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과 간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혈과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수혈의 정의

Ⅱ. 수혈전 검사

Ⅲ. 수혈의 목적

Ⅳ. 수혈의 종류
ⅰ. Whole blood(전혈)
ⅱ. 혈액의 성분제제
1. RBC(적혈구)제제
① Packed RBC (농축 적혈구)
② washed red cell(세척적혈구)
③ Lekocyte poor RBC (백혈구 제거 적혈구)
④ Leukocyte filtered RBC
⑤ frozen thawed RBC (동결 & 해동 적혈구)
2. PLT(혈소판)제제
① 농축혈소판 (Platelet Concentrate)
3. WBC(백혈구)제제
4. plasma components(혈장성분)
① Platelet rich plasma (혈소판 풍부 혈장)
② Fresh liquid plasma(신선액상혈장)
③ Fresh frozen plasma (FFP)(신선동결혈장)
④ frozen plasma (동결혈장, stored plasma)
⑤ Cryoprecipitate(동결침전제제)
⑥ Albumin(알부민)
4. 백혈구를 제거한 혈액제제

Ⅴ. 수혈 부작용 및 치료

Ⅵ. 수혈부작용의 예방

Ⅶ. 수혈시 주의사항

Ⅷ. 수혈시 환자간호

본문내용

이 있을 수 있다. 1-2%의 환자에게서 생길 수 있는데 해열제 사용으로 증상이 완화된다. 용혈반응, 알레르기반응으로도 발열현상이 나타난다.
4. 알레르기 반응
알레르기 수혈반응은 수혈 혈액내의 알레르기원(allergen)이 있을 때 일어난다. 환자 증상은 두드러기. 가려움증 그리고 간혹 전신부종이 있을 수 있다.이와 같은 알러지 증상은 특히 혈장, 동결침전제제, 혈장단백 분획의 수혈 후에 나타나며 수혈의 약 3% 이내에서 발생한다. 치료제로는 항히스타민 및 에피네프린, 하이드로콜티존 등이다.
5. 기타
균혈증과 패혈증, 포타시움 중독, 저체온증과 산증, 기포에 의한 색전증, 에이즈, 거대세포 바이러스(CMV), C형 및 B형바이러스간염, 기타 바이러스감염, 매독, 샤가스질환, 말라리아
지연성 부작용: 수혈 후 항원-항체 반응현상, 동종면역 현상
6. 수혈 부작용시 응급 처치
① 공급 즉시 중단
② normal selin으로 연결
③ vital sign check
④ airway유지, O2투여
⑤ 혈액확인(ABO,혈액등록번호),환자이름 확인.
⑥ sampling : blood, urine, Foley Cath삽입
※blood pack은 버리지 않는다.
⑦ BUN, Creatin, 검은 소변(Hb깨진 증거)
⑧ PT, PTT, 섬유소원, PLT, FDP 확인
⑨ Dr Notify후 항히스타민제 투약
Ⅵ. 수혈부작용의 예방
1. 철저한 수혈전 특이성과 적합성 검사 즉 ‘type and screen'과 교차적합시험이 필요하다.
2. 공혈자의 정확한 ABO, Rh 형과 정확한 성분제제 등 수혈 물질의 정확한 확인이 필요하다. 교차시험은 혈액의 부적합성을 놓치지 않게 정확하게 수행되어야 한다. 나쁜 혈액으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혈액 제제 또는 혈액의 보관 조건이 철저하게 통제되고 있음을 자신해야 한다. 순환혈액량과 과다 전해질 중독은 적합하고 적정한 수혈요법에 의해 예방될 수 있다.
Ⅶ. 수혈시 주의사항
1. 반드시 Double checking을 한다.
(교차시험검체표지와 환자확인, 혈액번호, 환자이름, RH Type, ABO Type, 혈액종류,차트번호)
2. 어떤종류의 약물도 같이 주입하면 안된다.
3.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수혈시작 전, 시작 후 15분, 수혈이 끝난 후에 측정하여 기록)
- 수혈은 처음에 천천히 주입하며, 첫 15분은 환자를 잘 관찰하여야 한다.
4. 수혈이 4시간 이상 소요 시 혈액의 일부를 나누어서 혈액은행에 보관해서 사용한다.
(근거: 혈액은 실온에 방치 시 30분이면 혈액온도가 10。C 올라가 적혈구 변화를 일으키므로)
