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의 건국과 멸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해의 건국과 멸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발해의 건국

2. 발해의 발전
1) 발해의 전성기
2) 발해의 대외관계
3) 발해의 문화와 사회
4) 발해의 통치체제

3. 발해의 멸망

4. 발해의 의의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중국 역사로 편입시키려 한다. 하지만 발해는 고구려를 계승했다는 의식을 분명하게 가지고 있었던 나라이고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중국 한족과의 전쟁을 통해서 자국의 영역을 확보했던 나라였다. 그렇다면 발해를 우리 민족의 역사로 주장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첫째, 발해가 일본에 보낸 외교 문서에 발해왕이 자신을 고구려왕으로 지칭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발해의 지배층이 고구려 계승 의식을 뚜렷이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둘째, 발해 지배층의 90% 이상이 고구려 유민들이었다는 사실이다. 셋째, 발해의 미술 양식에 고구려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발해의 수도인 상경에서 발굴된 돌사자상을 보면 고구려 미술의 웅장한 멋이 그대로 재현되어 있다. 넷째, 발해 지배층의 무덤 양식은 고구려의 돌방무덤을 그대로 닮았다. 다섯째, 발해의 온돌 양식 또한 고구려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이 같은 사실들은 발해를 우리 민족사에 편입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를 제시해 준다.
<< 참고문헌 >>
국사편찬위원회 http://www.history.go.kr
국사 편찬 위원회, <국사> 교육 인적 자원부, 2002
사이버 발해 박물관 http://palhae.nacool.net/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4.08.31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58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