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물을 확보하기 위한 저수지 또한 발전한 사회가 삼한 사회였어요. 김제 벽골제, 밀양 수산제, 제천 의림지 등이 대표적인 삼한 사회 이래의 저수지이고요, 사진으로 한번 확인해봅시다. 먼저 보이는 지도는 저수지들이 있던 곳을 표시해 놓은 지도에요. 좀 선명하지 못해서 아쉽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위치를 파악할 수는 있겠죠? 다음으로 보이는 사진은 김제 벽골제의 지금 모습이에요. 여러분들 중에 이런 저수지에 가본 적이 있는 학생 혹시 있나요?(있을 경우, 어땠었는지 느낌을 물어본다. 없을 경우 자연스럽게 수업을 이어서 진행한다.)
자 다음은 삼한 사회 중에서도 철이 유난히 많이 생산된 지역에 대해 살펴볼 건데요, 그 지역은 변한 지역이에요. 변한지역에서는 철이 많이 생산되었기 때문에 낙랑이나 왜 등으로 수출하기도 했어요.
네, 이렇듯 삼한사회는 철기를 바탕으로 농경문화가 발달한 사회였고, 또 농경의 발달과 더불어 저수지도 발달되어 있던 지역이었어요. 더 나아가 다른 나라와는 달리 제정분리의 사회 모습을 갖추고 있던 나라였습니다.
PPT지도를 본다.
PPT사진자료를 본다.
PPT사진자료를 본다.
학생의 답변을 듣는다.
교사는 지도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지도와 함께 각 나라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교사는 수업내용과 관련된 사진자료를 제시해주어, 학생들의 관심과 수업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배우는 단원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7분
수업 내용 총정리
및
확인
오늘 여러나라를 한번에 배워서 여러분들이 이해하기에 좀 어려울 수도 있겠어요. 그렇죠? 그럼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선생님과 함께 정리해보도록 합시다.
먼저, 국가의 발전단계에 대해서 함께 보도록 해요. 자 표가 보이죠? 표를 함께 채워넣도록 합시다. □□학생이 한번 해볼까요? 자, 국가의 발전단계 중에서 가장 먼저 들어가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학생의 답변을 기다리고 학생이 대답하지 못할 경우에, 군장이 중심세력이 된 국가라는 힌트를 준다.)맞았어요. 그럼 계속해서 □□학생이 대답해 볼까요? 군장국가에는 왕이 존재했나요? 존재하지 않았나요? 잘했어요. 그럼 오늘 배운 나라들 중에서 이 단계에 해당하는 나라는 어디일까요?(학생의 답변을 기다린다. 대답하지 못할경우, 해산물이 풍부했던 나라들이라고 힌트를 준다.)
그럼 다음은 △△학생이 군장국가 다음 단계의 국가에 대해서 얘기해볼까요?(학생의 답변을 기다리고, 학생이 대답하지 못할경우, 여러 부족들이 연합한 국가형태라는 힌트를 준다.)맞았어요. 그럼 △△학생, 이때에는 왕이 존재했나요?존재하지 않았나요?맞았어요. 그럼 오늘 배운 나라중에서 이 단계에 해당하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그럼 마지막으로 ○○학생이 얘기해봅시다. 마지막 국가의 발전단계는 무엇인가요?잘했어요. 이때에는 왕이 존재했나요?네, 그리고 이 단계에 해당하는 국가는 아직 없었어요. 물론, 고구려와 삼한 사회는 후에 중앙집권적 국가로의 기반을 마련하지만 아직은 중앙집권적 국가단계라고 보기는 힘든 시대였죠.
그럼, 각 나라의 특징에 대한 되짚어 보기를 해봅시다. 자, 관련되는 것을 모두 고르는 문제를 함께 풀어보도록 해요. ○○학생 부여에 해당하는 내용을 보기에서 모두 골라볼까요? 네 맞았어요. 왕이 죽으면 많은 사람들을 함께 묻는 순장, 가들이 따로 다스렸던 사출도가 부여에 해당되는 내용이에요.
그럼 다음으로는 고구려에 해당하는 내용을 □□ 학생이 보기에서 모두 골라볼까요? 잘했어요. 고구려의 중대한 범죄자에 대한 처벌등을 담당했던 제가회의와 일종의 데릴사위제였던 서옥제, 그리고 고구려의 중심지였던 국내성을 들 수 있어요.
그럼 다음으로는 △△학생이 옥저에 관련된 내용을 보기에서 골라볼까요? 네 맞았어요.
△△학생이 이어서 동예에 관련된 내용도 함께 찾아보도록 해요.
아주 잘해주었어요.
