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경영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LG전자 경영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회사개요

2. 주요 재무 자료

3. 비율분석

4. 종합적 비율분석

5. LEVERAGE분석, BEP분석

6. Cash Flow 분석

7. 부실예측 분석

8. 기업가치 평가분석

9. SWOT 분석

10. Five Forces 분석

11. 분석결과 요약

본문내용

술관(MoMA)와 중국 상하이현대미술관(MOCA)에 상설 전시되고 있습니다.
이듬해에는 손목시계 형태의의 블루투스 액세서리가 포함된 프라다폰2를 출시, 기술과 패션의 융합을 알렸습니다. 또한 내년에는 프라다폰 3.0을 출시할 계획을 갖고 있어 부진에 빠진 LG전자의 구원투수가 될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2) Weakness
(가) 독보적 제품의 미비
삼성전자의 반도체나 갤럭시 S2로 대표되는 휴대폰처럼 이렇다 할 독보적인 존재, 즉 킬러 제품이 없습니다. 이는 정말 아쉬운점이라 볼 수 있다. 기업을 생각할 때 딱 떠오르는 제품이 없다는 것은 선두기업이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삼성과 LG의 가장 큰 차이가 이것입니다.
(나) 기술력에 비해 저평가됨
LG전자의 기술력은 삼성전자와 더불어 세계최고수준입니다. 오히려 디스플레이기술의 경우는 삼성전자보다 더 뛰어나다고 합니다. 그런데 TV시장에서조차 삼성에 밀려 2위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는 LG전자의 기업이미지가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밖에 없습니다. LG전자가 삼성전자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기업이미지를 상승시켜야 합니다. 이것을 잡지 못하면 LG전자는 지금처럼 만년 2위일 수 밖에 없습니다.
(3) Opportunity
(가) 스티브잡스의 사망
얼마전 애플의 전 CEO였던 스티브 잡스가 사망하였습니다. 애플=스티브 잡스라는 인식이 대부분이 었기 때문에 발표되자 마자 애플의 주가는 급격히 떨어졌으며 업계들도 삼성전자, HTC, LG전자 등 경쟁기업들이 치고나올 기회라고 하였습니다. 이 기회에서 LG전자 입장에서 이보다 더 좋은 기회는 없을 것입니다.
(나) 4G LTE 시장으로의 진입
현재 3G통신에서 4G로 넘어가려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에서는 갤럭시S2 LTE를 선보였고 HTC에서도 LTE폰을 내놓는 등 경쟁기업들이 적극적인 대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LG전자의 경우 계열사인 LGU+가 적극적인 준비를 바탕으로 4G시장을 선도하면서 LG휴대폰의 공급량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이 기회를 맞아 LG전자가 매출액증가와 더불어 기업이미지도 끌어올릴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4) Threat
(가) 계속되는 적자로 신용등급하락
최근에 LG전자는 1조원 상당의 유상증자를 결정하였습니다. 채권을 발행하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현재 5분기 연속적자로 인해 지난달에 S&P에서 신용등급을 ‘BBB’에서 ‘BBB-‘로 1단계 하향조정했을 정도로 경영상황이 많이 악화되어 채권을 발행할 수 조차 없었습니다. 유상증자를 발행하면서 주가도 급락하는 등 계속해서 안좋은 상황만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유상증자와 구조조정을 경영상황을 타개하려고 하고 있지만, 이미 신용등급조차 하락하면서 주가도 하락하는 등 쉽지 않아서 이 위기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나) 스마트폰시장에서의 참패로 소비자들의 신뢰도 하락
LG휴대폰은 소비자들의 입장에서 상당히 좋지 않은 상태이다. ‘LG’를 ‘헬지’라 부를 정도로 기업이미지는 최악입니다. 게다가 얼마 전 LG휴대폰 폭발 사건으로 인해 더욱 더 신뢰도가 하락하였습니다. 2009년 국내 휴대폰시장에서 30%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던 LG전자는 현재는 10%대로 떨어진 상태입니다. 물론 아이폰의 국내진출영향이 컸겠지만 그보다 스마트폰시장에서의 뒤늦은 대응으로 소비자들이 등을 돌렸기 때문입니다.
10. FORCES 분석
LG전자는 세계적 가전업체로서 디지털 컨버젼스 시대에 적극 대응을 할 수 있는 기술 및 연구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중국, 대만 업체들이 시장진입을 시도하고 있으나, 이미 차별화된 브랜드 가치로 우월한 포지션을 확보한 상태입니다.
11. 분석결과 요약
최근이슈
최근에 결국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한미 FTA가 체결되었습니다. 한미 FTA가 체결되므로 인해 자동차, 전자, 서비스업, 농업 등 우리나라 경제 전반에 많은 영향이 미치게 됩니다. LG전자가 속한 전기전자산업에서는 직접적인 효과는 크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효과가 예상됩니다.
주력 제품인 휴대폰의 경우는 세계협력기구(WTO) 정보기술협정(ITA)으로 인해 이미 무관세로 수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LG전자는 미국수출품의 대부분은 멕시코공장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멕시코에서 생산한 제품의 경우 NAFTA의 적용으로 이미 무관세로 미국으로 들어가고 있습니다. 긍정적인 점은 만약 수요가 급증하여 공급이 부족할 경우, 국내에서 생산된 제품을 수출할 때도 멕시코에서 생산한 제품과 동일한 관세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점 입니다. 또한 교역량이 늘어나면서 물류인프라가 좋아질 수 있는 점, LG전자의 제품인지도 상승 등이 있습니다.
국내시장에서도 미국산 가전의 수입관세 8%가 사라지더라도 LG전자의 매출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더불어 LG전자의 제품 경쟁력이 워낙 뛰어난데다 가격 경쟁력도 우수해, 관세 혜택만으로 국내시장을 공략하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또한 외국산 제품의 경우 유통망이 없기 때문에 양판점, 할인점 등에 입점하지 못할 경우 큰 어려움을 겪을 수가 있습니다.
< 대미 수출입 확대 예상 품목 >
(단위 : %, 백만불)
구분
품목
관세
수출/수입액
선정사유
'09년
'10년
수출
LCD TV
5
35
22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미국시장에서 가격경쟁력 확보에 유리
PDP TV
5
2
2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미국시장에서 가격경쟁력 확보에 유리
TV 부품
0∼5
74
162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미국시장에서 가격경쟁력 확보에 유리
냉장고
0∼1.9
618
853
국내 전체 냉장고 수출의 1위 시장인 미국에서의 관세 즉시 철폐로 수출증가 예상
대형세탁기
2.6
443
611
장기유예 품목이나 관세 철폐 후 국내업체 수출증가 예상
수입
계측제어
분석기
8
113
115
미국에 의해 잠식된 상황으로 수입증가 예상
초음파
영상진단기
8
21
27
전자의료기기는 경쟁력 열위인 품목으로 미국으로부터 수입증가 예상
복합형 확성기
8
4
6
음향기기는 경쟁력 열위인 품목으로 미국으로부터 수입증가 예상
관세: 수출(미국 관세), 수입(한국 관세)
출처 : 한국무역협회
  • 가격3,5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3.06.18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26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