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육 계획안 완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건교육 계획안 완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있다.
(2) 방광 훈련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변을 보게 하는 훈련 방법으로 특히 절박성요실금 치료에 효과적이다. 이 방법은 환자 본인의 의지가 필수. 만일 배뇨간격이 1시간이라면 처음 1시간에서 1주일 단위로 배뇨간격을 30분씩 4시간까지 연장한다. 훈련 중에는 절박감을 느끼더라도 예정된 배뇨시간까지 참아야 한다. 방광훈련은 절박성요실금과 혼합요실금에서 권하는 방법으로 교육으로 소변보는 기능에 대하여 환자에게 설면한 다음 환자가 소변이 마려운 것을 참도록 하여 소변보는 시간을 늘려 소변습관을 교정한다. 환자의 인지능력이 낮아서 방광훈련이 어려울 때에는 신속한 배뇨를 유도한다. 신속한 배뇨는 요실금이 생기기 전에 보호자 도움으로 화장실로 데려가서 배뇨를 시키는 방법이다 .
(3) 골반근육 운동 : 골반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스스로 느끼는 방법 (골반근육 인식법)
(4) 골반근육운동을 도와주는 훈련
질콘 : 무게를 가진 콘 모양의 플라스틱 기구를 질 속에 삽입한 다음 기구가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골반근육을 조여 주는 연습을 한다. 처음에는 가벼운 것부터 시작해서 점차 무거운 것으로 바꿔가면서 골반근육을 조여 주어 질콘이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반복 훈련을 한다. 한 번에 15분 이상 지속하면 골반근육이 강화된다.
바이오피드백 치료 : 바이오피드백 치료는 골반근육 운동을 효과적으로 하도록 도와주는 방법이다. 탐폰처럼 생겼으며 전기가 통하는 부드러운 기구를 질 안에 넣은 후 골반근육을 수축하거나 이완하면 질 속에 있는 기구가 전기 신호를 감지하여 TV 화면에 전기 신호가 크게 나타나게 되므로 본인이 제대로 골반 근육을 수축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기 자극 치료 : 전기 자극은 바이오피드백 치료와 비슷하다. 골반근육과 방광에 약한 전류를 주어 요도괄약근이 수축하거나 방광이 수축하는 것을 억제하여 요실금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빈뇨, 절박뇨의 등 과민성 방광 증상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이 방법은 일주일에 2회 정도 5∼6주간 지속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마그네틱 요실금 치료기 : 최근에는 환자가 더욱 쉽게 질속에 기구를 넣지 않고 옷을 입은 채로 의자에 앉아 치료가 가능하며 전기 자극 치료보다 더 강하게 골반근육을 운동 시킬 수 있다.
(5) 기타 보조 치료
수술을 할 수 없거나 다른 보존적 치료로도 효과가 없을 때 적용하는데, 기저귀를 사용하거나 주기적 자가 도뇨법을 적용한다. 주기적 자가도뇨법이란 환자 스스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느다란 관을 요도내로 삽입하여 방광내의 소변을 빼는 방법으로 소변을 다 보고 방광 안에 잔뇨가 많이 남아 있는 일류성 요실금에 효과적이다.
2) 수술적 관리방법
수술방법은 특히 복압성 요실금 치료에 효과적이다.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수술은 주로 정상보다 아래로 쳐진 방광과 요도를 제자리로 복원해 주는데, 굵은 실을 이용하여 방광 주위의 조직을 배의 근육이나 치골(뼈)에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Ⅵ. 평가 및 평가방법
1. 평가내용
1) 사업진행에 대한 평가
보건교육 안에 마련된 계획을 기준으로 수행되었는가?
2) 교육목적 달성정도 평가
요실금 예방의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는가?
요실금 자가 진단법에 맞게 진단할 수 있는가?
요실금 예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가?
3) 투입된 노력에 대한 평가
교육실시에 투입된 인원, 시간, 예산 및 자료는 적절하였는가?
홍보는 충분하였는가?
2. 평가방법
ㆍ 보건교육 과정 중, 질의응답을 통해 수시평가를 실시한다.
ㆍ 교육 전에 검사지를 이용하여 교육 참가자의 지식정도를 평가하고 교육 후에 같은 검
사지를 이용하여 다시 한 번 검사를 해보고 교육 전에 실시했던 검사와 비교해 본다.
3. 평가자 : 교육자
4. 평가시기 : 교육 전, 중 및 교육 후 즉시
Ⅶ. 참고문헌
이정순, 「복지관 이용 여성노인의 요실금으로 인한 일상생활 불편감과 삶의 질」, 전남대학교, 2008
김미경, 「통합적 요실금 중재 프로그램이 여성의 요실금에 미치는 효과」, 인하대학교, 2003
최인희, 「골반저근육운동이 복압성 요실금 여성의 배뇨증상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 19권 제 1호, 2008
이항련 외, 성인간호학 ⅠㆍⅡ, 수문사, 2010
성미혜 외, 여성건강간호학 ⅠㆍⅡ, 수문사, 2007년,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http://www.kocon.or.kr/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http://health.mw.go.kr/ 국가건강정보포털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5.24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8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