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의 미의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화의 미의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민화의 개념
Ⅱ 민화의 형성과 발전
ⅲ. 민화의 내용적 미의식
ⅳ. 민화의 미적 형식

본문내용

되며 그로 인하여 다양한 시간성이 동시에 나타나게 되는 것.
☞ 회화의 사실성은 이탈하게 만듦
6. 각 사물의 상호 비례관계가 무시
① 그림의 의미내용이 중시하는 바의 강조점에 따라 사물의 크기 결정
② 사물의 크기는 원근법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그리는 사람의 의도에 따라 정해진다.
③ 전통적으로 중요한 것이라고 인식되어 내려온 집단관념이 반영된 생각들로 인함
④ 강렬한 의미 전달의 주된 목적
7. 평면적 화면 구성
① 입체감이나 사물 상호간의 공간감이 무시된 채 평면화
② 입체감보다도 개개의 색면이 지닌 밝고 강한 색채효과가 훨씬 중요하여 평면성 지향
8. 대칭형(對稱形)과 나열형(羅列形)의 구도
① 꽃그림 종류나 정물화 계통의 그림을 보면, 대칭형의 구도를 많이 취하고 있음
② 화면을 세로로 하여 반을 접었을 때 거의 맞물릴 정도로 정확한 대칭형을 취하고 있는 작품들도 존재
③ 누구나 쉽게 그릴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대칭형 선호
④ 나열형 : 화면 전체에 각기의 사물들을 대체로 겹쳐짐이 없이 배치한 형
화면의 중앙부위에 나란히 배치한 형
☞ 하나하나 독립시켜 그리는 것이 민중이 지닌 통속적인 시각적 완전성의 관념에 합치하는 것이기 때문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5.25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9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