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독교 철학의 정의
2. 기독교 철학의 본질
3. 기독교철학의 성격
4. 기독교 철학의 전거(典據)
5. 기독교 철학의 대상과 기원
6. 기독교 철학과 인류의 범죄
7. 기독교 철학과 다원화된 사회
8. 기독교 철학의 구속
9. 기독교 철학의 갱신
10. 세속철학의 현실
11. 기독교 철학과 미래
12. 기독교 철학의 가치
13. 기독교 철학의 임무
14. 세속찰학(거짓철학)과 기독교 철학(참 철학)의 분류
참고문헌
2. 기독교 철학의 본질
3. 기독교철학의 성격
4. 기독교 철학의 전거(典據)
5. 기독교 철학의 대상과 기원
6. 기독교 철학과 인류의 범죄
7. 기독교 철학과 다원화된 사회
8. 기독교 철학의 구속
9. 기독교 철학의 갱신
10. 세속철학의 현실
11. 기독교 철학과 미래
12. 기독교 철학의 가치
13. 기독교 철학의 임무
14. 세속찰학(거짓철학)과 기독교 철학(참 철학)의 분류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적 기독교 철학의 임무는 최초의 인간은 자연계의 주인 되시는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상에 있는 자연의 주인으로 창조되어 자연현상을 알아야만 하였다.(자연현상파악의 임무) 인간은 이 세상을 지배하라는 명령을 받아서 새와 물고기와 모든 살아있는 것들의 종류와 양을 계산해야 했다.(수학적 임무) 인간은 에덴에서 나와 땅에 충만해져야 했다.(공간적 임무와 역학적 운동의 임무) 인간은 땅을 지배하고 다스려야 했다.(물리학적 임무) 식물을 다스리고 파악해야 했다.(식물학적 임무) 동물을 다스려야 했다(동물학적 임무-창 1:28-29) 인간은 동물들이 짝을 찾는 것을 보면서 자기도 짝을 가지기를 원하는 것과 같은 자연적인 감각작용도 가지고 있었다.0(심리학적 임무- 창 2:18-225)
그러므로 인간중심의 학문을 개발해야 할 임무는 최초의 인간은 문화를 주관하시는 주인 되신 하나님의 형상이기도 했다. 그래서 인간은 피조계와 그것의 일부인 인간 자신을 개발시켜야 할 임무가 있었다. 논리학을 통하여 나무들의 종을 구별해야 했다.(창 2:9) 역사를 통하여 인간은 번성하여 땅에 충만해짐으로 기록해야 했다.(창 1:28-29) 언어학을 통하여 동물들에게 이름을 지어줌으로 언어가 발달하였다. 사회학을 통하여 아내와 동거함으로 동반적 관계를 통해서 사회생활을 확장(창2:18-25) 경제학을 통하여 정금과 진주와 홍마노등을 채광하여 사용함으로 경제.(창 2:12) 심미학을 통하여 에덴동산을 장식함으로 미적 감각을 발전하게 되었다. 법학을 통하여 마귀의 비합리적인 반역으로부터 에덴동산을 지킬 법을 집행하게 되었다.(창 2:18-25) 윤리학을 통하여 아담이 자기 아내만을 사랑했다는 사실에서 윤리학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학을 통하여 자녀들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교육하도록 철저하게 지도하게 되었다. 최초의 인간은 모든 피조된 실존들을 총체적으로 고찰하는 현명한 철학자였다.
14. 세속찰학(거짓철학)과 기독교 철학(참 철학)의 분류
진정한 철학과 거짓철학의 대조의 기준은 성경이 인정하는 사상인가 아닌가에 그 기준을 두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성격적 존재론, 가치관, 인식론, 논리학, 심미학, 윤리학적이 그 기준이 된다. 기독교적 입장에서 철학자들을 네 가지의 부류로 나눌 수 있다.
1) 진정한 철학자들: 그 견해가 성경의 관점과 일치하는 사상가
하나님, 선한 천사들, 아담, 노아, 욥, 아브라함, 요셉, 모세, 다윗, 솔로몬, 이사야, 에레미야, 다니엘, 예수 그리스도, 성령, 바울, 요한, 순교자 Justin, Irenaeus, Athanasius, Augustine, Isidore, Anselm, Calvin, Ursinus, Alsted, Voetius, Cotton, Mather, Jonathan Edward, 네델란드의 Groen Van Prinsterer, Steketee, Kuyper, Woltjer, Bavinck, Hepp. Dooyeweerd, vollenhoven, kohnstamm, 아프리카 공화국의 Stoker, venter, Potgieter,Strauss, Kock, Brummer, 미국의 Van til, Runner, Rushdoony, Clark.
