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신용도현황,국가신용도평가기관,국가신용도의개념,한국신용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가신용도현황,국가신용도평가기관,국가신용도의개념,한국신용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가신용도의 개념
 1. 정의
 2. 평가요소

Ⅱ. 국가신용도 평가기관
 1. Moody\'s
 2. Fitch Ratings
 3. STANDARD & POOR\'S

Ⅲ. 국가신용도 현황
 1. 대한민국의 국가신용도
 2. 국가신용도 상승의 의미
 3. 주변국의 국가신용도

Ⅳ. 결론

본문내용

신용등급 발표와 함께 수은, 주택금융공사, 중소기업진흥공단, 한국정책금융공사의 등급도 상향조정 하였다.
둘째, 가산금리 하락에 따라 국내금융기관ㆍ기업 등의 해외 자금조달 비용이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무디스와 피치의 신용등급 상향 조정 이후 국내 금융기관 등의 외채발행 금리가 과거에 비해 하락하였다. 셋째, 대외적으로 우리나라 전체의 국가브랜드 이미지 제고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국내 기업의 제품ㆍ서비스에 대한 이미지도 덩달아 상승하며 이는 결구 수출 증대 등에 직ㆍ간접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준다. 넷째, 해외투자자들의 한국물에 대한 투자심리 개선에 따른 국내 주식ㆍ채권시장 등에 투자촉진 효과를 준다.
이러한 4가지 외에도 과거 외환위기로 인해 우리나라에 찍혀있던 일종의 낙인효과가 비로소 완전히 사라졌다는 것이 등급 상승의 큰 효과라고 할 수 있다. 이 낙인효과로 인해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한국의 경제는 실제보다도 낮은 평가를 받아야만 했으나 2011년 이후 선진국들 중에서 유일하게 3대 신용평가사 모두에서 등급을 상향조정받은만큼 이러한 낙인효과는 사라졌다고 볼 수 있다.
3. 주변국의 국가신용도
일본
과거 AAA등급을 받으며 세계최고의 신용도를 자랑했으나 2009년 무디스를 끝으로 AAA등급을 모두 박탈당했다. 이제는 3, 4단계가 떨어져 우리나라와 비슷한 등급을 받고 있다. 부동산 버블의 붕괴 이후 금융회사의 부실화, 경기 침체, 국가 재정 악화를 겪었으며 심각한 고령화 문제(65세 이상 인구비율이 23.2%)도 발목을 잡고 있다. 제도의 안정성 측면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고 있으나 앞으로 일본의 신용등급이 상승될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최근 부각되는 문제는 최근 자발적 디폴트를 선언한 그리스에 비해서도 훨씬 높은 정부의 부채비율이다. 그리스의 정부 부채비율은 160%였지만 일본은 230%에 달한다. 이는 IMF가 발표하는 169개 국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중국
과거에는 신용도가 높지 않았지만 2010년 등급이 A로 상향 조정되었다. 최근에는 둔화되었지만 1~2년 전까지만 해도 연 10%이상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자랑했으며 특히 정부의 재정능력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앞으로도 큰 악재가 터지지 않고 성장의 장애물들을 잘 넘어간다면 완만한 상향 추세가 지속될 것이라 전망된다.
Ⅳ. 결론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이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모두 상향 조정되는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며 명실상부한 세계적 경제선진국이 되었다. 이러한 평가를 두고 일부 국내외 경제학자들은 중국과 일본보다 앞서고 있다는 결론을 내려 한국경제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더욱 돋보이게 하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 시작된 세계적 경제 위기 속에서 세계 선진경제국가들마저 부진한 가운데 얻은 효과이기에 더욱 빛이 난다. 무엇보다도 이번 3대 신용평가사의 등급 상향은 한 나라의 금융 신뢰도를 상징하는 국가신용등급이 오른 만큼 이전보다 한 단계 높아진 국가위상과 더 나은 경제여건이 제공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신용등급이 좋아진 개인이 더 나은 조건으로 돈을 빌릴 수 있듯이, 우리 기업과 금융기관들이 국제 자본시장으로부터 더 낮은 금리로 자금 조달이 가능해진 것은 물론 외국인들의 투자 유인도 그만큼 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마냥 좋아하기만 할 것은 아니다. 트리플 A 국가였던 일본의 추락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때 탄탄했던 경제도 쉽게 추락할 수 있음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국가신용도의 높고 낮음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탄탄한 재정건전성, 경상수지 흑자 유지, 안정적인 성장잠재력 확보 등 기본에 충실하다 보면 최고 등급인 AAA에도 더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6.03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06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