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인적자원관리의 정의
Ⅱ. SAS
1. 기업선정이유
2. 기업소개
3. 경영방침
Ⅲ. SAS의 인력관리방침
1. SAS HRM의 기능별 분석
1) 복리후생 및 근무환경
2) 보상
3) 충원
4) 경력개발
5) 실적관리
6) 결과
Ⅳ. SAS HRM 시스템과 성과
Ⅴ. 결론
Ⅱ. SAS
1. 기업선정이유
2. 기업소개
3. 경영방침
Ⅲ. SAS의 인력관리방침
1. SAS HRM의 기능별 분석
1) 복리후생 및 근무환경
2) 보상
3) 충원
4) 경력개발
5) 실적관리
6) 결과
Ⅳ. SAS HRM 시스템과 성과
Ⅴ. 결론
본문내용
다. SAS의 실적관리 관련 기본 방침은 기대 수준을 높게 설정하고 직원들이 기대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스스로 행동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에 있다. 기회와 여건을 제공하면 직원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처럼 SAS는 신뢰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실적관리 역시 신뢰를 토대로 이루어지고 있다.
6) 결과
실리콘 밸리에서 많은 사람들이 스톡 옵션을 받고 많은 돈을 벌려고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렇게 하면 일찍 은퇴해서 그때부터 자신이 정말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고 자기가 원하는 인생을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SAS에서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아무 문제없이 병행할 수 있고, 쾌적한 환경에서 동료들과 함께 재미있게 일할 수 있다. SAS는 흔히 조직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중요한 특성 가운데 한 가지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바로 충분히 다른 직장을 구할 수 있는 사람들도 계속 남아있게 하는 근무 환경이다.
장기적인 관계에 바탕을 둔 SAS의 사업 모델과 제품 및 제품 전략의 성공은 모두 SAS의 경영방식의 결과인 인력관리와 낮은 이직률에 기인한 것이라 본다.
Ⅳ. SAS HRM 시스템과 성과
1) 세계적 경제불황 속에서도 살아남다
불황이지만 SAS는 올해도 이익이 플러스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업들은 다른 비용을 줄이면서도 비즈니스 정보 분석 소프트웨어 구입은 늘리고 있다. 과학적이고 사실에 근거한 비즈니스 의사 결정이 더욱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SAS는 성장에 대한 확신이 있으며 전 직원들의 해고하지 않고 약속을 지키는 것에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으며 직원들의 일자리를 지켜주기 위해 회사의 이익을 감소한다고 해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렇듯 SAS는 기업이 가장우선으로 하는 것이 직원이다. 이에 주요 고객인 기업과의 돈독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경영철학으로 세계적인 경제 불황속에서도, 치열한 경쟁시장에서도 SAS는 살아남는 차별화를 지니게 된 것이다.
2) 낮은 이직률
적극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통해서 SAS가 얻은 것은 낮은 이직률이었다. 동종업계 연 이직률 평균이 20%일 때, SAS는 4%도되지 않는 이직률을 자랑했다.
애초에 경영진의 인사관리 목표 자체가 ‘노동비용최소화’가 아니라 ‘이직률 줄이기’였다. 이유는 SAS의사업 모델에 있었다. SAS는 통계 패키지 소프트웨어를 기업에 판 뒤, 끊임없이 유료 업데이트를 통해 돈을 버는 수익모델을 갖고 있었다. 그러므로 소프트웨어 개발보다는사후 서비스와 고객 기업과의 관계가 가장 중요했고, 장기 근속 근무자인 직원들은 지속적인 고객관계유지에 적합했다. 낮은 이직률로 SAS에는 소프트웨어를 더 잘 이해하는 경험 많은 엔지니어들이 늘어났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는 질 좋은 사후서비스와 고객들의 신뢰로 이어졌고, 바로 경쟁력으로 이어졌다.
3) 매출액의 성장
한 번 자사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고객의 이탈률이 2% 이하, 미국 내 100위권에 속한 기업들 중 97%가, 500대 기업 기준으로는 80%가 SAS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다.
SAS는 1976년 창업 이래 지금껏 단 한 번의 적자도 없이 연평균 8.8%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Ⅴ. 결론
SAS의 경영방식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로, ‘독특성’과 ‘실질적 가치의 제공’으로 표현하고 있다. SAS가 추구하는 HRM은 당시 경쟁사들과 다른 방향성을 가지고 있었고, 상대적으로 ‘독특한 충격’을 전할 수 있었다. 회사의 경영방침과 실제 사업의 진행이 일치되며, 직원과 기업 양자에게 도움이 되는 ‘실질적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독특한 HRM을 완성시켰다.