2) 극단적인 거짓 철학자
성경의 가르침과 정반대의 사상을 가진 사상가로서 성서에 나오는 거짓 철학자인 사단, 가인, 니므롯, 이집트와 비벨론의 많은 문필가,
* 중국의 거짓철학자: 공자, 맹자, 노자, 육상산, 왕양명,
* 인도철학자: Charvak, Vardhamana, Budda, Nagarjune, Shankara
* 그리스학자: Thales. Anaxiander, Anaximenes,
Heraclitos,Empedocles, Democritus Protagoras, Gogias, Diagenes, Stoa 학파의 Zeno, Epicurus.
* 그노시스(영지주의)학자: Lucian, celsus, Porphyry,-반기독교인들
* 기독교에서 배교한 자들: Marcon, Tatian,Pelagius,
* 이스람 사상가: Muhammed, Avicenna, Averroes,
* 유대인 철학자: Saadia, Gabirol, Maimonides Spinoza,
* 중세의 사상가: Eriugena, Ockham, Duns Scotus,
* 신비주의자들: Eckhart, Tauleer, Boehme,
* 르네쌍스의 다양한 철학자들
Bacon, Decartes, Hobes, Locke, Hume, Kant, Fichte, Wolf. De Lamettrie Diderot, Viltaire, Rousseau, Hegel, Kant, Schelling, Moleschott, Reuerach. Marx, Engels, Lenin, Comte, Wundt, Nietzsche, Husserl, Windelband, James, Dewey, Bultmann, Sartre,
3) 합성 철학자
진정한 성경적 관점과 그릇된 관점들을 혼합해 가지고 있는 사상가 로마 교회의 철학자들로 성경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합성을 꾀한 것이다. 이들의 사상에는 상당 부분 참된 요소가 들어있지만 거짓된 사상이 함께 혼합되어있다.
Philo, Clemens, Alexanderrius, Origen, Boethius, Albert Magnus, thomas Aquinas, Kierkegarrd, Tolstoy, Berdyaev, Blondel, Marcel, Smuts, Toynbee, Teilhard du chardin, Buber, Barth.
4) 계몽적인 이교 철학자: 중생하지 않았으나 일반은총을 매우 많이 받은 사상가- Socrates, Plato, Aristotle, Cicero, Seneca, Plutarch Chaeronea.
참고문헌
J.M.스피어 저, 기독교철학개론,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1
이경직 저, 기독교철학의 모색, 기독교연합신문사 2006
황성철 저, 기독교 교육철학,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00
Keith E. Yandell 저, 기독교와 철학, 이컴비즈넷 2007
문석호 저, 철학의 이해와 기독교 변증, 신앙과지성사 2002
그러므로 인간중심의 학문을 개발해야 할 임무는 최초의 인간은 문화를 주관하시는 주인 되신 하나님의 형상이기도 했다. 그래서 인간은 피조계와 그것의 일부인 인간 자신을 개발시켜야 할 임무가 있었다. 논리학을 통하여 나무들의 종을 구별해야 했다.(창 2:9) 역사를 통하여 인간은 번성하여 땅에 충만해짐으로 기록해야 했다.(창 1:28-29) 언어학을 통하여 동물들에게 이름을 지어줌으로 언어가 발달하였다. 사회학을 통하여 아내와 동거함으로 동반적 관계를 통해서 사회생활을 확장(창2:18-25) 경제학을 통하여 정금과 진주와 홍마노등을 채광하여 사용함으로 경제.(창 2:12) 심미학을 통하여 에덴동산을 장식함으로 미적 감각을 발전하게 되었다. 법학을 통하여 마귀의 비합리적인 반역으로부터 에덴동산을 지킬 법을 집행하게 되었다.(창 2:18-25) 윤리학을 통하여 아담이 자기 아내만을 사랑했다는 사실에서 윤리학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학을 통하여 자녀들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교육하도록 철저하게 지도하게 되었다. 최초의 인간은 모든 피조된 실존들을 총체적으로 고찰하는 현명한 철학자였다.
14. 세속찰학(거짓철학)과 기독교 철학(참 철학)의 분류
진정한 철학과 거짓철학의 대조의 기준은 성경이 인정하는 사상인가 아닌가에 그 기준을 두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성격적 존재론, 가치관, 인식론, 논리학, 심미학, 윤리학적이 그 기준이 된다. 기독교적 입장에서 철학자들을 네 가지의 부류로 나눌 수 있다.
