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생리학에 대해 총정리 [전기치료]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기생리학에 대해 총정리 [전기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 : Transmembrane movement
2. 안정막 전압 - 세포막 전위 Resting Membrane Potential
3. 막전압 변화의 요인

본문내용

세포내외의 농도차는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만약에 개체가 죽게 되면 체내 세포들의 막전압은 어떻게 변할까? 결국 우리 몸의 에너지원이 없어지게 되어 active transport를 하지 못하게 되므로 계속된 leakage(passive transport)에 의해 세포내외의 농도차가 없어지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Na+, K+을 포함한 모든 ion의 평형전압이 0 mV로 변하게 될 것이고, 세포막 전압 역시 극성(polarity)을 잃고 0 mV로 바뀌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ATP 생성을 억제하는 대사억제제(metabolic inhibitor)를 사용하거나 저산소증(hypoxia) 등에 빠지게 되면 세포막 전압이 0 mV에 가까워지게 되므로 탈분극(depolarization)되게 되는 것입니다.
  • 가격3,36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3.06.07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1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