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경영론,저가항공사,LCC,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항공사경영론,저가항공사,LCC,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가. 문제제기

1. 왜 저가항공사가 늘어나고 있는가?

나. 저 비용 저가 항공사의 기원

1. 저가 항공사란
2. 저가 항공사의 효시

▣ 본론
가. 저가 항공사의 성공사례와 비결

1. 국외 저가 항공사
(1) 저가 항공의 모델이 된 Southwest Airlines
(2) 가죽 의자와 기내 개인별 TV Jet blue
(3) 오렌지색 혁명 Easy Jet

2. 국내 저가 항공사
(1) E-star항공

나. 저가 항공사의 실패 사례

1. 국외 저가 항공사
(1) 브리티시 항공의 저가 자화사 Go
(2) KLM 의 저가 자회사 Buzz
(3) 영국의 Debonair

2. 국내 저가 항공사
(1) 한성항공

다. 아주 특별한 저가 항공사의 서비스
라. 저가항공사의 안전성

▣ 결론
가. 저가 항공사의 공통된 성공, 실패요인
나. SWOT분석

본문내용

리카에는 ICAO가 소음 기준으로 운항을 금지시킨 B727,707 여객기가 운항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결론적으로 저비용의 저가 항공사가 대형 항공사 보다 반드시 안전하지 못 하다는 명제는 성립되지 않는다.
▣ 결론
가. 공통되는 성공 요인과 실패 요인
1-1. 성공 요인
㉠ 중고 제트 항공기 구입
- 중고 제트 항공기 구입을 통해 큰 돈을 들이지 않고 항공사 사정에 따라 적시에 항공기 확보가 가능해야 하면 구입시 기종은 되도록 단일화해서 정비 및 보수, 유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해야 한다.
㉡ 인건비의 최소화
- 기내식과 같은 서비스들은 되도록 생략하고 인력을 최소화해서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업무를 맡아 함으로써 인건비를 줄여야 한다. 가장 성공적인 사우스웨스트 항공의 경우 직원 1인당 매출이 세계 최고다.
㉢ 온라인 티켓 판매
- 여행사 대리점 등을 통하지 않고 온라인을 통한 티켓 판매 역시 저가 항공사의 철저한 저비용 구조 확립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조건이다.
㉣ 항공기 가동률의 극대화
- 1일 12시간으로 항공기 가동률을 극대화하고 시내 중심부가 아닌 변두리 제2, 3공항으로 취항함으로써 공항 비용을 절감하기도 한다. 동시에 탑승률 80% 이상을 유지하고 무사고와 정시운항이 무엇보다 큰 강점이다. 각 지역에 따라 노선 운항에는 조금씩 차이를 보이는데 미국과 호주, 브라질의 저가 항공사의 경우에는 국내선 위주이고, 유럽의 저가 항공사는 국제선을 위주로 수입 단가가 높은 노선에 저가 취항한다는 정책을 표방하고 있다.
1-2. 실패 요인
㉠ 저비용 구조 확립의 실패
- 저가 항공사가 실패하는 데에는 철저하게 저비용 구조를 갖추지 못한 데서 오는 요인이 가장 크다. 과다한 관리비와 판매 수수료, 상용 고객 우대제도 누적 부채, 과다한 판촉비, 급격한 임금 상승과 후생 복리비 등이 저가 항공사의 성장을 가로막는 1차적인 아킬레스건이 되는 것이다.
㉡ 충분한 자본 확보
- 항공사를 시작할 무렵에 충분한 초기 투자금과 자기 자본을 확보하지 못하면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경영할 수 없으므로 그 또한 실패의 요인이 된다.
㉢ 과다 경쟁
- 신생 항공사 간의 과다 경쟁으로 인한 과잉 공급과 대형 항공사의 요금 및 광고 공세, 공항space 경제로 시장 진입에 실패하기도 하고 불공정 경쟁 행위에 휘말려들거나 독과점 행태의 규제와 제재에 힘이 딸려서 도산하게 되는 경우도 많다.
나. SWOT 분석
1. 진에어의 SWOT분석
진에어의 강점
- 대한항공의 노하우를 전수 받은 안전성
- 좌석 배정의 차별화
진에어의 약점
