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면서
2-정신분석의 기원
3-심 층 탐 구
4-프로이트의 심리적 결정론
5-프로이트의 사회심리학
사회와 생물학
2-정신분석의 기원
3-심 층 탐 구
4-프로이트의 심리적 결정론
5-프로이트의 사회심리학
사회와 생물학
본문내용
루고 있다.
예로, 그가 문명과는 대치된다고 생각했던 '사랑'에 대한 그의 의견을 들어보자. 그는 사랑을 육감적·생식을 위한 사랑과 맹목적인 애정으로 나누어 보고 있다. 그러면서 그는 '문명은 이러한 사랑에 대해 반대할 수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문명은 광범한 공공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한다. 또, 죽음의 충동을 대변하는 공격의 본능에 대해서도 반사회적 행동을 통제할 필요성과 공격적인 충동의 내적인 억압도 요구된다고 보았다. 그 결과 공격성은 내재화되고 수퍼에고 내에 편입되어 '죄의식'으로 변모한다고 주장한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죄의식의 부정적인 측면을 그는 지적하고 있는데, '죄의식이 인간의 공격성을 제어하는데 필요하지만, 개인의 욕구에는 심한 손해를 입힌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죄의식은 피할 수 없는 문화 발전의 부산물로서 문명의 진보를 위해서 우리가 치뤄야 하는 대가(행복의 손실)라고 까지 주장하였다. 또, 죄의식의 속성은 무의식적인 것이며, 불안을 야기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다른 동기를 추구하게 된다고 정리하였다.
프로이트에 대한 비판
지급까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그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의 이론적 특색을 몇 마디로 요약하자면, '인간의 행동을 해석함에 있어서 생물학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가 될 것이다. 그는 '본능'---리비도, 에로스/타나토스---이 생물학적 결정인자와 사회적 경험사이의 다리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또, 그는 부분적으로 사회는 이러한 충동들의 표현에 제약요건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본능의 연원은 생물학적 욕구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프로이트의 주장에 대해 후대 학자들은 반론을 제기한다. 프로이트의 본능이론은 행위의 사회적 다양성을 다루는데 부적합하다는 의견도 있고, 이론이 개인적 차원에서 협소하게 공식화되어 있다고 지적하기도 하고, 그의 이론에서는 개인이 충동의 지배에 지나치게 종속적으로 그려져있다는 의견도 있다. 아마도 그의 관찰의 대부분이 후기 빅토리아 시대라는 역사적 특수성에 의해 왜곡되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즉, 공간과 시간적 특수성 때문에 그가 관찰한 인간과 문명은 보편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결국, 비판가들은 '인간은 고착된 욕구를 가지고 태어난다기 보다는 사회에 의해 형성된다' 라고 주장하면서, 더욱 더 철저하게 사회적이고 문화적일 수 있는 이론을 찾았는데, 그 대안을 G. H. 미드에게서 찾은 것으로 보인다.
예로, 그가 문명과는 대치된다고 생각했던 '사랑'에 대한 그의 의견을 들어보자. 그는 사랑을 육감적·생식을 위한 사랑과 맹목적인 애정으로 나누어 보고 있다. 그러면서 그는 '문명은 이러한 사랑에 대해 반대할 수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문명은 광범한 공공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한다. 또, 죽음의 충동을 대변하는 공격의 본능에 대해서도 반사회적 행동을 통제할 필요성과 공격적인 충동의 내적인 억압도 요구된다고 보았다. 그 결과 공격성은 내재화되고 수퍼에고 내에 편입되어 '죄의식'으로 변모한다고 주장한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죄의식의 부정적인 측면을 그는 지적하고 있는데, '죄의식이 인간의 공격성을 제어하는데 필요하지만, 개인의 욕구에는 심한 손해를 입힌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죄의식은 피할 수 없는 문화 발전의 부산물로서 문명의 진보를 위해서 우리가 치뤄야 하는 대가(행복의 손실)라고 까지 주장하였다. 또, 죄의식의 속성은 무의식적인 것이며, 불안을 야기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다른 동기를 추구하게 된다고 정리하였다.
프로이트에 대한 비판
지급까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그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의 이론적 특색을 몇 마디로 요약하자면, '인간의 행동을 해석함에 있어서 생물학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가 될 것이다. 그는 '본능'---리비도, 에로스/타나토스---이 생물학적 결정인자와 사회적 경험사이의 다리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또, 그는 부분적으로 사회는 이러한 충동들의 표현에 제약요건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본능의 연원은 생물학적 욕구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프로이트의 주장에 대해 후대 학자들은 반론을 제기한다. 프로이트의 본능이론은 행위의 사회적 다양성을 다루는데 부적합하다는 의견도 있고, 이론이 개인적 차원에서 협소하게 공식화되어 있다고 지적하기도 하고, 그의 이론에서는 개인이 충동의 지배에 지나치게 종속적으로 그려져있다는 의견도 있다. 아마도 그의 관찰의 대부분이 후기 빅토리아 시대라는 역사적 특수성에 의해 왜곡되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즉, 공간과 시간적 특수성 때문에 그가 관찰한 인간과 문명은 보편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결국, 비판가들은 '인간은 고착된 욕구를 가지고 태어난다기 보다는 사회에 의해 형성된다' 라고 주장하면서, 더욱 더 철저하게 사회적이고 문화적일 수 있는 이론을 찾았는데, 그 대안을 G. H. 미드에게서 찾은 것으로 보인다.
추천자료
정신분석학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의 근원
정신분석학적 심리상담 치료방법과 방어기제
예술가 전혜린=-정신분석학적
정신분석학에 접목시킨 ‘나의 발견과 발전 그리고 미래’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정신분석학]프로이드와 코핫의 핵심개념 흐름에 관한 비교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학적 성격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A+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A+
정신분석학 창시자 “Freud”
7.정신분석학적광고비평!
정신분석학적 동화분석 - 잭과 콩나무를 중심으로
[정신역동이론]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학, 융(Jung)의 분석심리학, 아들러(Adler)의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