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복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 복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기 전에...

1)복제인간이란 무엇인가? (3쪽)

2)인간복제의 과정


2. 들어가서 ...

1)인간 복제의 과학적 한계성 (4쪽)

2)인간복제에 관한 다양한 관점

1>종교적 관점 (4,5쪽)

2>윤리적 관점 (6쪽)

3)인간복제의 개인적 사회적 기능 (7,8쪽)


3. 마치면서...(9쪽)

본문내용

들에게 이익을 줄 것이다.
- 개인적 역기능
1. 인간복제는 뒤늦게 태어난 쌍둥이에게 심리적 압박감과 피해를 줄 것이다. 앞서 태어난 쌍둥이가 어떤 인생 길을 걸었는지 알았을 때, 정신적으로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2. 인간 복제 과정은 클론에게 용납될 수 없는 위험을 끼칠 것이다. 한가지 위험은 착상, 성장, 발달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것이겠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이나 법이 그 클론을 윤리적 또는 법적 보호를 받아야할 인간으로 생각하는 시대가 오려면, 앞으로도 오랫동안 무수한 배들이 죽거나 파괴되어야 할 것이다.
클론에게 가해질 또 다른 위험은 인간 복제 과정이 어떤 식으로든 잘못될 수 있고 클론에게 예기치 않은 피해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 사회적 순기능
1. 인간 복제는 위대한 재능, 천재성, 인격 등 귀감이 될 만한 품성을 지닌 개인의 유전적 능력을 복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2. 인간 복제 및 인간 복제 연구는 인간의 발생과정과 같은 과학지식상의 중요한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 인간 복제가 안전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정착된다면, 그리고 그렇게 된 뒤에는, 연구 이외에도 합법적인 목적으로 그것을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과학지식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 사회적 역기능
1. 인간복제는 개인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인간적인 삶의 존엄성을 훼손할 것이다. 인간 복제는 개인을 대체 가능한 존재로 생각하게 함으로써 우리가 인간의 삶에 부여해온 가치와 존엄성을 훼손할 것이다. 인간복제는 인간을 공장에서 제작될 수 있는 것 또는 '손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게 함으로써, 개인의 가치나 존엄성을 훼손하는 결과를 낳는다는 것이다.
2. 인간복제는 상업적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인간 복제를 반대하는 쪽과 지지하는 쪽 둘 다 복제된 배를 매매하는 행위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서 동의하고있다.
3. 인간 복제는 정부나 다른 집단에 의해 비도덕적, 착취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인간 복제를 그런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클론을 오직 타인의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착취하는 것이며, 클론이 완전한 도덕적 개인으로서 지니고 있는 평등한 도덕적 가치와 존엄성을 침해하는 것이다.
Dan w. Brock(찰스 c 틸링하스트 주니어 대학 교수), "인간복제:윤리적 찬반 논쟁의 평가"「Cloning And Cloning」, 2000에서...
- 8 -
3. 마치면서...
하루가 다르게 진보하는 과학기술에 힘입어 만화에서나 볼 수 있던 일들이 점차 현실 세계에 나타나고 있다. 분명 과학기술의 발달이 우리에게 많은 편리를 제공해주고 있다는 걸 부정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거기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 역시 우리는 너무도 잘 알고 있다.
이상으로 우리는 인간복제라는 또 하나의 과학발달의 한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았다.
그리고 지금까지 인간생명이라는 고귀한 영역을 다루는 인간복제에 관한 여러 관점과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위의 여러 입장에 비추어 볼 때 이것이 과연 좋은 것인가 나쁜 것인가를 판별하기는 쉬운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에게 닥친 현실을 직시해야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인공유산이 도처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냉동고에 보관되어 있는 인공수정란이 아무런 제약도 없이 도처에 무관리 상태로 수도 없이 놓여 있다. 또한 우리나라 같이 한 사람의 복제인간을 얻기 위해 필요한 수십명(약50~60명)의 대리모를 구하기 쉬운 곳은 이 세상 어디에도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인간복제 실험에는 최적국가라며 인간복제회사인 클로나이드사는 우리나라를 자신들의 실험 터로써 군침을 흘리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인간의 존엄성을 어떻게 지켜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하는 것은 우리가 해야 할 매우 시급한 과제일 것이다.
**참고 자료: “-누가 인간복제를 두려워하는가?”-그레고리 E.펜스 지음.
“-인간복제,희망인가 재앙인가”-김건열 지음.
Dan w. Brock(찰스 c 틸링하스트 주니어 대학 교수), "인간복제:윤리적 찬반 논쟁의 평가"「Cloning And Cloning」, 2000
http://www.clonaid.co.kr
http://www.sungshin.ac.kr/~ethics/data/sm541.hwp
http://www.budreview.com/html/14/14-non-yun-young-hae.htm
http://neverdie.compuz.com/biology
- 9 -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5.20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72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