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교과서 수록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문원각 문학 下 - 5. 일제 강점기의 문학 (3) 날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교과서 수록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문원각 문학 下 - 5. 일제 강점기의 문학 (3) 날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대단원 개관 및 구성
2. <날개> 개관 및 감상의 초점
3. <날개> 학습 목표 및 교수 학습 계획
4. <날개> 교과서 분석
5. <날개> 교육 실제

Ⅲ. 결론

본문내용

을 알리고, 그 제출물은 꼭 문서 형식이 아니어도 됨을 알려준다. (ex. 만화, 음성 녹음 등)
지난 시간에 한 작업이 패러디의 ‘뼈대’를 정하는 작업이었다면, 이번엔 살을 붙여보도록 한다. 활동 하는 중간 중간 교사는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체크해 두어 간간이 그 개념들에 대하여 설명해 줄 수 있도록 한다.
2/5
내용 활동
완성된 패러디를 확인 후 각 모둠별로 발표하도록 한다. 발표 시간은 각 조별로 10~15분씩 주도록 한다.
발표가 끝나면 교사는 각각 그 모둠의 잘된 점을 우선 3~5분가량 칭찬해 주고 각각 발표를 계속 진행시킨다.
3~4/5
내용 정리 및
원리확장
지난 두 시간에 걸쳐 발표한 패러디를 모두 정리하여 총평을 해 준다. 이때 각 모둠별 패러디와 소설 <날개>의 핵심 내용, 표현 기법, 문제의식 등을 접목시켜 이야기 해 준다.
학생들이 패러디 작업을 하며 이 소설에 대하여 가진 의문점을 자유롭게 질문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질문이 부족한 경우, 교사가 질문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패러디 작업을 통해 힘들었던 점이나 재미있었던 점을 이야기 하고 그것이 문학의 수용, 재창작 작업이라는 것을 학생들에게 인식시켜 준다.
5/5
Ⅲ. 결론
어려운 말보다는 가급적 쉬운 말로, 전문화된 이론적 개념보다는 가급적 생활에 근접한 쉬운 개념으로, 학생들이 문학, 특히나 <날개>라는 텍스트를 결코 어렵거나 지루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느낄 수 있게끔 하기 위하여 교사는 여러 연구방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시도의 하나로써, 이 보고서에서는 ‘패러디’라는 방식을 적용시켜 보았다. 물론,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러한 작업이 이상적으로 진행될 것이라는 생각은 감히 할 수가 없지만 가급적 이러한 다양한 시도가 행해짐으로써 보다 나은 교육 방안이 제시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날개>는 그동안 많은 교과서에 수록되어온 작품임에도 아직까지 ‘어렵고 난해하고 재미없다’는 오명을 씻어내지 못하고 있다. ‘미친놈의 잠꼬대’라고 혹평 받았던 발표 당시와 ‘난해하고 지루한’작품이라고 치부되는 오늘 날의 차이점은 과연 무엇인가. 독자에게 읽히지 않는 고전은 더 이상 고전도, 명작도 아니다. 학생들이 보다 폭넓고 맛있는 독서, 그리고 문학 수용을 할 수 있도록 교사들은 우선 독서의 즐거움, 문학의 재미를 ‘느끼는’ 감상 방법을 기본적으로 알려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오늘날 국어 교사의 사명이 아닐까 싶다.
------------------------------------------------------------------------
<참고자료>
1) 고등학교 문학(하) 교과서, 문원각
2) 고등학교 문학(하) 교사용지도서, 문원각
3) 김광수, ‘이상의 단편소설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1994.
4) 문홍래, ‘李箱 연구’, 우석대 교육대학원, 2006.
5) 최경미, ‘이상의 「날개」 연구 :「날개」에 나타난 시·공간적 의식을 중심으로’, 수원대 교육대학원, 2006.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5.23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5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