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중대전제왕권에대해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라중대전제왕권에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전제정치의 개념
3. 중대 전제정치의 이해
4. 기존 통설의 비판
5. 맺음말

본문내용

전제왕권 절정기인 성덕왕대에 중시를 연임했다는 윤중도 실은 중시가 아니었고, 위에서 살펴본바 중대 = 전제왕권시대설은 확실한 답을 내리기가 어렵다고 볼 수 있다. 신라 중대는 전 후 시기에 비해 왕권이 강화되었으나, 중대 초에 일시적으로 전제정치가 행해졌다 하더라도 중대말까지 계속되지는 않았으므로 중대 = 전제왕권시대로 도식화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많은 문헌과 논문들을 읽어보기는 하였지만, 모두 다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었다. 하지만, 신라 중대의 전제왕권에 대한 학계의 주장들을 섭렵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하고, 이것도 배워가는 과정에 하나로 생각된다. 그리고 기존 통설에 대하여 비판하는 논문들을 읽으면서 역사해석에 있어서 다양한 시각들이 공존한다는 것을 새삼스럽게 알게 되었고, 편향된 입장보다 여러 입장들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역사를 조금은 더 폭넓게 바라볼 수 있는 시야를 가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 참고문헌
金壽泰,『新羅中代政治史硏究』, 一潮閣, 1996.
申瀅植,『統一新羅史硏究』, 三知院, 1990.
李基白,「新羅 專制政治의 成立」,『韓國史 轉換期의 문제들』, 지식산업사, 1993.
李基白,「統一新羅時代의 專制政治」,『韓國史上의 政治形態』, 一潮閣, 1993.
李泳鎬,「新羅 惠恭王 12年 官號復故의 意味-소위 ‘中代 專制王權’說의 一檢討-」,『대구사학39』, 1990.
李泳鎬,「新羅 執事部의 設置와 中侍」,『국사관논총 제69집』, 국사편찬위원회, 1996, pp.221-266
李仁哲,「新羅 中代의 政治形態」,『한국학보 77』, 일지사, 1994, pp.29-66 1226-3389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6.29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4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