1) 진정한 철학자들: 그 견해가 성경의 관점과 일치하는 사상가
하나님, 선한 천사들, 아담, 노아, 욥, 아브라함, 요셉, 모세, 다윗, 솔로몬, 이사야, 에레미야, 다니엘, 예수 그리스도, 성령, 바울, 요한, 순교자 Justin, Irenaeus, Athanasius, Augustine, Isidore, Anselm, Calvin, Ursinus, Alsted, Voetius, Cotton, Mather, Jonathan Edward, 네델란드의 Groen Van Prinsterer, Steketee, Kuyper, Woltjer, Bavinck, Hepp. Dooyeweerd, vollenhoven, kohnstamm, 아프리카 공화국의 Stoker, venter, Potgieter,Strauss, Kock, Brummer, 미국의 Van til, Runner, Rushdoony, Clark.
2) 극단적인 거짓 철학자
성경의 가르침과 정반대의 사상을 가진 사상가로서 성서에 나오는 거짓 철학자인 사단, 가인, 니므롯, 이집트와 비벨론의 많은 문필가,
* 중국의 거짓철학자: 공자, 맹자, 노자, 육상산, 왕양명,
* 인도철학자: Charvak, Vardhamana, Budda, Nagarjune, Shankara
* 그리스학자: Thales. Anaxiander, Anaximenes,
Heraclitos,Empedocles, Democritus Protagoras, Gogias, Diagenes, Stoa 학파의 Zeno, Epicurus.
* 그노시스(영지주의)학자: Lucian, celsus, Porphyry,-반기독교인들
* 기독교에서 배교한 자들: Marcon, Tatian,Pelagius,
* 이스람 사상가: Muhammed, Avicenna, Averroes,
* 유대인 철학자: Saadia, Gabirol, Maimonides Spinoza,
* 중세의 사상가: Eriugena, Ockham, Duns Scotus,
* 신비주의자들: Eckhart, Tauleer, Boehme,
* 르네쌍스의 다양한 철학자들
Bacon, Decartes, Hobes, Locke, Hume, Kant, Fichte, Wolf. De Lamettrie Diderot, Viltaire, Rousseau, Hegel, Kant, Schelling, Moleschott, Reuerach. Marx, Engels, Lenin, Comte, Wundt, Nietzsche, Husserl, Windelband, James, Dewey, Bultmann, Sartre,
3) 합성 철학자
진정한 성경적 관점과 그릇된 관점들을 혼합해 가지고 있는 사상가 로마 교회의 철학자들로 성경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합성을 꾀한 것이다. 이들의 사상에는 상당 부분 참된 요소가 들어있지만 거짓된 사상이 함께 혼합되어있다.
Philo, Clemens, Alexanderrius, Origen, Boethius, Albert Magnus, thomas Aquinas, Kierkegarrd, Tolstoy, Berdyaev, Blondel, Marcel, Smuts, Toynbee, Teilhard du chardin, Buber, Barth.
4) 계몽적인 이교 철학자: 중생하지 않았으나 일반은총을 매우 많이 받은 사상가- Socrates, Plato, Aristotle, Cicero, Seneca, Plutarch Chaeronea.
참고문헌
J.M.스피어 저, 기독교철학개론,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1
이경직 저, 기독교철학의 모색, 기독교연합신문사 2006
황성철 저, 기독교 교육철학,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00
Keith E. Yandell 저, 기독교와 철학, 이컴비즈넷 2007
문석호 저, 철학의 이해와 기독교 변증, 신앙과지성사 2002
키워드
추천자료
스포츠 예술에 관한 연구 (한국 기독교 문화를 중심으로)
논문-라인홀드 니이버의 인간관(기독교관련)
안락사의 정의와 그 이해 그리고 기독교 적인 접근방법
우리 사회 소수자들의 아픔과 기독교
[칸트의 사상][칸트의 철학]칸트의 사상과 철학에 관한 고찰(칸트 생애, 칸트 윤리학과 인식...
종교개혁 후 유럽, 북미지역의 기독교발전 과정 고찰
[종교사회학/종교학/종교의이해A+] 유대인과 유대교교리의 이해 및 기독교와의 분리쟁점분석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에 대한 기독교적 조명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기독교적 자연관이 지구적 생태위기의 근원이다 - ‘린 화이트 테제...
코메니우스(Comenius)의 유아교육사상에 대한 기독교적 조명
<플라톤과 바울> 헬라 사상이 기독교 영성에 끼친 영향 (플라톤주의의 발전과 플라톤주의의 ...
유전자 치료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접근
한중일 삼국의 ‘개화기’ 역사의 철학적 고찰 (동양 삼국의 철학과 서구 철학의 충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