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랑스 자동차 산업의 합리화:
-르노 사를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Ⅱ. 프랑스 자동차 산업의 합리화
Ⅲ . 르노 사와 합리화 : 전통과 개혁사이에서
- 결 론 -
-르노 사를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Ⅱ. 프랑스 자동차 산업의 합리화
Ⅲ . 르노 사와 합리화 : 전통과 개혁사이에서
- 결 론 -
본문내용
받아들이는 이른바 ‘선택적’인 방법으로 도입되었다. 즉 테일러주의와 포드주의를 실현하는데 필요한 철저한 사전준비 없이, 충분한 기계설비 없이, 노동자들의 임금인상 없이, 즉각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시간측정작업과 성과급의 도입을 통해 노동자들의 근력을 최대한 끌어내면서 생산성의증대를 도모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프랑스적인 방식으로 수용된 합리화가 기업주의 바람대로 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던 것은 사실이다. 문제는 그 생산성 증가의 폭이 크지 않았다는 것이다. 1924년부터 컨베이어 벨트의 도입이 본격화 되었던 르노 사의 생산량은 17% 정도 증가하는데 그쳤을 뿐이다. 프랑스 자동차 전체의 생산량 증가도 마찬가지로 미흡했다는 사실은 1930년부터 영국과 독일의 생산량이 프랑스를 추월했다는 것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고 하겠다.
한 가지 더 노동자 엘리트임에도 불구하고 기업주에 맞서 전통적으로 혁명적이고 투쟁적인 역화를 담당했던 숙련공들이 합리화의 도입으로 자신들이 얻은 새로운 기회, 즉 하급간부직으로의 진출을 받아들이면서 오히려 기업주의 정책을 작업장에 철저히 전달하는, 노동자 통제의 가장 밑부분을 담당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숙련공과 단순전문노동자들 간의 유대가 좀처럼 공고하게 만들어질 수 없었던 것은 합리화의 또 다른 산물로 볼 수 있다. 합리화의 도입 이후 겉으로 확연하게 드러나지는 않지만 숙련공과 단순전문노동자들 간의, 숙련공들의 이해관계를 주로 대변하는 노동자 조직들과 단순전문노동자들 간의 간극이 좁혀지지 않았다는 점은 기업주가 노동자 통제를 더 쉽게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음에 틀림없다.
이와 같이 프랑스적인 방식으로 수용된 합리화가 기업주의 바람대로 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던 것은 사실이다. 문제는 그 생산성 증가의 폭이 크지 않았다는 것이다. 1924년부터 컨베이어 벨트의 도입이 본격화 되었던 르노 사의 생산량은 17% 정도 증가하는데 그쳤을 뿐이다. 프랑스 자동차 전체의 생산량 증가도 마찬가지로 미흡했다는 사실은 1930년부터 영국과 독일의 생산량이 프랑스를 추월했다는 것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고 하겠다.
한 가지 더 노동자 엘리트임에도 불구하고 기업주에 맞서 전통적으로 혁명적이고 투쟁적인 역화를 담당했던 숙련공들이 합리화의 도입으로 자신들이 얻은 새로운 기회, 즉 하급간부직으로의 진출을 받아들이면서 오히려 기업주의 정책을 작업장에 철저히 전달하는, 노동자 통제의 가장 밑부분을 담당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숙련공과 단순전문노동자들 간의 유대가 좀처럼 공고하게 만들어질 수 없었던 것은 합리화의 또 다른 산물로 볼 수 있다. 합리화의 도입 이후 겉으로 확연하게 드러나지는 않지만 숙련공과 단순전문노동자들 간의, 숙련공들의 이해관계를 주로 대변하는 노동자 조직들과 단순전문노동자들 간의 간극이 좁혀지지 않았다는 점은 기업주가 노동자 통제를 더 쉽게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음에 틀림없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