- 일반회사의 비해 수익률 저하
- 손님들의 좌석 배정 불만
진에어의 기회
- 국제노선 취항 (중국, 일본등)
- 환경 콘서트를 통한 자연스러운 홍보
진에어의 위협
- 응급환자 이송 불가능
- 직원들의 다양한 업무량으로 인한 부담감
① S-O전략
- 국제노선의 취항을 앞두고 있어서 진에어의 강점인 대한항공에서 전수받은 안전성을 이용해 국제선에도 안전하게 운항 할 수있게 하도록 하고 다만 좌석배정을 해야 할 필요도 있는 것 같다.
② S-T 전략
- 진에어가 안전하다는 강점은 있지만 응급환자를 이송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저가 항공이라 기내가 작은 면도 있다. 응급환자도 저가 항공을 원할 수도 있는 면이 있다. 저가항공과 일반항공사간의 비행시간도 그렇게 많이 차이가 나지는 않다. 응급환자라도 앉아서 갈 수 있는 환자라면 이송도 해주는 방면이 좋을것 같다. 또한 조직이 그리 크지 않은 편이라 직원들이 여러 방면에서 일을 할 수 있어야하는데 직원들의 힘들어 하는 점과 부담감으로 인해 진에어의 강점인 안전성이 떨어 질 수도 있다는 점이다. 한 직원이 다양한 업무를 맡는게 아니라 각 업무를 분업하하여 안정이 더 될 수있도록 하여야 한다.
③ W-O전략
- 현재보다 다양한 국제노선을 취항해서 수익률을 높여야한다. 요즘은 저가항공사가 많이 뜨고 있는 점이 있다. 해외를 나갈 때에도 저가항공사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사회간접자본에 기여되어 있는 기업이라 일반회사처럼 큰 이윤을 내지는 못 할 것이나 그래도 여러 나라을 취항하다보면 지금보다는 많은 이윤을 낼 수도 있다는 점이다. 또한 국내는 좌석이 지정좌석이 아닌 구역만 지정해주면 그 구역안에서는 아무데나 앉아도 된다. 하지만 이런 제도로 인해 비즈니스하는 사람들은 불만을 크게 내고 있다. 비즈니스맨들은 늦게타고 빨리 내려야 하는 면이 있다. 우선탑승제라는 것이 있지만 이것은 돈을 지불해야 하며 먼저 타야만 자신이 원하는 좌석에 앉을 수 잇다. 이러한 경우 비즈니스 맨들을 위해 따로 지정좌석제를 시행을 해주면 서로 만족 할 수 도 있을 것 같다.
④ W-T전략
- 국내선에서는 좌석 배정이 안되고 있다. 물론 응급환자도 탑승이 되지 않고 있다. 만약 제주도에서 응급환자를 서울로 이송해야 할때는 헬기 밖에 없는 걸로 알고 있다. 하지만 헬기보다 빠른 비행기로 이송을 한다면 좋지 않을까한다. 하지만 응급환자가 잘못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있지만 의사동행과 길어야 한시간이다. 한시간이면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것도 괜찮은 것 같다. 또한 일반 항공사처럼 자리를 배정하거나 인터넷으로 자기가 원하는자리에 배정을 한다면 사람들에게도 불만이 없을 것 같다.
출처:
1. 국회도서관 - “저가항공사 성공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최경훈) 한국항공대 경영 대학원 2008.08
2. 위키백과사전 - 한성항공
http://ko.wikipedia.org/wiki/%ED%8B%B0%EC%9B%A8%EC%9D%B4%ED%95%AD%EA%B3%B5#cite_note-han1-0
3. 네이버블로그 - 김동민기자의 ‘판도라 정치’ http://blog.naver.com/zoomin0313?Redirect=Log&logNo=50038531261
4. 제주에어 네이버 카페(제주항공의 모든 것), http://cafe.naver.com/gojejuair
5. 네이버블로그 (아주경제신문)
http://blog.naver.com/ceo119?Redirect=Log&logNo=150070630447
6. “저가항공사의 성공스토리” (함대영)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5.14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56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