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제들을 재검토한 후에 새롭고 더 강력한 종합을 이루려고 노력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가 제시한 존재 개념의 유비적 성격을 거부하고 존재 개념은 근본적으로 어떤 경우에든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일의성을 지닌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비 개념을 전적으로 부정하지는 않았지만 만물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존재라는 개념은 사물들이 극단적으로 달라도 존재한다는 측면에서는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제1동자나 존재 자체라는 개념보다는 무한한 존재라는 개념이 신에게 더욱 적합한 개념이라고 주장하여 아퀴나스의 신 존재 증명도 변형시키려 하였고 보편 문제에서도 그는 온건 실재론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된 보편성의 우위에 대항해서 개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그는 인간에게서 자유라는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 아퀴나스와 대조적으로 지성에 대한 의지의 우위를 주장하여, 아퀴나스가 의지는 지성의 선이라고 인정한 것을 욕구한다고 보는 반면, 스코투스는 의지의 본성은 욕구라기 보다는 자유이며 따라서 지성보다 상위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렇게 인간에 있어서 의지의 가치를 인식의 가치보다 높이 평가하였다.
또한 스코투스 외에도 신학과 철학을 명확하게 구분하려 했던 알베르투스와 아퀴나스의 시도를 비판하며 이 학문 분야들을 다시 하나로 묶는 체계화를 시도하기도 하였다. 오베르뉴의 윌리엄과 오셰르 윌리엄은 신앙의 가르침을 조직적으로 묘사하는 데 발전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베이컨은 신학자들의 경험적인 학문에 대한 무지, 영적인 의미의 오용, 성서에 대해 우선하는 것등을 비판하면서 다른 전통적인 사조에서 받아들여진 신학과 철학의 구분을 다시 원상태로 돌리려고 시도하였다.
3. 토마스 아퀴나스의 현대적 의의
13세기에는 인간 이성이 신의 존재에 대한 어떤 직관적 확신을 가질 수 있다는 신학적 확신이 만연하였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에 대하여 인간은 어떤 직관적 확신도 가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그는 신학대전을 저술하면서 냉철한 판단력과 과학적 근거, 이성을 통해 저술하면서 놀라울 정도의 신비적 체험과 영적 세계에 몰입하여 만날 수 없을 것 같은 이성과 신앙을 일치시켰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통전적 해석을 통해 새로운 철학적 접근을 시도하여 중세 시대의 최고 절정에 오를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에 비추어 볼 때, 한국교회의 모습을 재조명해볼 수 있어야 하겠다. 수많은 교파와 교단으로 나누어진 한국교회는 각 교단의 신학과 분위기에 따라 인문과학과 세속적 가치관에 따른 여러 비평들을 통한 성서해석과 그 권위를 인본주의로 전락시킨다. 또한 반대로, 성경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연구와 분석 없이 자의적 해석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평가 절하시키기도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신학적 대립과 갈등속에 놓여 있는, 그로 인한 분열을 거듭하고 있는 한국교회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함의 자세를 통해 이성과 신앙의 일치를 추구하여 뜨거운 가슴과 냉철한 머리로 한국교회를 세우고 이끌어가야할 지도자가 길러져야 할 것이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가 제시한 존재 개념의 유비적 성격을 거부하고 존재 개념은 근본적으로 어떤 경우에든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일의성을 지닌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비 개념을 전적으로 부정하지는 않았지만 만물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존재라는 개념은 사물들이 극단적으로 달라도 존재한다는 측면에서는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제1동자나 존재 자체라는 개념보다는 무한한 존재라는 개념이 신에게 더욱 적합한 개념이라고 주장하여 아퀴나스의 신 존재 증명도 변형시키려 하였고 보편 문제에서도 그는 온건 실재론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된 보편성의 우위에 대항해서 개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그는 인간에게서 자유라는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 아퀴나스와 대조적으로 지성에 대한 의지의 우위를 주장하여, 아퀴나스가 의지는 지성의 선이라고 인정한 것을 욕구한다고 보는 반면, 스코투스는 의지의 본성은 욕구라기 보다는 자유이며 따라서 지성보다 상위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렇게 인간에 있어서 의지의 가치를 인식의 가치보다 높이 평가하였다.
또한 스코투스 외에도 신학과 철학을 명확하게 구분하려 했던 알베르투스와 아퀴나스의 시도를 비판하며 이 학문 분야들을 다시 하나로 묶는 체계화를 시도하기도 하였다. 오베르뉴의 윌리엄과 오셰르 윌리엄은 신앙의 가르침을 조직적으로 묘사하는 데 발전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베이컨은 신학자들의 경험적인 학문에 대한 무지, 영적인 의미의 오용, 성서에 대해 우선하는 것등을 비판하면서 다른 전통적인 사조에서 받아들여진 신학과 철학의 구분을 다시 원상태로 돌리려고 시도하였다.
3. 토마스 아퀴나스의 현대적 의의
13세기에는 인간 이성이 신의 존재에 대한 어떤 직관적 확신을 가질 수 있다는 신학적 확신이 만연하였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에 대하여 인간은 어떤 직관적 확신도 가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그는 신학대전을 저술하면서 냉철한 판단력과 과학적 근거, 이성을 통해 저술하면서 놀라울 정도의 신비적 체험과 영적 세계에 몰입하여 만날 수 없을 것 같은 이성과 신앙을 일치시켰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통전적 해석을 통해 새로운 철학적 접근을 시도하여 중세 시대의 최고 절정에 오를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에 비추어 볼 때, 한국교회의 모습을 재조명해볼 수 있어야 하겠다. 수많은 교파와 교단으로 나누어진 한국교회는 각 교단의 신학과 분위기에 따라 인문과학과 세속적 가치관에 따른 여러 비평들을 통한 성서해석과 그 권위를 인본주의로 전락시킨다. 또한 반대로, 성경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연구와 분석 없이 자의적 해석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평가 절하시키기도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신학적 대립과 갈등속에 놓여 있는, 그로 인한 분열을 거듭하고 있는 한국교회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함의 자세를 통해 이성과 신앙의 일치를 추구하여 뜨거운 가슴과 냉철한 머리로 한국교회를 세우고 이끌어가야할 지도자가 길러져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독일 철학
유럽의 철학
스콜라철학의 기본 개념(본질)
과학과 기술, 철학의 관계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한 견해
[교육철학] 실재주의와 교육
철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로크][로크사상][로크의 사상]로크의 생애, 로크의 사상, 로크의 정치사상, 로크의 유아교육...
철학 역사를 만나다 독후감
서양철학의 흐름 핵심정리
교육과정 공통) 교육철학이론의 주요 개념과 강조점
[신학]사회과학에 관한 기독교 철학적 고찰(레포트)
열 명의 위대한 철학자들
[교육과정 1번항목] 항존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재건주의 교육철학에 대한 설명
[교육과정] (1)항존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재건주의 교육철학, (2)교과중심 및 학문중심 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