우리는 위의 근거에 동의를 하며 ‘매우 급격한 환경의 변화가 도래’하지 않는 이상 SAS의 경영방식은 유효하고, 경쟁우위는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물론 ‘독특함’이라는 것은 산업군의 HRM 변화 조류를 통해 사라지거나 희석될 수 있지만, 그것이 실질적 가치와 맞닿아 있기 때문에 쉽사리 실패하지 않으리라 전망하는 것이다. 이직률 4%, 직원만족, BI시장의 선도자와 같은 SAS의 장점들은 단편적인 사실일 뿐이지만, 이를 가능하게 하는 HRM은 장기적이며, 전략적인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SAS가 추구하는 전략은 단면적으로는 모방하기가 쉬운 듯하다. 하지만 그것을 통해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는 힘들 듯하다. 왜냐하면 SAS 전략의 시발점은 단순히 ‘어떤 서비스, 어떤 제품’을 창출할 것인가 하는 ‘방법’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이를 뒷받침해주는 인적자원관리 방식과 연계되기 때문이다. 더구나 SAS의 인적자원관리는 ‘그들만의 조직문화’로 완성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SAS는 인재를 채용하는 것에서부터 관리, 직무배치에 이르는 일련의 HRM 과정을 통해 ‘평등, 즐거움, 관계’를 바탕으로 인재들을 키워왔고, 그러한 사람들이 모여 이룩한 문화가 SAS만의 조직문화이며 경쟁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직원들은 즐겁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직무에 몰입하여 한 차원 높은 수준의 고객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내부 구성원에게 고용보장을 약속함으로써 직원과 고객 간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소통 및 신뢰관계를 형성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자들 역시 즐겁고, 자유롭게 시간을 운용하여, 과중업무로 인한 실수를 방지하고 질 높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었다.
<참고자료>
http://blog.daum.net/jsh2708/7859753
http://blog.daum.net/999ajussi/15731871-'구글이 벤치마킹하는 회사,SAS'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hmind&logNo=80129724262
-가장 일하고 싶은 기업순위 및 사례
http://www.sas.com/offices/asiapacific/korea/resource/down/SASKorea_CompanyIntro.pdf -Introduction SAS
http://ksc12545.blog.me/150132395964 -미국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 : SAS Institute
6) 결과
실리콘 밸리에서 많은 사람들이 스톡 옵션을 받고 많은 돈을 벌려고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렇게 하면 일찍 은퇴해서 그때부터 자신이 정말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고 자기가 원하는 인생을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SAS에서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아무 문제없이 병행할 수 있고, 쾌적한 환경에서 동료들과 함께 재미있게 일할 수 있다. SAS는 흔히 조직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중요한 특성 가운데 한 가지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바로 충분히 다른 직장을 구할 수 있는 사람들도 계속 남아있게 하는 근무 환경이다.
장기적인 관계에 바탕을 둔 SAS의 사업 모델과 제품 및 제품 전략의 성공은 모두 SAS의 경영방식의 결과인 인력관리와 낮은 이직률에 기인한 것이라 본다.
Ⅳ. SAS HRM 시스템과 성과
1) 세계적 경제불황 속에서도 살아남다
불황이지만 SAS는 올해도 이익이 플러스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업들은 다른 비용을 줄이면서도 비즈니스 정보 분석 소프트웨어 구입은 늘리고 있다. 과학적이고 사실에 근거한 비즈니스 의사 결정이 더욱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SAS는 성장에 대한 확신이 있으며 전 직원들의 해고하지 않고 약속을 지키는 것에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으며 직원들의 일자리를 지켜주기 위해 회사의 이익을 감소한다고 해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렇듯 SAS는 기업이 가장우선으로 하는 것이 직원이다. 이에 주요 고객인 기업과의 돈독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경영철학으로 세계적인 경제 불황속에서도, 치열한 경쟁시장에서도 SAS는 살아남는 차별화를 지니게 된 것이다.
2) 낮은 이직률
적극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통해서 SAS가 얻은 것은 낮은 이직률이었다. 동종업계 연 이직률 평균이 20%일 때, SAS는 4%도되지 않는 이직률을 자랑했다.
애초에 경영진의 인사관리 목표 자체가 ‘노동비용최소화’가 아니라 ‘이직률 줄이기’였다. 이유는 SAS의사업 모델에 있었다. SAS는 통계 패키지 소프트웨어를 기업에 판 뒤, 끊임없이 유료 업데이트를 통해 돈을 버는 수익모델을 갖고 있었다. 그러므로 소프트웨어 개발보다는사후 서비스와 고객 기업과의 관계가 가장 중요했고, 장기 근속 근무자인 직원들은 지속적인 고객관계유지에 적합했다. 낮은 이직률로 SAS에는 소프트웨어를 더 잘 이해하는 경험 많은 엔지니어들이 늘어났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는 질 좋은 사후서비스와 고객들의 신뢰로 이어졌고, 바로 경쟁력으로 이어졌다.
