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체 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차원에서의 지원을 위한 실천적 방안제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체 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차원에서의 지원을 위한 실천적 방안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체 장애의 정의

2. 지체 장애인의 특성

3. 지적 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차원에서의 지원을 위한 실천적 방안
1) 동원
2) 조직화
3) 네트워킹
4) 사회행동
5) 역량강화
6) 옹호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불편을 느끼는 영역은 주차장, 계단, 화장실 등이다. 지체장애인들은 휠체어 조작을 위해 여분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특별한 주차조건을 요구한다. 그리고 주차장에서 건물까지의 거리가 멀면 문제가 되기도 한다. 지체장애인의 남의 도움없이 이용할 수 있는 계단의 수는 그 사람의 장애에 따라 다르다. 때로는 계단이 하나만 있어도 접근이 어려운 경우가 있어서 견고한 난간이 필요하다. 짧은 거리도 걸을 수 없는 휠체어 사용자에게는 문이 크고 내부공간이 넓은 화장실이 필요하고, 어떤 장애인은 화장실 안에 손잡이가 필요하다.
5) 역량강화 - 대중교통
어떤 장애인들은 쉽게 일반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휠체어 사용자들은 휠체어 때문에 교통수단을 이용하기가 까다롭다. 차량이나 휠체어의 형태에 따라 휠체어를 차의 뒷 트렁크나 뒷좌석에 싣거나 차 밖 특수장치에 싣는다. 장애인이 차에 타는 것을 도울 때는 머리를 흩트리거나 옷이 구려지지 않도록 조심해서 도와주어야 한다.
6) 옹호 식사초대 및 제공
지체장애인을 초대할 때는 가능하면 미리 알려주는 것이 좋다. 많은 장애인들은 교통편을 준비하는데 가외의 시간이 필요하다. 어떤 사람들은 피로를 막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어 초대하는 것이 좋다. 어떤 장애인의 경우는 옷을 입거나 화장을 하는데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혼자서 이런 일을 할 수 있는 사람도 보통은 비장애인보다 시간이 더 소요된다는 것을 고려하여 미리 계획을 잡아야 한다.
Ⅲ. 결론
장애 및 비장애의 ‘분리’를 넘어서서 더불어 살아가는 통합된 사회가 더 바람직한 사회라는 것을 옳은 것으로 전제할 때, 우리에게는 많은 과제가 남겨져 있다. 본론의 마지막에 제시한 ‘통합교육’ 하나만 하더라도 현실에서 이루어지기까지는 ‘입법’에서 ‘실행’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고, 그보다도 더 힘든 ‘의식의 전환과정’을 겪어내야만 하는 것이다. 이제 주위를 둘러보고 장애 및 비장애의 ‘분리’를 넘어서기 위해서 내가 할 수 있는 일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그리고 당장에 실천하자. 할 수 있는 것부터 하나 씩 해 나갈 때 우리는 보다 나은 세상을 창조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대견하게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장애인복지의 이해, 김용득, 유동철, 인간과 복지, 2001
장애인의 이해, 안병즙, 정재권, 형설출판사, 1999
장애인복지의 이론과 실제, 박옥희, 학문사, 1998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5.18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6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