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요즈음 ‘나는 꼼수다’의 영향으로 진보에 대한 열망은 다시금 뜨겁다.(물론 ‘나는 꼼수다’ 이전에 현정부에 대한 반감이 원인일 것이다.)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진보가 한국의 문제를 해결할 키처럼 생각 되어지고 있다. 물론 이는 정치적 진보이다. 하지만 전체적인 개념으로 진보를 바라보면 지금이 다시 한번 ‘진보란 무엇인가’를 생각할 때이다. 진보란 말 그대로 ‘나아감’을 나타낸다. 특히 지금 우리가 이 정치적 진보를 원하는 이유는 보수에 의한 불평등을 타파하고 빈부격차를 줄임에 있다. 하지만 이 빈부격차가 ‘보수에 의해 일어나고 진보 그 자체로 해결될까’라는 의문을 가져야 한다. 이 보수와 진보는 문제적인 시스템 위에 나타나는 현상에 불과하다. 이 문제적인 시스템을 해체하지 않고 그 위에서 분배를 주장해도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보수보다는 진보가 적합하다는 의견에는 동의한다. 즉, 진보는 그 문제적인 시스템을 해체해야 하는 것이다. 많은 문제적인 시스템이 존재한다. 여기서 헨리조지는 그 중에서도 토지사유제를 강조한다. 130년 전에 쓰인 책이 아직도 혹은 이제 와서 현재 사회에 통용된다는 것은 우리가 경제적으로만 진보했을 뿐 사회적으로는 진보하지 못했다는 것을 말한다. 그는 빈곤이 진보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이는 정치적 진보가 아닌 경제적 진보다. 그렇다면 진보를 멈추고 퇴보하면 문제가 해결되는 것인가. 그것은 아니다. 그의 말처럼 모든 결과에는 원인이 있고 모든 단계에는 그 앞의 단계가 있었다는 점을 기억하자. 한때는 진보였던 현재의 보수를 부정하고 퇴보하여도 당시의 보수가 있을 뿐이다. 이때 필요한 것은 퇴보가 아닌 새로운 진보다. 헨리조지의 책은 새로운 진보에게 어떤 지름길이 될 것이다. 그것을 살피자.
추천자료
지대의 재이론
공동체 운동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WTO
부동산정책 : 토지공개념에 대한 고찰
세계화, 그 흐름 속으로 - '불타는 세계'를 읽고
[경기전망][BSI][기업경기실사지수][중소기업][정보통신기기산업][전자산업][건설산업]BSI(기...
[성경적 토지정의][성경 토지법][사회경제적 샬롬 회복 원리][성경토지법의 현대적 적용]성경...
[지대조세제][헨리조지][지대조세제(헨리조지) 효과][지대조세제(헨리조지) 도입 방안]지대조...
[국제관계-국제이슈 글쓰기] 도와주세요! 아프리카 비극 속 희망을 찾다.
[지대추구][경제적 지대][정부 행동][의회 로그롤링][지대추구 평가]경제적 지대의 정의, 지...
[양극화 문제 해결방안] 양극화 문제의 심각성과 원인 및 양극화 문제 해결방안
[환경과 공해] KBS 글로벌 진단 - 굶주리는 10억 ; 지금, 세계의 10억이 굶주리고 있다
[불안정노동, 불안정노동 유형, 철폐운동, 노동자건강, 사회보험]불안정노동의 개념, 불안정...
유럽바로알기4공통)2015년 1월에 일어난 <샤를리 에브도> 사건에 대한 보도 자료를 7건 이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