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가족제도의 대안
2. 여성들의 주체성 찾기
3. 종교적 비판
Ⅲ. 결 론
Ⅱ. 본 론
1. 가족제도의 대안
2. 여성들의 주체성 찾기
3. 종교적 비판
Ⅲ. 결 론
본문내용
죽음으로만 화해할 수 있었던 점에 대해서 종교가 그 이유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제시한다. 즉 종교로 인해 인간들이 서로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종교적 가치관인 사람을 이해하지 못하고 반목하게 된다는 것이다. 영화는 "미친 마돈나와 신교도의 거리는 우리와 달까지의 거리만큼이나 멀 것"이라는 안토니아의 말을 통해 다른 종교적 가치관의 심각성에 대해서 비판한다.
셋째 종교는 인간의 자유를 억압해왔다. 신부가 신부복을 벗어던지고 자유를 외치는 장면에서 영화는 종교가 인간의 자유를 구속해왔다고 비판한다. 신부는 신부라는 이유로 삶에 제한을 받게 되고 고통을 느끼며 살았을 것이다. 즉 종교가 인간을 죄악에서 구원하기보다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종교로 변질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는 그 해결책으로 종교를 버리고 자유를 좇는 것을 제시함으로 자유를 추구하는 것이 더 인간적이고 자연적임을 말한다.
이 영화는 종교의 남성 중심적인 사고를 비판하면서 종교의 역기능(갈등 조장, 자유억압)에 대해서 다루었다. 과거 이런 종교의 잘못된 점에 대해서 숨기고 피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영화는 이러한 잘못된 점을 바로 잡을 때에 여성과 남성이 평등하게 살고, 인간이 자유롭게 살 수 있음을 말한다.
Ⅲ. 결 론
이 영화는 이제까지 보아온 영화와는 많은 면에서 다른 느낌이었다. 회고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이 영화는 페미니즘 영화이기 때문인지 몰라도 가족이나 결혼에 대한 일방적인 생각들을 여지없이 깨버린다. '안토니아스 라인'은 쉽지 않은 이야기들을 유쾌하게, 그러나 결코 가볍지 않게 풀어나간다. 어느 누구도 억압하거나 억압당하지 않고, 자신의 의지대로 삶을 꾸려나갈 수 있으며, 상대방의 삶과 모습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 주기 위한 노력이 바로 이 영화에 다 녹아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90년대 들어 페미니즘에 관한 연구가 본격화되면서 우리나라에도 페미니즘 영화, 혹은 여성문제를 다룬 영화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너무 무겁게 영화를 끌고 가거나, 단순한 문제에 집착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되며, 그보다 여성 영화 자체의 수가 너무 적은 것 같다. 하지만 '안토니아스 라인'은 결코 페미니즘적으로 치우쳐서 여성상위를 그리거나 무게감을 주기위해 만들어진 영화가 아니었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사회를 '안토니아스 라인'은 그려내고 있었다. 이런 영화에서 같은 평등집단이 보편화되는 사회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ss
셋째 종교는 인간의 자유를 억압해왔다. 신부가 신부복을 벗어던지고 자유를 외치는 장면에서 영화는 종교가 인간의 자유를 구속해왔다고 비판한다. 신부는 신부라는 이유로 삶에 제한을 받게 되고 고통을 느끼며 살았을 것이다. 즉 종교가 인간을 죄악에서 구원하기보다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종교로 변질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는 그 해결책으로 종교를 버리고 자유를 좇는 것을 제시함으로 자유를 추구하는 것이 더 인간적이고 자연적임을 말한다.
이 영화는 종교의 남성 중심적인 사고를 비판하면서 종교의 역기능(갈등 조장, 자유억압)에 대해서 다루었다. 과거 이런 종교의 잘못된 점에 대해서 숨기고 피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영화는 이러한 잘못된 점을 바로 잡을 때에 여성과 남성이 평등하게 살고, 인간이 자유롭게 살 수 있음을 말한다.
Ⅲ. 결 론
이 영화는 이제까지 보아온 영화와는 많은 면에서 다른 느낌이었다. 회고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이 영화는 페미니즘 영화이기 때문인지 몰라도 가족이나 결혼에 대한 일방적인 생각들을 여지없이 깨버린다. '안토니아스 라인'은 쉽지 않은 이야기들을 유쾌하게, 그러나 결코 가볍지 않게 풀어나간다. 어느 누구도 억압하거나 억압당하지 않고, 자신의 의지대로 삶을 꾸려나갈 수 있으며, 상대방의 삶과 모습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 주기 위한 노력이 바로 이 영화에 다 녹아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90년대 들어 페미니즘에 관한 연구가 본격화되면서 우리나라에도 페미니즘 영화, 혹은 여성문제를 다룬 영화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너무 무겁게 영화를 끌고 가거나, 단순한 문제에 집착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되며, 그보다 여성 영화 자체의 수가 너무 적은 것 같다. 하지만 '안토니아스 라인'은 결코 페미니즘적으로 치우쳐서 여성상위를 그리거나 무게감을 주기위해 만들어진 영화가 아니었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사회를 '안토니아스 라인'은 그려내고 있었다. 이런 영화에서 같은 평등집단이 보편화되는 사회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ss
키워드
추천자료
[감상문]신경숙 - 외딴방
기독교와 여성
식품영양학과 감상문
[우수 평가 자료]바보처럼 공부하고 천재처럼 꿈꿔라 독후감상문- 느낀점과 교훈을 중심으로
한국영화와 시대상황 관련
파니핑크 감상문
영화 포스터 및 타이틀 분석
[도서감상문]잭웰치의 '인재경영'을 읽고
영화 작품 직접 만들고 기획하기(ppt)
[독후감상문] 웰니스(Wellness : 뇌를 바꾸는 운동혁명)
[독후감/감상문/서평/요약/줄거리] 소셜 지용활 - SNS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최상의 방...
[서양복식사 직물사] 1950년대 서양복식 뉴룩(NEWLOOK) (사회,문화적 배경, 패션의 전반적 특...
[독서감상문] 최고의리더를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