그럼 ◇◇학생이 삼한 사회에 관련된 내용을 찾아봅시다.
네. 맞았어요. 모두들 너무 잘 해주었어요.
그럼 각 나라들의 제천행사에 대해 연결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해요. 먼저 부여의 제천행사는 무엇인가요?(한 학생을 지목하여 순서대로 한 문제씩 답변하도록 유도한다.)네. 잘했어요.
다음 고구려의 제천행사는 무엇인가요?
맞았어요. 다음으로 동예의 제천행사는 무엇인가요?
마지막으로 삼한의 제천행사는 무엇인가요?
네, 여러분 너무 잘해주었어요.
군장국가요.
존재하지 않았아요.
옥저와 동예요.
연맹왕국단계에요.
존재했어요.
부여, 고구려, 삼한이요.
중앙집권국가요.
네.
순장, 사출도요.
제가회의, 서옥제,국내성이요.
민며느리제, 골장제요.
족외혼, 책화, 단궁, 과하마, 반어피요.
천군, 소도, 신지, 견지, 철생산이요.
영고요.
동맹이요.
무천이요.
수릿날과 계절제요.
교사는 확인학습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이해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학생들은 수업내용을 점검하면서 오늘 배운 수업에 대한 점검 및 이해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학습자들이 문제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발문을 제시하고, 학습자들의 반응에 교사가 적극적으로 피드백 해준다.
11분
질의 및
응답과
다음 시간수업에
대한 예고
자, 그럼 오늘 수업에 대해 질문 사항이 있으면 해주세요.(학생들이 질문하도록 잠시 기다린다. 질문이 없으면 자연스럽게 수업을 진행한다.)혹시 나중에 공부하면서 질문할 것이 생기면, 언제든지 선생님을 찾아와서 질문해주세요. 그러면, 선생님이 여러분에게 알려주도록 할게요.
또 선생님이 학습지를 함께 만들어 봤어요. 나누어준 학습지는 각자 풀어보고, 선생님이 답을 맨 마지막 장에 적어놓았으니, 문제를 풀어본 후에 의문이 생기는 것이 있으면 다음시간에 선생님에게 질문해주세요.
다음시간에는 고대사회의 형성에 관해서 공부할 것이에요. 여러분들이 시간을 내어서 고대사회의 형성 부분을 미리 읽어오면 수업을 들을 때 이해하기가 좀 더 쉬울 거에요.
그럼 오늘 수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할게요.
교사는 학생의 질문에 대해 충실히 답변한다.
다음차시수업에 대한 예고를 통해 학습자들이 다음 수업에 대해 준비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학습지를 과제로 부여함으로써 오늘 배운 수업에 대해 복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2분
자 다음은 삼한 사회 중에서도 철이 유난히 많이 생산된 지역에 대해 살펴볼 건데요, 그 지역은 변한 지역이에요. 변한지역에서는 철이 많이 생산되었기 때문에 낙랑이나 왜 등으로 수출하기도 했어요.
네, 이렇듯 삼한사회는 철기를 바탕으로 농경문화가 발달한 사회였고, 또 농경의 발달과 더불어 저수지도 발달되어 있던 지역이었어요. 더 나아가 다른 나라와는 달리 제정분리의 사회 모습을 갖추고 있던 나라였습니다.
PPT지도를 본다.
PPT사진자료를 본다.
PPT사진자료를 본다.
학생의 답변을 듣는다.
교사는 지도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지도와 함께 각 나라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교사는 수업내용과 관련된 사진자료를 제시해주어, 학생들의 관심과 수업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배우는 단원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7분
수업 내용 총정리
및
확인
오늘 여러나라를 한번에 배워서 여러분들이 이해하기에 좀 어려울 수도 있겠어요. 그렇죠? 그럼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선생님과 함께 정리해보도록 합시다.
먼저, 국가의 발전단계에 대해서 함께 보도록 해요. 자 표가 보이죠? 표를 함께 채워넣도록 합시다. □□학생이 한번 해볼까요? 자, 국가의 발전단계 중에서 가장 먼저 들어가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학생의 답변을 기다리고 학생이 대답하지 못할 경우에, 군장이 중심세력이 된 국가라는 힌트를 준다.)맞았어요. 그럼 계속해서 □□학생이 대답해 볼까요? 군장국가에는 왕이 존재했나요? 존재하지 않았나요? 잘했어요. 그럼 오늘 배운 나라들 중에서 이 단계에 해당하는 나라는 어디일까요?(학생의 답변을 기다린다. 대답하지 못할경우, 해산물이 풍부했던 나라들이라고 힌트를 준다.)
