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용의 발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무용의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한국무용의 발생

본론
1.한국무용의역사
1)상고시대의 무용
2)삼국시대의 무용
3)고려시대의 무용
4)조선시대의 무용
5)개화기 이후의 한국무용

2.한국무용가
1)한성준
2)최승희
3)김백봉

결론
1.한국무용의 미적특징

본문내용

은 한국의 민속춤이었다. 관중을 사로잡는 눈빛과 동양의 신비한 매력이 담긴 춤사위로 세계 각국의 칭송을 받았고, 일본과 중국 무용계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3) 김 백봉
한국의 무용가. 최승희의 수제자로 최승희무용연구소 부소장 겸 상임안무가를 지냈고 최승희무용단 제1무용수로 활약하였다. 월북하였다가 탈출한 뒤 김백봉무용연구소를 설립하였고 경희대학교 무용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1927년 평양 기양군 초리면에서 부친 김병삼과 어머니 배보규의 7남매 중 장녀로 태어났다. 평양의 명윤여학교 1학년 재학중 거리에 붙은 최승희 무용공연 포스터를 보고 무용가가 되기로 결심하고, 14세 때인 1941년 아버지와 함께 진남포의 최승희 무용공연장을 찾아가 제자가 되기를 허락받은 뒤 그해 6월 18일 최승희를 찾아 일본 도쿄로 유학을 떠났다.
1943년 최승희무용단 단원으로서 일본·만주·중국·동남아시아 각국을 순회 공연하면서 최승희의 춤맥을 잇게 되었다. 1944년 스승 최승희의 남편인 안막의 동생 안제승(1928~1998)과 결혼하였고, 1946년 6월 최승희 부부와 함께 월북한 뒤 평양에서 최승희무용연구소 부소장 겸 상임안무가, 최승희무용단 제1무용수로 활동하였다. 6·25전쟁이 일어나자 남편과 함께 월남한 뒤, 박기홍에게서 승무를, 이동안에게서 태평무와 승무를 전수받았다. 1953년 서울에 김백봉무용연구소를 설립하였고, 1954년 서울시공관에서 신무용 계열의 창작춤인 부채춤을 처음 발표하였다. 부채춤은 이후 한국의 대표적 춤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1965년부터 1992년 정년퇴임할 때까지 경희대학교 무용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1981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1995년 김백봉춤보존회가 결성되었고, 1953년 서울시 문화상, 캄보디아 문화훈장, 대한민국예술원상, 1981년 보관문화훈장 등을 수상하였고, 1988년 서울올림픽 식전행사 공로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1999년에는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로부터 '20세기를 빛낸 예술인'으로 선정되었다.
《부채춤》과 《화관무》 외에도 《무당춤》《청명심수》 등이 유명하며, 최승희가 추었던 보살춤을 재현한 《만다라》도 특기할 만하다. 주요작품으로 무용극 《우리 마을의 이야기》《바라》《종이여 울려라》《종의 정》《심청》 등과 무당춤 《광란의 제단》 등이 있다.
결론 1.한국무용의 미적 특징
한국춤은 무기교의 기교를 갖고 있다. 손 하나를 들어도 그 안에 계속적인 흐름이 있으며,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이 흐름이 관객에게도 흘러 들어가 감동을 주고 영감을 전달하는 것이다. 정지 상태의 운동이라 할지라도 발레에서와 같이 선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의 끊임없는 호흡 그 자체를 자연스럽게 추구하는 예술이다.
또한 한국춤은 태극선의 미를 지닌다. 동양 철학의 자연관에 바탕을 둔 음양 오행의 법칙은 춤에서 태극의 형태미를 표출되는데, 한국춤의 버선발이나 어깨의 흐름, 그리고 각 사위의 전이 동작 등 모두가 태극의 선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다. 선뿐만 아니라, 어르는 호흡도 태극선의 굴림 호흡이다. 모든 움직임이 태극의 연속, 즉 물결치는 듯한 모습이기에 시작과 끝의 구분이 없이 물고 물려 들어가는 움직임이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절제미를 들 수 있다. 밖으로 발산하는 춤 동작보다는 오히려 절제미를 들 수 있다. 밖으로 발산하는 춤 동작보다는 오히려 절제함으로써, 더욱 강한 힘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 한국춤의 매력이다. 한국춤은 기경결해의 기법을 지닌다. 즉 한 장단 안에서 밀고(기),달고(경),맺고(결),푸는(해)기법으로 이를 풀어 이야기하면 시작하여 일어난 것을 전개하여 펼치고 만들어 맺고, 다시 작아들며 풀어 주는 기법이다.
마지막으로 들 수 있는 특징은 호흡으로부터 시작되어 가슴으로 우러나오는 내면 중심적이고 자연스러운 움직임의 기법을 지닌다는 것이다. 발레의 경우는 몸을 인위적으로 외전시켜 외형적이고 인위적인 아름다움을 만들지만, 한국춤은 그저 땅을 딛고 솟아오르며 손과 발의 동작을 순수하고 소박하게 표현하여 내면적이고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창조해 낸다. 고의적인 변화나 인위적인 가공, 허식이나 과장이 없는 자연스러움 그 자체의 아름다움을 표현한다.
우리의 춤사위는 서양과 달리 하체를 근원으로 해서 끌어올린 호흡이 어깨와 사위의 절제적인 멋과 흥, 어름으로 표출되고 있다. 형태와 기법에 있어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이지는 않지만, 종교적이며 영적인 정신세계를 바탕으로 철저히 그 내적 흐름을 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가격2,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9.22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36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