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강 국민소득과 물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9강 국민소득과 물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플레이터의 산정에 이용되는 재화묶음은 매년 자동적으로 바뀐다. 모든 물건의 가격이 비례적으로 변동할 때는 이러한 차이가 문제 되지 않는다. 그러나 여러 재화의 가격의 변동 폭이 서로 다를 경우에는
가중치를 어떻게 부여하는가가 인플레이션율을 측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림은 GDP 디플레이터와 소비자물가지수로 측정한 1965년 이래 연간 인플레이션율을 표시한 것이다. 두 인플레이션율 지표가 가끔씩 차이가 나는 것이 눈에 띄는데, 이러한 차이는 위에서 설명한 두 가지 요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두 지표는 대부분 같이 움직이고 있으며 차이가 나는 것은 예외적이다. 1970년에는 GDP디플레이터와 소비자물가지수 어느 쪽을 기준으로 하든 인플레이션율이 높았고,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두 지표에 의한 인플레이션율이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4 인플레이션 효과의 조정
경제 전체의 전반적인 물가수준을 측정하는 목적은 서로 다른 시점의 화폐가치를 비교할 수 있게 하려는 데 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어떻게 산정되는지 살펴보았으니 이 지표를 사용하여 이제 과거의 금액과 현재의 금액을 비교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931년 8만 달러의 연봉으로 당시 미국대통령인 후보보다도 높은 연봉을 받은 베이브 루스의 연봉 $80,000는 높을까? 낮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오늘날의 물가수준과 1931년의 물가수준을 알아보고 루스의 연봉을 요즘 연봉과 비교하기 위해서 루스의 1931년 연봉을 현재달러 금액으로 환산해 보아야 한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에 대한 조정규모는 물가지수에 의해 결정된다. 정부통계에 따르면 1931년의 물가지수는 15.2이었고 2001년에는 177이었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에 물가수준은 11.6배증가한 것이다. 이 수치들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루스의 1931년 연봉을 2001년 금액으로 환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브 루스의 1931년 연봉은 오늘날 금액으로 따져보면 100만 달러가 조금 안 된다. 이 정도면 작은 연봉이 아니지만 오늘날 현역 선수들의 평균연봉보다 낮은 편이고 스타플레이어들에 비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예를 들어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홈런 타자인 배리 본즈의 2001년 연봉은 약 1,800만 달러였다. 다음으로 후버 대통령이 1931년에 받은 월급$75,000에 대해 살펴보자. 앞에서와 같이 1931년 금액을 2001년 금액으로 환산하려면 1931년 연봉은 2001년 금액으로는 $75,000×(177/15.2)=$873,355에 해당한다. 이 금액은 부시 대통령의 연봉 $400,000보다 훨씬 높다. 후버 대통령의 벌이가 좋았던 셈이다.
2.5 물가연동제
서로 다른 시점의 금액을 비교하려면 물가지수를 사용하여 인플레이션 효과를 조정해야 한다. 이런 조정은 경제의 여러 분야에서 볼 수 있는데 어떤 금액에 대해 법이나 계약에 의해 자동적으로 인플레이션 효과를 조정하는 경우 이 금액은 인플레이션에 대해 연동되어 있다고 한다. 예컨대 기업과 노동조합의 장기 고용계약에서는 임금을 소비자물가에 100%혹은 부분적으로 연동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조항을 생계비 조정, 혹은 COLA라고 한다. COLA 조항이 있으면 소비자물가가 상승할 때 임금이 자동적으로 인상된다. 또한, 물가연동제는 여러 법률에도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노인들에게 지급되는 사회보장급여는 매년 물가상승을 감안하여 조정된다. 연방소득세의 소득구간도 인플레이션에 연동되어 있다. 그러나 조세제도가 완벽하게 물가에 연동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나중에 인플레이션 비용을 설명할 때 자세히 다룰 것이다.
2.6 명목 이자율과 실질 이자율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경제변수의 조정문제는 이자율의 경우 특히 중요하고 미묘하다. 여러분이 은행에 예금을 하면 이자를 받고 은행에서 학자금 대출을 받으면 대출이자를 지불한다. 이자는 금전거래에 대한 미래의 보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자율은 항상 서로 다른 시점의 금액을 비교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이자율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의 효과를 조정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샐리 세이버가 연금 10%를 지급하는 은행에 $1,000를 예금한다면 1년 후에 이자 $100가 붙어 원리금으로 $1,100를 찾을 것이다. 이 경우 샐리는 1년전에 비해 $100더 부유하다고 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부유하다’의 의미에 달려있다. 물론 샐리는 1년 전에 비해 $100를 더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동안 물가가 올라서 1달러짜리 지폐로 구입할 수 있는 물건의 양이 줄었으므로 구매력은 10%상승하지 않았다. 만일 인플레이션율이 4%라면 샐리가 구입할 수 있는 물건의 양은 6%증가한 셈이지만, 인플레이션율이 15%라면 이자율보다 물가상승률이 높기 때문에 구매력이 5%하락한 셈이다.
은행이 지급하는 이자율은 명목이자율이고 인플레이션을 감안하여 조정한 이자율은 실질이자율이다.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인플레이션율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실질이자율은 명목이자율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것이다. 명목이자율은 여러분의 예금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얼마나 빠른 속도로 불어나는지를 말해주는 반면, 실질이자율은 예금의 구매력이 얼마나 빨리 상승하는지를 나타낸다. 그래프는 1965년 이래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을 나타낸 것이다. 명목이자율은 3개월 만기 국채 이자율이고, 실질이자율은 명목이자율에서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로 계산한 인플레이션을 뺀 수치이다. 그림을 보면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이 늘 같이 움직이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예컨대 1970년대에는 명목이자율은 높았지만 인플레이션율이 매우 높아서 실질이자율은 매우 낮았다. 어떤 해에는 명목이자율로 인한 예금액의 증가보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가치하락이 더 빨라서 실질이자율이 마이너스인 적도 있었다. 반면에 1980년대에는 명목이자율이 낮았으나 인플레이션도 낮아서 실질이자율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앞으로 이자율 변동의 원인과 효과를 공부할 때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의 차이를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IV. 학습정리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3.06.12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22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