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성선설- 맹자
2. 성악설- 순자
3. 성선서로가 성악설의 현대적 조명
4. 토론거리

본문내용

뿐이다. 소인은 본성이 하고자 하는 욕구를 그대로 따라가지만, 군자는 교육과 예를 통해 절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것은 본성을 거스를 수 있는 의지적인 노력이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이다. 순자가 그러한 의지적이 노력을 제도화하려고 한 것이 예였다.
3.성선설, 성악설의 현대적 조명
성선설은 인간의 선한 본성을 믿지만, 그 선한 본성을 키울 수 있는 사람은 지식인, 관료 등으로 한정되어 있다. 그것은 그런 일부 사람이 국가 사회를 이끌고 다스려야 한다는 일종의 엘리트 주의 , 지적귀족주의다. 그 계층이 주로 지식을 생산해 왔기 때문에 성선설이야 말로 가장 좋은 이론이라는 선전을 해왔다. 그러나 위의 군주나 아래의 백성의 입장에서 볼때 그것은 그다지 탐탁한 이론이 아니다. 그런 점 때문이지 맹자는 군주에게 혁명 운운하면서 올바른 통치를 위해 노력하라고 협박하고 한편으로는 백성을 근본으로 하는 정치라는 구호를 내건다. 그것은 결국 지식인 지배를 위한 이론일 뿐이다.
성악설은 현실을 냉철하게 보는 이론이다. 현실을 물질적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묵자에서 보이듯이 하층민의 입장에서, 순자에서 나타나듯이 지식인 중간계층의 입장에서, 또는 한비자에서 보이듯이 군주의 입장에서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고 출발하겠다는 점에서는 같다. 그들은 형이상학적 상상력보다는 현실의 물질적 힘에서 이론을 출발 시키므로 매우 현실적이면서 실효성이 뛰어나다. 그렇기 때문에 당시 군주들이 그 이론을 채택했고, 이제 와서 보면 현대 사회 과학에 가깝다. 오늘날의 과학 이론에 맞추어 살아남는 이론은 성선설이 아니라 성악설이다. 성악설은 단지 흘러간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의 인간과 사회를 바라보는 이론이 될 수 있다.
4. 토론거리
1. 도깨비감투 전래동화 모두들 잘 알고 계시죠? ^-^
한 농부가 우연히 도깨비감투를 얻게 된다. 그 감투를 쓰면 사람의 모습이 보이지 않게 되는데 농부가 이를 이용해서 도둑질을 한다. 자꾸 욕심을 부리던 농부는 결국 상인들에게 들켜 흠씬 두들겨 맞는다. 여기서 농부의 본성은 선합니까? 악한 것입니까?
2. 영화로도 만들어져 큰 열풍을 일으켰던 만화 ‘데쓰노트’에서 라이토 즉, 키라가 하는 행동 - 범죄 없는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한- 은 많은 소중한 생명을 앗아가는데요, 이러한 라이토의 행동은 인간의 선한 본성에서 나온 것입니까? 악한 본성에서 나온 것 입니까?
* 데쓰노트 모르시는 분들 검색해서 알아보세요.

키워드

맹자,   성선설,   성악설,   순자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5.28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5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