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CASE] 안전관리 -낙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리CASE] 안전관리 -낙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목적
2) 규정
3) 용어의 정의
4) 적용
5) 낙상 위험 평가 도구
6) 낙상 위험도 평가 주기
7) 낙상 고위험 환자분류 기준
8) 낙상 예방 활동
9) 낙상 발생 시 대처 & 보고체계
10) 낙상 예방 활동에 대한 평가


Ⅱ 본론

1) 나의 목표
2) 낙상 예방 관리를 위해 수행한 나의 절차
3) 병동 내 낙상 고위험군 환자 파악
4) 병동 내 실제 이뤄지고 있는 낙상 고위험 환자의 관리
5) 병동 내에서 발생한 낙상 사건사고 사례


Ⅲ 결론

1) 병동의 낙상 관리의 문제점 & 대안방안
2)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객을 위한 낙상예방을 위한 관리가 이뤄지고 있음
★ 병동 내에서 발생한 낙상 사건사고 사례
환자 정보
김 △ F/86
사건 발생 일시
2011년 10월 6일 4시 30분
사건 발생 원인
1.새벽에 혼자 화장실을 가려고 보호자를 깨우지 않았다
2.간호사 호출기가 침대에 가까이 있지 않았다 (사용에 불편함이 있음)
3.환자의 신장이 짧아 발이 바닥에 닿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개선 방안
1.고령환자에게 수시로 눈높이에 맞추어 낙상예방간호를 실시한다
2.간호사 호출기 위치와 사용법을 재교육 한다
3.보호자 없이 절대 침상에서 내려오지 않도록 교육 한다
환자 정보
정 △ M/59
사건 발생 일시
2011년 8월 20일 16시 40분
사건 발생 원인
1.낙상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었으나 의식이 명료하고 보행가능하여
침상난간을 내리고 있었다
개선 방안
1.낙상 고위험군의 의미를 다시 인식시키고 낙상주의에 대해 교육한다
2.보행 가능한 상태라도 홀로 보행 금하도록 하고 보호자 상주시에도 침상난간을 내리지 않도록 한다
3.야간에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필요 시 간호사실 호출기를 사용하도록 한다
* 2011년도 낙상 사고: 총 7회
→ 2012년 낙상 발생률 5건 감소를 목표로 세움
Ⅲ 결론
★ 병동의 낙상 관리의 문제점 & 대안방안
① 51점 이상의 낙상 고위험 환자들과 40점 이상의 대상자들의 낙상주의 인식이 부족하다
- 장선△, 임옥△, 김정△ 환자와의 인터뷰에서 노란색 팔찌를 하신 이유에 대해 모르며 본인이 낙상 고위험 환자인 것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 다른 환자들과 달리 노란색 팔찌를 한 이유인 낙상에 있어 주의가 필요한 대상자임을 교육하고 특히나 낙상의 주의가 필요한 장소와 침상머리 맡에 있는 낙상 예방 지침표를 읽어 보실 것을 권장하고 보행 시에는 반드시 보호자와 함께 할 것을 말씀드렸다
② 수면 시 Side rail이 내려져 있음을 자주 확인할 수 있다
→ 장선△ 환자의 Side rail이 항상 내려져 있는 것을 발견하고 주의를 요하자 이후엔 Side rail을 올린 것을 볼 수 있었다
③ Acting 간호사가 IV Start 후 Side rail을 올리지 않은 것이 관찰되었다
→ Side inj 이나 IV Start시 Side rail을 내리고 처치한 후 자리를 떠날 때 올리지 않고 가면 환자에게 침상난간을 올릴 것을 권장하고 수행이 부족한 환자는 직접 올려드렸다
④ 43명의 재원 환자들 중에 27명이 침상안정 시 Side rail을 올리지 않은 것이 관찰되었다
→ 많은 환자들이 침상의 바퀴는 고정을 했으나 침상난간은 고정하지 않은 것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침상난간이 올려져 있지 않은 환자는 침상난간을 올릴 것을 권장하고 직접 올려드렸다
안전관리
-낙상-
임상실습 Ⅲ
간호 관리학 실습
실 습 장 소
순천향대학병원 별관6 호흡기내과
실 습 기 간
2012. 04.30 ~ 05.11
학 과
간 호 과
학 번
1099015
이 름
김 아 영
지 도 교 수
한 미 현 교수님
수 간 호 사
공 현 희 선생님
제 출 일 자
2012년 05월 11일
Ⅰ 서론
1) 목적
2) 규정
3) 용어의 정의
4) 적용
5) 낙상 위험 평가 도구
6) 낙상 위험도 평가 주기
7) 낙상 고위험 환자분류 기준
8) 낙상 예방 활동
9) 낙상 발생 시 대처 & 보고체계
10) 낙상 예방 활동에 대한 평가
Ⅱ 본론
1) 나의 목표
2) 낙상 예방 관리를 위해 수행한 나의 절차
3) 병동 내 낙상 고위험군 환자 파악
4) 병동 내 실제 이뤄지고 있는 낙상 고위험 환자의 관리
5) 병동 내에서 발생한 낙상 사건사고 사례
Ⅲ 결론
1) 병동의 낙상 관리의 문제점 & 대안방안
2) 참고문헌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5.29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