5. 수혈시간을 잘 확인한다.
6. 사용하는 카테터는 전혈과 농축적혈구인 경우 18G∼20G, 소아는 22G~24G, 혈장이나 혈소판은 22G도 가능하다.
7. 온도가 10도 이상 올라갔던 혈액은 혈액은행에 반납할 수 없다.
8. 수혈 세트는 1 pint 당 1개를 원칙으로 한다.
- 2pints 까지 가능, 세트내의 filter능력이 떨어진다.
9. 수혈이 끝나면 용혈, 응고의 예방을 위해 생리식염수 10cc를 주입한다.
10. 기록을 정확히 한다. (시작과 완료시간, 수혈된 량, 혈액번호, 혈액형 확인자, 부작용 여부)
Ⅷ. 수혈시 환자간호
1. 수혈 지시사항을 확인하고, 혈액형과 교차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2. 환자에게 수혈의 목적, 방법,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혈액형이 기재된 아크릴판을 수액걸이에 걸어둔다.
3. 혈액은행에서 혈액을 받으면 공기방울, 혼탁도, 색깔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한다.(기포의 존재는 미생물이 성장하고 있음을 뜻하며 색깔이상이나 혼탁은 용혈이 의심된다.)
4. 담당간호사와 동료간호사가 혈액백의 라벨에 기록된 환자의 이름, 진찰권번호, 혈액번호, 혈액형, 혈액의 종류, 유효기간을 확인하고 라벨에 서명한다.
5. 의무기록을 보고 이전에 검사한 혈액형과 수혈할 혈액의 혈액형이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6. 환자의 체온, 맥박, 호흡을 측정한다. 혈전 체온이 38℃이상이면 의사에게 보고한다.(혈액주입 후와 비교하기 위함이다.)
7. 수혈은 시작하기 전에 담당간호사와 동료간호사가 환자 앞에서 환자의 혈액형을 확인(무의식 환자의 경우 보호자에게)한 후 라벨에 같이 서명한다.
8. 포도당 용액이 정맥주입되고 있으면 생리식염수로 바꾸고 수혈에 적절한 바늘인지 확인한다(18G가 好)혈액제제에는 아무 약도 추가하지 않는다.(포도당액은 전해질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주입관 내에 용혈이나 응고를 일으킬 수 있다. 내관이 클수록 혈액세포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는다.)
9. 혈액백의 출구에 drip chamber가 있는 로 수혈세트를 꽂는다. chamber의 여과막이 잠길 정도(1/2~1/3)로 혈액을 채운 후 조절기를 잠근다.
10. 정맥주입중인 주사바늘 또는 카테터에 수혈세트를 연결한다.
11. 조절기를 열고 혈액을 주입한다. 처음 15분 동안은 분당 15방울로 주입한다.(수혈 시작시간, 혈액형, 혈액번호, 수혈시작시의 활력증후, 성분명과 양을 기록하고 이상증상에 대해 환자에게 설명한다.) : 대개의 부작용은 50~1000cc의 혈액을 주입하는 동안에 발생한다. 수혈 속도가 빠르면 급성 신부전이나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노인, 심장질환환자는 주입속도보다 천천히 한다.
12. 수혈시작 15분 후 환력증후를 측정하고 이상이 없으면 지시대로 주입한다. : 활력증후의 변화는 수혈로 인한 합병증 여부를 알 수 있다.
13. 혈액이 주입되고 있는 매 30분마다 오심, 구토, 피부발적, 오한 등의 부작용이 있는지 관찰한다. 부작용이 있으면 수혈을 중지한다.
14. 수혈이 다 끝난 후 다른 수액의 주입이 없다면 수혈세트 바늘을 제거한 후 소독 솜으로 주사부위를 3분이상 눌러준다. 계속 수액을 주입해야 하는 경우에는 생리식염수를 10cc정도 주입한 뒤 수액을 연결한다.
15. 끝난 후 활력증후를 측정한다.
수혈이 끝나면 혈액백의 라벨이 끝난 시간을 기재하여 간호기록지에 붙이고 이상증상, 혈액주입시의 활력증후, 주입속도, 혈액을 제거한 시간을 기록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5.22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