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문화의 발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절 삼국의 문화
1. 삼국 문화의 성격
2. 통일신라 문화의 성격
3. 발해 문화의 성격
4. 사상의 발달
5. 남북국 시대의 불교
6. 학문과 기술의 발달

제2절. 남북국가 시대의 학문
1.통일신라의 학문
2. 발해의 학문

제3절 예술의 발달
1. 고대 고분
2. 삼국의 불상
3. 삼국의 석탑
4. 통일신라의 예술

제4절 우리 문화의 일본 전파
1. 선사 문화의 일본 전파
시 대
내 용
구석기 시대
육지로 연결되어 우리 문화가 그대로 전래
신석기 시대
육지로 연결되어 우리 문화가 그대로 전래
청동기 시대
야요이문화(彌生)의 벼농사,유구석부 전래
철기 시대
고분 축조 기술과 금·은장식의 전래
삼국시대
아스카문화(飛鳥)에 영향
통일신라 시대
하쿠오문화(白鳳)에 영향
2.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일본 고대 문화 형성의 계기)
고 구 려
백 제
신 라
* 혜자-쇼토쿠 스승
* 혜관-삼론종 전파
* 도현-「일본서기」 저술* 담징-금당벽화그림
- 5경 전래
- 지묵법 전래
* 다까마스 고분에 영향
* 일본 고대문화 형성의 원동력
* 아직기,왕인-논어, 천자문전래* 관륵-천문,역법 전래
* 노리사치계-불교 전래(552년)
*아좌태자-쇼토쿠 초상화 제작
* 아스카 문화에 가장 큰 영향
* 백제 가람의 건축 양식 발달
* 조선술, 축성술
전래
(한인의 연못 유행)
* 일본의 견신라사
내왕
3. 통일신라 문화의 일본 전파
4. 발해의 예술

