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1 화학으로의 접근 실험법
1.2 화학과 원소
1.3 원소와 주기율표
1.4 원소의 특성
1.5 실험과 측정
1.6 질량의 측정
1.7 길이의 측정
1.8 유도단위 - 부피의 측정
1.9 온도의 측정
1.10 측정의 정확도, 정밀도 및 유효숫자
1.11 수의 반올림
1.12 계산 : 단위 환산
1.13 물질의 성질 : 밀도
1.2 화학과 원소
1.3 원소와 주기율표
1.4 원소의 특성
1.5 실험과 측정
1.6 질량의 측정
1.7 길이의 측정
1.8 유도단위 - 부피의 측정
1.9 온도의 측정
1.10 측정의 정확도, 정밀도 및 유효숫자
1.11 수의 반올림
1.12 계산 : 단위 환산
1.13 물질의 성질 : 밀도
본문내용
3
풀이
(a) 4 (b) 4 (c) 3, 4 (d) 참값
1.11 수의 반올림
곱하거나 나눌 때
더하거나 뺄 때
버리려는 첫 번 째 자리 숫자 < 5
5.663 507 → 5.66
버리려는 첫 번 째 자리 숫자 ≥ 6
5.663 507 → 5.7
버리려는 첫 번 째 자리 숫자가 5이고 영이 아닌 숫자가 뒤따르면
5.663 507 → 5.664
버리려는 첫 번 째 자리 숫자가 5이고 뒤따른 숫자가 없다면 왼쪽 숫자가 홀수이면 반올림하여 올리고, 짝수이면 반올림하여 내린다
4.7475 → 4.748
4.7465 → 4.746
1.12 계산 : 단위 환산
예제
독일의 고속차 전용도로는 속도제한이 없어서 스포츠형 자동차인 포르쇄와 멜세더스가 190km/h로 매우 빨리 달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속도는 몇 mi/h인가?
풀이
190km/1h x 0.6214mi/1km = 118mi/h
예제
190km/h로 막 지나간 멜세더스는 100km당 16L의 속도로 가솔린을 사용하고 있다. 이 속도는 갤론당 마일로 따져서 얼마가 되는가?
풀이
100km x 0.6214mi/1km = 62.14mi
16L x 1gal/3.78L = 4.2328gal
62.14mi/4.2328gal = 14.68mi/gal = 15mi/gal
또는
100km/16L x 3.78L/1gal x 0.6214/1km = 14.68mi/gal = 15mi/gal
예제
인도네시아의 크라카타우(Krakatau)섬을 파멸시킨 1883년 8월 27일의 화산 폭발은 어림잡아 4.3mi3의 화산재를 대기 중에 방출시켰다. SI 단위로 하면 총 몇 세제곱 미터(m3)를 방출하였느가?
풀이
4.3m3 x (1km/0.6214mi)3 = 17.92km3
17.92km3 x (1000m/1km)3 = 1.792x1010m3 = 1.8x1010m3
1.13 물질의 성질 : 밀도
물리적 성질 - 화학적 구조의 변화 없이 측정되는 성질 (색, 질량, 녹는점, 끓는점, 온도)
화학적 성질 - 화학적 구조를 변화시키는 성질 (철이 산화되어 녹이 쓰는 것)
세기 성질 - 시료의 양에 의존하지 않는 값 (온도, 녹는점, 밀도)
크기 성질 - 시료의 크기에 의존하는 값 (질량, 길이, 부피)
예제
금 1.000lb의 부피(cm3)는 얼마인가?
풀이
1.000lb 금 x 454g/1lb = 454g 금
454g 금 x 1cm3/19.31g = 23.5cm3 금
풀이
(a) 4 (b) 4 (c) 3, 4 (d) 참값
1.11 수의 반올림
곱하거나 나눌 때
더하거나 뺄 때
버리려는 첫 번 째 자리 숫자 < 5
5.663 507 → 5.66
버리려는 첫 번 째 자리 숫자 ≥ 6
5.663 507 → 5.7
버리려는 첫 번 째 자리 숫자가 5이고 영이 아닌 숫자가 뒤따르면
5.663 507 → 5.664
버리려는 첫 번 째 자리 숫자가 5이고 뒤따른 숫자가 없다면 왼쪽 숫자가 홀수이면 반올림하여 올리고, 짝수이면 반올림하여 내린다
4.7475 → 4.748
4.7465 → 4.746
1.12 계산 : 단위 환산
예제
독일의 고속차 전용도로는 속도제한이 없어서 스포츠형 자동차인 포르쇄와 멜세더스가 190km/h로 매우 빨리 달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속도는 몇 mi/h인가?
풀이
190km/1h x 0.6214mi/1km = 118mi/h
예제
190km/h로 막 지나간 멜세더스는 100km당 16L의 속도로 가솔린을 사용하고 있다. 이 속도는 갤론당 마일로 따져서 얼마가 되는가?
풀이
100km x 0.6214mi/1km = 62.14mi
16L x 1gal/3.78L = 4.2328gal
62.14mi/4.2328gal = 14.68mi/gal = 15mi/gal
또는
100km/16L x 3.78L/1gal x 0.6214/1km = 14.68mi/gal = 15mi/gal
예제
인도네시아의 크라카타우(Krakatau)섬을 파멸시킨 1883년 8월 27일의 화산 폭발은 어림잡아 4.3mi3의 화산재를 대기 중에 방출시켰다. SI 단위로 하면 총 몇 세제곱 미터(m3)를 방출하였느가?
풀이
4.3m3 x (1km/0.6214mi)3 = 17.92km3
17.92km3 x (1000m/1km)3 = 1.792x1010m3 = 1.8x1010m3
1.13 물질의 성질 : 밀도
물리적 성질 - 화학적 구조의 변화 없이 측정되는 성질 (색, 질량, 녹는점, 끓는점, 온도)
화학적 성질 - 화학적 구조를 변화시키는 성질 (철이 산화되어 녹이 쓰는 것)
세기 성질 - 시료의 양에 의존하지 않는 값 (온도, 녹는점, 밀도)
크기 성질 - 시료의 크기에 의존하는 값 (질량, 길이, 부피)
예제
금 1.000lb의 부피(cm3)는 얼마인가?
풀이
1.000lb 금 x 454g/1lb = 454g 금
454g 금 x 1cm3/19.31g = 23.5cm3 금
추천자료
[환경측정]유기용제 측정실험
면역 측정법 및 면역화학적 측정법
pH meter 측정/ph측정[실험레포트]
총균수 측정, 생균수 측정
빛의 속력 측정, 빛의 속도 측정 실험보고서 (일반물리학 실험)
빛의 속력 측정, 빛의 속도 측정 실험보고서 (일반물리학 실험)
휘트스톤브릿지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 - Wheatstone bridge 에 의한 전기저항 측정
[실험보고서] pH 측정 - 지시약의 변색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미지용액의 pH를 측정...
[실험보고서] 반응열 측정 - 헤스의 법칙을 이용하여 반응열을 측정한다
일반화학실험 예혼합 연소에서의 4Gas 측정 실험 및 부분예혼합 연소에서의 화염온도 측정 실험
고체의 비열 측정 : 물 열량계를 이용하여 혼합방법으로 고체의 비열을 측정한다
영양생화학실험A+) TBA가 측정 및 총폴리페놀 함량 측정
고체의 비중측정 (예비 레포트) : Jolly의 튀게저울을 사용하여 물보다 밀도가 큰 고체의 비...
액체의 점도측정 실험(결과레포트)Ostwald 점도계법을 이용한 점도측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