7.5년,
- 1세대 게임개발요원 포함 320명
Tight Management
• 개발프로세스의 Innovation
• 비용 Control
• 안정적 Cash Flow 창출
• 인재육성을 위한 인프라, 프로세스 강화
운영력
• 고객과의 24시간 서비스
• 고객의견 수렴을 통한 게임의 업데이트 및 User 커뮤니티 지원
• 유저 간담회 및 오프라인 커뮤니티 지원
• 아발론, 젬파이터 User들의 e -Sports 행사 참여를 통한 충성도 제고
네트워크
• 샨다 : 중국 3대 퍼블리셔.
- 견고한 자국보호정책(판호)으로부터 안정적 시장지위 제공
- 미르2의 중국 진출시 부터 현재까지 파트너십 유지
• 세계 유수의 퍼블리싱 기업과 전략적 제휴 북미현지법인 기반 전세계 네트워크 확보
- 북미(OG Planet, Gamepot), 중국(Shanda, XNet)
- 일본(C&C Media, Arario), 대만(IGS), 동남아시아(Asiasoft), 유럽(BURDA)
추천자료
우리나라 기업 중국진출 성공/실패 사례
다국적기업 사례 - 가파치의 공동 브랜드 개발 및 중국진출
국제경영사례분석 - 주식회사 '대교'의 중국진출
오리온 초코파이의 중국시장진출 마케팅전략 성공사례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성공과 실패 사례 분석
(주)제너시스BBQ그룹의 마케팅 조사를 통한 “B B Q” 중국진출 성공사례
해외투자론,실패사례,중국시장진출,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마텔 Mattel 중국시장진출 마케팅실패 사례분석및 해결방안 제안 및 나의의견
[이랜드 경영전략과 글로벌마케팅전략] 이랜드 기업분석과 이랜드의 해외 마케팅전략분석및 ...
이마트의 성공과 중국진출 케이스연구 ( 이마트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이마트 성공요인과 경...
락앤락 마케팅전략 케이스연구 (락앤락 기업분석과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과 락앤락 중...
아모레퍼시픽 중국진출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과 아모레퍼시픽 중국진출 성공사례및 경...
MCM 브랜드분석과 SWOT분석및 MCM 마케팅전략 사례연구와 MCM 중국진출전략제안과 느낀점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중국진출 사례분석[ 삼성전자=성공 vs LG전자=실패 ] : 중국진출 사례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