본문내용

기사도)·우차·여인의 풍속화가 있어 당시 생활 풍속을 엿볼 수 있다.
ⓒ 각저총 : 씨름도, 별자리 그림
ⓓ 수렵총 : 수렵도
ⓔ 강서 우현리 대묘 : 도교 영향의 사신도가 있어 벽화 중에서 매우 우수한 것으 로 흑, 백, 청, 주홍, 갈색 등의 색깔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정열과 패기가 넘쳐흐른다.
(2) 백제
① 한성 시대
㉠ 양식 : 고구려 초기 고분과 유사한 적석총(=돌무지무덤)
㉡ 종류 : 서울 석촌동 고분 → 고구려 유민의 백제 건국 사실 입증
㉢ 특징 : 벽화 없음
② 웅진시대
㉠ 양식 : 횡혈식석실분(=굴식돌방무덤)과 전축분(=벽돌무덤)
㉡ 종류
ⓐ 공주 송산리 6호분 → 벽화가 있고 소박하고 고졸한 맛이 남아 있음
☞ 벽화로 연화 운문도가 있음
ⓑ 무녕왕릉의 전축분 → 벽화는 없고 중국 남조 양나라 영향을 받아 축조되었으며 지석이 출토되어 주인공을 밝히고 있고 매지권이 발견됨으로써 도교 영향을 받 은 것으로 입증
③ 사비시대
㉠ 양식 : 횡혈식석실분(=굴식돌방무덤)
㉡ 종류 : 부여 능산리 고분 → 규모는 작으나 건축 기술과 벽화가 매우 세련
☞ 벽화로 능산리 사신도가 있음
(3) 신라
① 통일전
㉠ 형식 : 적석목곽분(=돌무지덧널무덤), 옹광묘(=독무덤), 석실분(=돌방무덤) 등
㉡ 특징
ⓐ 규모가 큰 것은 대개 적석목곽분
ⓑ 도굴되지 않고 많은 부장품 간직
㉢ 종류
ⓐ 천마총(=155호 고분) → 자작나무 껍질로 만든 말 안장의 장니에 천마도가 그 려져있으나 벽화는 아님, 1973년 달걀껍질, 기마 인물도 등 발견
ⓑ 금관총 → 금관, 금팔찌, 금귀걸이 등 출토
ⓒ 호우총 → 호우 청동 항아리가 발견되어 당시 고구려와 신라의 외교관계 사실 입증
② 통일후
㉠ 양식 : 횡혈식석실분, 화장법, 호석(=둘레돌) 유행
㉡ 종류 : 성덕대왕릉, 원성왕릉인 괘릉, 김유신장군묘, 문무대왕릉 등
2. 삼국의 불상
(1) 고구려 - 연가 7연명 금동 여래 입상
(2) 백 제 - 서산 마애 삼존 불상, 공주 금동 보살 입상, 능산리 금동 용봉 봉래산 향로 → 백제 미술의 수준 입증
(3) 신 라 - 금동 미륵 보살 반가 사유상
※ 금동 미륵 보살 반가 사유상은 삼국이 모두 제작
3. 삼국의 석탑
(1) 고구려 - 초기부터 목탑만 건립하여 현존하는 것이 없음
(2) 백 제 - 익산 미륵사지 석탑(목탑양식),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평제탑)
(3) 신 라 - 분황사 모전 석탑, 황룡사 9층 목탑
4. 통일신라의 예술
(1) 특징
① 조형 미술 발달
② 조화미, 정제미, 입체미, 균형미를 갖춤
③ 안압지, 포석정을 중심으로 한 귀족 중심 미술
(2) 석굴암
① 8세기 중엽 김대성의 건의로 축조
② 불교의 이상 세계를 실현할 목적으로 건립
③ 본존불상을 중심으로 11면 보살상, 32나한상, 인왕상, 금강역사가 있음
(3) 불국사
① 경덕왕 때 김대성이 건립(8c 중엽)
②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다시 중건
③ 청운교, 백운교, 범영루, 다보탑, 석가탑 등만 전함
(4) 범종
① 상원사 동종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종
② 성덕대왕 신종 - 현존 최고의 걸작으로 혜공왕 때 주조(=일명 에밀레종)
(5) 조각
① 무열왕비의 이수와 귀부
② 김유신묘,성덕대왕릉,괘릉의 둘레돌(12지신상) 조각
=> 우리 나라만의 독특한 묘제
③ 불국사 석등과 법주사 쌍사자 석등
(6) 석탑
① 3층 석탑이 유행 → 높은 기단 위에 탑의 폭을 대폭 축소하여 건립
② 감은사지 3층 석탑, 불국사 3층 석탑, 화엄사 4사자 3층 석탑
③ 다보탑 - 일반적인 양식 이탈
④ 신라 하대 선종이 유행하면서 부도가 제작됨
(7) 서예
① 김생, 요극일, 김인문이 유명
② 김생의 원화첩은 전하지 않고 그의 글씨를 모은 집자비문을 고려시대편찬
③ 요극일은 구양순체로 유명
(8) 그림
김충의가 불교 및 초상화로 유명
(9) 향가
① 통일전 : 혜성가, 서동요
② 통일후 불교의 영향으로 승려와 화랑 출신의 작가 배출
각간 위홍과 대구화상이 향가집 삼대목 편찬(부전)
현존하는 향가는 25수
(10) 음악
① 고구려 : 왕산악의 거문고 제작
② 백 제 : 일본 음악에 영향
③ 신 라 : 3죽과 3현이 유명하고 우륵의 가야금, 백결선생의 방아타령
제4절 우리 문화의 일본 전파
1. 선사 문화의 일본 전파
시 대
내 용
구석기 시대
육지로 연결되어 우리 문화가 그대로 전래
신석기 시대
육지로 연결되어 우리 문화가 그대로 전래
청동기 시대
야요이문화(彌生)의 벼농사,유구석부 전래
철기 시대
고분 축조 기술과 금·은장식의 전래
삼국시대
아스카문화(飛鳥)에 영향
통일신라 시대
하쿠오문화(白鳳)에 영향
2.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일본 고대 문화 형성의 계기)
고 구 려
백 제
신 라
* 혜자-쇼토쿠 스승
* 혜관-삼론종 전파
* 도현-일본서기 저술* 담징-금당벽화그림
- 5경 전래
- 지묵법 전래
* 다까마스 고분에 영향
* 일본 고대문화 형성의 원동력
* 아직기,왕인-논어, 천자문전래* 관륵-천문,역법 전래
* 노리사치계-불교 전래(552년)
*아좌태자-쇼토쿠 초상화 제작
* 아스카 문화에 가장 큰 영향
* 백제 가람의 건축 양식 발달
* 조선술, 축성술
전래
(한인의 연못 유행)
* 일본의 견신라사
내왕
3. 통일신라 문화의 일본 전파
(1) 정치제도는 전제왕권의 확립에 기여함
(2) 원효, 강수, 설총 등의 불교, 유교 문화가 영향을 줌
(3) 심상에 의해 전해진 의상의 화엄사상은 일본 화엄종을 크게 일으킴
4. 발해의 예술
(1) 조각
① 불상은 전불이나 철불, 금동불이 제작됨
② 얼굴이나 광배, 의상 등의 조각 수법이 웅장하고 균형잡힘
③ 정혜공주 무덤에서 나온 두개의 돌사자 조작은 매우 생동감있고 힘찬 모습을 보여줌
④ 금·은으로 정교하고 아름다운 그릇이나 사리함 제작
⑤ 궁궐터나 절터에서 발견된 기와, 벽돌의 무늬는 소박하고 직선적임
(2) 자기
① 무게가 가볍고 광택이 있음
② 종류나 크기, 형태, 색깔 등이 다양함
③ 당의 수출품으로 유명
(3) 음악과 무용
① 발해악은 일본으로 전해짐
② 일본에서 악공을 파견하여 음악을 배워감
③ 발해의 악기는 뒷날 송나라의 악기 제작에 영향을 줌

키워드

고대 문화,   문화,   백제,   혜자,   고대,   발해,   통일신라,   아스카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6.28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0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