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조사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회조사방법의 기본개념
2, 사회복지조사방법의 형태와 절차
3, 척도의 구성
4, 질문지 작성의 방법
5,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
6, 표본추출
7, 실험설계의 종류와 특징
8, 관찰법의 개념과 유형
9, 내용분석의 특징과 적용방법
10, 욕구조사와 평가의 유형
11, 평가조사
12, 질적연구의 개념 종류 특징
13, 사회조사보고서 작성

본문내용

럽게 병행
-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간의 라포 형성이 중요한 기법
- 짧게는 30분 길게는 장시간 지속
- 심층면접의 구체적인 특성 및 진행과정
사전에 체계적으로 준비하는 면접법
일반적으로 반구조화된 면접
관찰이 병행되는 것이 일반적
연구자와 연구대상자 간의 공통점, 차이점, 그 외 관계들은 면접진행에 영향을 미침
5) 심층면접 자료분석
- 원자료(raw data) : 문서자료, 현장노트, 심층면접 녹취 자료, 관찰메모 등
- 분석하는 작업에도 뚜렷한 규칙은 없다.
- 분석 전에 문헌고찰을 풍부히 해서 분석력 및 사고의 범위를 넓히는 것은 도움이 된다.
6) 연구자료 수집 및 분석
① 질적자료 분석의 의미
- 녹취자료의 분석 : 원자료를 의미단위로 만들어 가는 작업
- 구체적 의미
공통점 및 차이점을 발견
적절한 의미나 개념으로 묶음
그것을 이용해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하고 해석
- 연구자가 연구주제 및 연구문제를 염두에 둔 상태에서 원자료를 범주화 및 의미화를 하
게 되며 공통된 패턴을 찾아내기도 함
② 방대한 녹취자료
- 녹취 자료 : 방대한 경우가 많다.
- 녹취 자료분석의 요령
녹취 자료의 분석은 녹취 후 되도록 일찍 시작한다.
녹취 자료는 반복해서 읽어서 분석한다.
연구자가 녹취 작업과 녹취자료 분석 모두 직접 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타인이 대신하였
을 때와 비교해서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③ 녹취자료 범주화 및 의미화의 실례
- 녹취작업 전 후에 연구자는 연구대상자의 프로필을 표로 정리하여 연구논문에 포함시키
는 것이 일반적이다.
- 범주화, 의미화는 의미 있는 분석단위를 정리/종합한 것이라면,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각 범주에 대한 연구자의 해석이다.
- 기본적으로 질적자료는 계량화하지 않고 연구자의 해석에 전적으로 의존 → 해석을 위해
서 연구자는 다양한 이론과 시각을 가지면 도움이 된다.
13, 사회조사보고서 작성
1. 조사보고서의 목적과 의의
- 조사보고서 : 조사와 관련된 과학적 결과를 발표한 글
- 조사보고서의 목적 : 조사한 결과를 조사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에게 전달
- 의의
① 사회의 관련 분야에 기여할 수 있음
② 재현과정을 거칠 수 있음
③ 조사결과를 고의로 통제/무시하는 것이 더 어려워짐
조사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 이유
- 새로운 실천기법의 개발이나 서비스 확대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고자 할 때 조사보고서가 필요하며, 이것을 작성하는 것은 사회복지사로서 전문 경력을 쌓는 것과 같다.
- 사회복지사는 어떤 위원회의 위원이 되거나 특정 자료의 수집 결과를 보고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식적인 보고서 작성이 기대되므로 조사과정과 결과
를 표현하는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 보고서를 작성하는 일은 학위논문이나 학술논문을 쓰는 데 필요하며, 학술지에 원고를
기고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2. 조사보고서의 구성요소와 내용
서론 ① 문제의 제기 ②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이론적 배경 ① 개념적 정의 ② 기존문헌의 검토와 한계 ③ 가설 설정
연구방법
① 연구설계 ② 표본 및 표집방법 ③ 자료수집방법, 측정도구의 설명
④ 자료분석방법 ⑤ 연구기간
연구결과
① 자료분석 결과 제시: 결과의 사실적 정보 제시
②분석결과의 해석: 통계적, 실천적 중요성
결론 및 논의
① 결과요약 ② 이론적 함의 ③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
④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부록(설문지 등)
제목
- 조사의 내용을 간단하면서도 잘 설명하는 식으로 정하여야 한다.
요약
- 대부분의 학술지와 학술보고서는 요약부분을 포함한다.
- 중요한 이유
① 조사의 내용과 결과를 간단하게 정리한 부분이다.
② 검색기구들 중에는 요약 부분을 모아서 발간하는 경우가 많다.
서론 부분
- 조사를 실시하게 된 배경과 목적을 제시하여야 한다.
- 연구의 내용과 연구문제를 제시하여야 한다.
- 유의점
① 짧게 하여야 한다.
② 분명하게 제시하여야 한다.
본론 부분
- 문헌조사 이전의 조사결과를 적절히 요약, 반영
- 조사방법
① 조사대상, 표집방법, 자료수집방법 설명
② 개념의 조작, 측정도구(예컨대, 척도) 설명
③ 분석방법 설명
- 조사결과 제시
결론 부분
- 중요결과를 요약
- 조사결과 논의
① 각각의 검증된 가설은 조사결과와 연관되어 있어야 하고 조사결과에 근거해 각 가설이
지지되는 정도나 기각되는 정도를 제시하여야 한다.
② 학술적/실천적/정책적 측면과 관련해 시사점 제시하여야 한다.
③ 제한점을 솔직하게 밝혀야 한다.
④ 향후 연구와 관련한 제언
참고문헌
-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인용한 모든 자료의 목록 제시
부록
- 내용, 분량, 형식 등의 측면에서 본문에 넣기에 적절하지 못한 부분
- 예 : 설문지, 기타 측정도구, 통계자료
3. 조사보고서의 작성양식과 고려사항
조사보고서 양식
- 조사의 목적, 내용에 따라 달라진다.
- 독자에 따라 달라진다.
조사보고서 문체
- 문장은 문법적으로 옳아야 한다.
- 분명하게 써야 한다.
- 짧게 쓰는 것이 좋다.
- 좋은 문체를 사용하여야 한다.
유의점
- 예상 독자에게 적절하여야 한다.
- 형식과 길이가 적절해야 한다.
- 보고 목적에 상응해야 한다.
1. 서론에서 다음의 개념을 명확히 제공하고 있는가?
① 조사 문제 ② 조사의 목적 ③ 조사의 의미(중요성)
2. 언급된 가설은 합당한가?
3. 문헌고찰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이루어졌는가?
① 조사와 연관성이 있는가? ② 충분한가? ③ 최신 내용인가?
4. 조사설계에 대해서는 언급되었는가?
① 조사 대상자의 편향성 여부 ② 통제집단의 적절성 ③ 조사 대상자 수의 적절성
5. 다음에 대한 정보는 충분한가?
① 연구절차 ② 변수의 조작적 정의 ③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6. 적절한 통계기법이 활용되었는가?
7. 분석 결과는 함의와 실천적 의미에 따라 논의되었는가?
① 합리적인 결론 도출 ② 과도한 일반화 여부
4. 프로그램 지원신청서와 연구지원신청서
프로그램 지원 신청서의 요소
- 흥미 있는 주제
- 그 주제에 흥미를 보이는 재정 지원기관
- P/G이 합리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이나 계획
프로그램 지원신청서의 주요 내용
- 문제에 대한 기술
- 기관의 자격 요건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72페이지
  • 등록일2013.05.27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