3) 매출액의 성장
한 번 자사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고객의 이탈률이 2% 이하, 미국 내 100위권에 속한 기업들 중 97%가, 500대 기업 기준으로는 80%가 SAS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다.
SAS는 1976년 창업 이래 지금껏 단 한 번의 적자도 없이 연평균 8.8%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Ⅴ. 결론
SAS의 경영방식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로, ‘독특성’과 ‘실질적 가치의 제공’으로 표현하고 있다. SAS가 추구하는 HRM은 당시 경쟁사들과 다른 방향성을 가지고 있었고, 상대적으로 ‘독특한 충격’을 전할 수 있었다. 회사의 경영방침과 실제 사업의 진행이 일치되며, 직원과 기업 양자에게 도움이 되는 ‘실질적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독특한 HRM을 완성시켰다.
우리는 위의 근거에 동의를 하며 ‘매우 급격한 환경의 변화가 도래’하지 않는 이상 SAS의 경영방식은 유효하고, 경쟁우위는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물론 ‘독특함’이라는 것은 산업군의 HRM 변화 조류를 통해 사라지거나 희석될 수 있지만, 그것이 실질적 가치와 맞닿아 있기 때문에 쉽사리 실패하지 않으리라 전망하는 것이다. 이직률 4%, 직원만족, BI시장의 선도자와 같은 SAS의 장점들은 단편적인 사실일 뿐이지만, 이를 가능하게 하는 HRM은 장기적이며, 전략적인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SAS가 추구하는 전략은 단면적으로는 모방하기가 쉬운 듯하다. 하지만 그것을 통해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는 힘들 듯하다. 왜냐하면 SAS 전략의 시발점은 단순히 ‘어떤 서비스, 어떤 제품’을 창출할 것인가 하는 ‘방법’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이를 뒷받침해주는 인적자원관리 방식과 연계되기 때문이다. 더구나 SAS의 인적자원관리는 ‘그들만의 조직문화’로 완성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SAS는 인재를 채용하는 것에서부터 관리, 직무배치에 이르는 일련의 HRM 과정을 통해 ‘평등, 즐거움, 관계’를 바탕으로 인재들을 키워왔고, 그러한 사람들이 모여 이룩한 문화가 SAS만의 조직문화이며 경쟁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직원들은 즐겁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직무에 몰입하여 한 차원 높은 수준의 고객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내부 구성원에게 고용보장을 약속함으로써 직원과 고객 간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소통 및 신뢰관계를 형성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자들 역시 즐겁고, 자유롭게 시간을 운용하여, 과중업무로 인한 실수를 방지하고 질 높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었다.
<참고자료>
http://blog.daum.net/jsh2708/7859753
http://blog.daum.net/999ajussi/15731871-'구글이 벤치마킹하는 회사,SAS'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hmind&logNo=80129724262
-가장 일하고 싶은 기업순위 및 사례
http://www.sas.com/offices/asiapacific/korea/resource/down/SASKorea_CompanyIntro.pdf -Introduction SAS
http://ksc12545.blog.me/150132395964 -미국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 : SAS Institute
키워드
추천자료
[인적자원관리][HRM][인적자원개발][HRD][인적자원활용][인적자원][인적자본][국가인적자원활...
[인적자원개발][HRD][인적자원관리][HRM][홀리스틱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인적자원개발(HRD)...
인적자원개발(HRD) 패러다임, 인적자원개발(HRD)과 정부조직, 인적자원개발(HRD)과 기업역할,...
인적자원관리(HRM) 정의, 인적자원개발(HRD)부문 변화 추세, 기업내 인적자원개발(HRD)체제 ...
[인적자원관리] 인적자원관리 7가지 영역과 우수기업의 영역별 인적자원관리 내용 / 타기업과...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내부적 환경요인과 조직외부적 환경요인, 인적자원...
아웃백인적자원관리,베니건스인적자원관리,인적자원관리사례,아웃백인사관리,베니건스인사관리
인적자원관리 Case Study - 인적자원관리,인사관리,인적자원,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
롯데호텔 인적자원관리 - 롯데호텔, 인적자원관리, HR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롯데호텔의 소...
[인적자원관리론] 경영 시스템과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성과목표 (시스템이론 정의, 시스템...
국제화 인적자원관리- 해외 기업의 사원관리,외국인 노동자관리,세계화,다국화,외국계 기업,...
[인적자원관리 사례연구 보고서] 인적자원관리(HRM) 개념분석과 국내외 기업(유한킴벌리,고어...
국제화 인적자원관리,해외 기업의 사원관리,외국인 노동자관리,세계화,다국화,외국계 기업,국...
★ 인적자원관리 - 인적자원관리 담당자의 4가지 역할 ( 인적자원관리 담당자의 4가지 역할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