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미술사] 간다라 미술에 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도미술사] 간다라 미술에 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주제 : 간다라 미술


1. 서론
 - 문화로서의 종교
2. 본론
 2-1 간다라 미술의 유래 및 역사
 2-2 간다라 미술의 특징
   2-2-1) 간다라 불상
   2-2-2) 간다라 조각
   2-2-3) 간다라 사원
 2-3 간다라 미술의 영향
3. 결론
 - 간다라 미술의 의의
4. 출처

본문내용

불탑을 중심으로 대중이 중심이 되어 석가모니에게 귀의하려는 불교의 학파 중 하나이다. 간다라 미술이 형성되어 활동하기 시작하던 쿠샨왕조 시대에 카니슈 카왕은 대승불교를 인정하여 간다라 미술과 대승불교는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발전 하게 되었다. 이후 대승불교는 불상의 전래와 함께 중앙아시아로 퍼진 뒤 유목민족을 거쳐서 중국까지 전해졌으며 그 후 중국에 의해 우리나라와 일본까지 걸쳐서 대승불교가 받아들여지면서, 동아시아 문화권은 자연스럽게 간다라 양식의 문화와 미술정신도 함께 받아들이게 되었다. 또한 혜초같은 우리나라의 순례승이나 중국의 순례승 및 사절단과 인도의 전도승들은 일반적으로 그 여정의 처음이나 마지막에서 간다라 지역의 불교나 불상을 접했기에 간다라의 불교와 불상들은 가장 많이 수용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간다라 불상이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불교 미술작품의 경우 간다라 미술의 영향을 그대로 받아 간다라의 특징을 나타낸다. 우리나라 의 경우 통일신라 미술세계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그 예로서는 석굴암 등의 통일신라 미술작품들이 있다.
▶ 대승불교가 퍼지는 경로
▶ 국보 제 24호 석굴암(통일신라 8세기 중엽)
불상의 옷차림이 서구적이고 물결모양의 머리 카락을 가진 것을 보아 간다라 미술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3. 결론
간다라 미술은 고대 인도의 서북부에서 발달했던 불교미술로써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의해 전해진 헬레니즘 문화(그리스로마문화 + 오리엔트문화)의 영향을 받아서 그리스계 미술과 인도 미술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미술양식이다. 알렉산더 대왕에 의해 간다라 지역은 동양과 서양의 문화가 만나는 지점이었으며, 처음으로 동양과 서양의 문화가 만나 융합을 꾀했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간다라 미술을 대표하는 것은 그리스식의 표현으로 새겨진 불상조각인데, 간다라 미술은 불상의 형태를 띤 채 중국, 중앙아시아 그리고 우리나라 통일신라 시대까지 전래되어 왔다. 즉 동아시아문화권에 큰 영향을 미친 불교의 근본 이념과 미술품의 표현법에 엄청난 영향을 가져왔다. 덧붙여서 극동지역의 동아시아 문화권까지도 동아시아로부터 엄청나게 멀리 떨어진 지중해 그리스식의 미술품들이 나타나게 되었다는 것은 문화의 전파와 그 흐름을 알아볼 수 있음과 동시에 세계의 모든 문화들이 서로 연관을 가지고 있다는 좋은 예시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간다라 미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좀 더 관심을 가지고 공부한다면 동양과 서양의 문화 그 자체뿐만 아니라 문화끼리의 상호관계에 대해서도 이해하기가 좀 더 쉬워질 것이다.
4. 출처
미야지 아키라, 인도미술사, 다미디어, 2006년
비드야 데헤자, 인도미술, 한길 아트, 1998년
아지트 무케르지, 인도종교미술, 동문선, 1995년
오강남, 세게종교 둘러보기, 서울 현암사, 2003년
문명대, 간다라에서 만난 부처, 한언, 2005년
Seckel Dietrich, 불교미술, 예경, 2002년
권희경, 불교미술의 기본, 학연문화사, 1999년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5.16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60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