그럼 다음은 △△학생이 군장국가 다음 단계의 국가에 대해서 얘기해볼까요?(학생의 답변을 기다리고, 학생이 대답하지 못할경우, 여러 부족들이 연합한 국가형태라는 힌트를 준다.)맞았어요. 그럼 △△학생, 이때에는 왕이 존재했나요?존재하지 않았나요?맞았어요. 그럼 오늘 배운 나라중에서 이 단계에 해당하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그럼 마지막으로 ○○학생이 얘기해봅시다. 마지막 국가의 발전단계는 무엇인가요?잘했어요. 이때에는 왕이 존재했나요?네, 그리고 이 단계에 해당하는 국가는 아직 없었어요. 물론, 고구려와 삼한 사회는 후에 중앙집권적 국가로의 기반을 마련하지만 아직은 중앙집권적 국가단계라고 보기는 힘든 시대였죠.
그럼, 각 나라의 특징에 대한 되짚어 보기를 해봅시다. 자, 관련되는 것을 모두 고르는 문제를 함께 풀어보도록 해요. ○○학생 부여에 해당하는 내용을 보기에서 모두 골라볼까요? 네 맞았어요. 왕이 죽으면 많은 사람들을 함께 묻는 순장, 가들이 따로 다스렸던 사출도가 부여에 해당되는 내용이에요.
그럼 다음으로는 고구려에 해당하는 내용을 □□ 학생이 보기에서 모두 골라볼까요? 잘했어요. 고구려의 중대한 범죄자에 대한 처벌등을 담당했던 제가회의와 일종의 데릴사위제였던 서옥제, 그리고 고구려의 중심지였던 국내성을 들 수 있어요.
그럼 다음으로는 △△학생이 옥저에 관련된 내용을 보기에서 골라볼까요? 네 맞았어요.
△△학생이 이어서 동예에 관련된 내용도 함께 찾아보도록 해요.
아주 잘해주었어요.
그럼 ◇◇학생이 삼한 사회에 관련된 내용을 찾아봅시다.
네. 맞았어요. 모두들 너무 잘 해주었어요.
그럼 각 나라들의 제천행사에 대해 연결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해요. 먼저 부여의 제천행사는 무엇인가요?(한 학생을 지목하여 순서대로 한 문제씩 답변하도록 유도한다.)네. 잘했어요.
다음 고구려의 제천행사는 무엇인가요?
맞았어요. 다음으로 동예의 제천행사는 무엇인가요?
마지막으로 삼한의 제천행사는 무엇인가요?
네, 여러분 너무 잘해주었어요.
군장국가요.
존재하지 않았아요.
옥저와 동예요.
연맹왕국단계에요.
존재했어요.
부여, 고구려, 삼한이요.
중앙집권국가요.
네.
순장, 사출도요.
제가회의, 서옥제,국내성이요.
민며느리제, 골장제요.
족외혼, 책화, 단궁, 과하마, 반어피요.
천군, 소도, 신지, 견지, 철생산이요.
영고요.
동맹이요.
무천이요.
수릿날과 계절제요.
교사는 확인학습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이해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학생들은 수업내용을 점검하면서 오늘 배운 수업에 대한 점검 및 이해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학습자들이 문제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발문을 제시하고, 학습자들의 반응에 교사가 적극적으로 피드백 해준다.
11분
질의 및
응답과
다음 시간수업에
대한 예고
자, 그럼 오늘 수업에 대해 질문 사항이 있으면 해주세요.(학생들이 질문하도록 잠시 기다린다. 질문이 없으면 자연스럽게 수업을 진행한다.)혹시 나중에 공부하면서 질문할 것이 생기면, 언제든지 선생님을 찾아와서 질문해주세요. 그러면, 선생님이 여러분에게 알려주도록 할게요.
또 선생님이 학습지를 함께 만들어 봤어요. 나누어준 학습지는 각자 풀어보고, 선생님이 답을 맨 마지막 장에 적어놓았으니, 문제를 풀어본 후에 의문이 생기는 것이 있으면 다음시간에 선생님에게 질문해주세요.
다음시간에는 고대사회의 형성에 관해서 공부할 것이에요. 여러분들이 시간을 내어서 고대사회의 형성 부분을 미리 읽어오면 수업을 들을 때 이해하기가 좀 더 쉬울 거에요.
그럼 오늘 수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할게요.
교사는 학생의 질문에 대해 충실히 답변한다.
다음차시수업에 대한 예고를 통해 학습자들이 다음 수업에 대해 준비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학습지를 과제로 부여함으로써 오늘 배운 수업에 대해 복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2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