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들어가는 말
* 본론
Ⅰ. 다문화사회와 한국 이슬람ː심각성
ⅰ. 한국 이슬람의 역사
ⅱ. 한국 이슬람의 성장 요소
ⅲ. 이슬람화 되어가는 한국
Ⅱ. 한국의 이슬람화 요인ː 요인분석
ⅰ. 이슬람에서 바라본 한국
ⅱ. 한국에 대한 이슬람의 선교 전략
Ⅲ. 한국의 이슬람화에 대한 한국교회 대응ː대응방법
ⅰ. 한국 내의 이슬람 확장에 대한 교회의 관점
ⅱ. 한국의 이슬람화에 교회 대처방안
* 나가는 말
* 참고 문헌
* 본론
Ⅰ. 다문화사회와 한국 이슬람ː심각성
ⅰ. 한국 이슬람의 역사
ⅱ. 한국 이슬람의 성장 요소
ⅲ. 이슬람화 되어가는 한국
Ⅱ. 한국의 이슬람화 요인ː 요인분석
ⅰ. 이슬람에서 바라본 한국
ⅱ. 한국에 대한 이슬람의 선교 전략
Ⅲ. 한국의 이슬람화에 대한 한국교회 대응ː대응방법
ⅰ. 한국 내의 이슬람 확장에 대한 교회의 관점
ⅱ. 한국의 이슬람화에 교회 대처방안
* 나가는 말
* 참고 문헌
본문내용
마련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 근본적으로 복음까지 접근하지 못하는 선에서 끝나는 게 아닌지 우려스럽다. 근로자들은 복음적 인식이 없기 때문이다. 그들이 본국으로 돌아가면 다시 무슬림이 된다. 열심히 하는 건 좋은데 한 교회에서 열 개 언어권을 다 모아놓고 설교하는 건 옳지 않다. 문화와 언어가 가진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는 사람이 근로자들에게 복음을 제대로 설명해야 한다.
* 나가는 말
한국에 이슬람 인구가 15만 명으로 추산되고 이슬교도와 한국인의 결혼 사례가 크게 늘어나고 있지만 국민 대다수는 이슬람교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일보가 최근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하여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87.2%가 이슬람교에 대하여 ‘모른다’고 답했다. 이중 ‘들어는 봤지만 잘 모른다.’는 응답이 46.4%였으며 ‘전혀 모른다.’는 응답이 40.8%였다. 반면 ‘매우 잘 알고 있다.’는 0.9%, ‘대체로 알고 있다.’12% 소수에 그쳤다.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관계를 묻는 질문에 두 종교가 이름만 다를 뿐 같은 신을 섬긴다는 응답이 24.3%나 나왔다. 종교인 중에는 기독교인의 22.4%가, 천주교인의 33.3%가 이 같은 답을 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슬람의 사회의 남녀평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지만 이슬람교도와 한국인의 결혼에 대해서는 ‘결혼해도 된다’(58.3%), ‘하면 안 된다’(23.3%)였다.
이슬람을 보는 시각에 있어서 기독교인들의 의식 수준도 일반인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한국은 이슬람화 라는 심각한 문제를 직면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당면해야 하는 한국 교회와 사회는 잘 모르고 있다.
이슬람화 되어 가는 것이 기회가 될 수도 있고 위기가 될 수도 있다. 이것을 결정하는 것은 우리의 ‘앎’과 받아드리는 자세에 달려 있다. 한국 교회는 이슬람화 위기가 되는 것이 아니라 기회가 될 수 있게 이슬람을 바로 알아야 하며, 참회적인 자세를 취해야 하고, 자유주의 신학을 배격하고, 평신도 훈련을 강화하고, 목회자가 전문화 되어야 한다.
네덜란드와,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종교개혁이 일어난 나라들이 지금 이슬람화 되어 가고 있으며 교회들이 문을 닫고 있다. 이러한 일들은 남의 일이 아니라는 것을 한국교회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이슬람화를 위기가 아닌 기회가 될 수 있는 한국 교회와, 한국사회를 소망한다.
* 참고 문헌
안희열. 『한국 다문화사회로서의 변화와 선교.』
황인혜. 『이슬람 다와와 한국이주 무슬림.』
안점식. 『핸드릭 크레머의 선교신학.』Krim, 2005.10.21
이광하. 『국내 이슬람 어떻게 볼 것인가?』
이철수. 『이슬람 이해를 통한 회교권 선교방법 연구.』
정윤진. 『10억의 무슬림 복음화 10억인 방파 선교.』
피터 하몬드. 『노예화, 테러 그리고 이슬람ㆍSlavery, Terrorism & Islam』
네이버 백과사전 『한국의 이슬람교』
위키 백과사전 『샤리아, 서울중앙성원 등.』
장훈태 『이슬람의 세계화 전략』
피터 하몬드『노예, 테러리즘, 그리고 이슬람』
* 나가는 말
한국에 이슬람 인구가 15만 명으로 추산되고 이슬교도와 한국인의 결혼 사례가 크게 늘어나고 있지만 국민 대다수는 이슬람교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일보가 최근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하여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87.2%가 이슬람교에 대하여 ‘모른다’고 답했다. 이중 ‘들어는 봤지만 잘 모른다.’는 응답이 46.4%였으며 ‘전혀 모른다.’는 응답이 40.8%였다. 반면 ‘매우 잘 알고 있다.’는 0.9%, ‘대체로 알고 있다.’12% 소수에 그쳤다.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관계를 묻는 질문에 두 종교가 이름만 다를 뿐 같은 신을 섬긴다는 응답이 24.3%나 나왔다. 종교인 중에는 기독교인의 22.4%가, 천주교인의 33.3%가 이 같은 답을 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슬람의 사회의 남녀평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지만 이슬람교도와 한국인의 결혼에 대해서는 ‘결혼해도 된다’(58.3%), ‘하면 안 된다’(23.3%)였다.
이슬람을 보는 시각에 있어서 기독교인들의 의식 수준도 일반인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한국은 이슬람화 라는 심각한 문제를 직면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당면해야 하는 한국 교회와 사회는 잘 모르고 있다.
이슬람화 되어 가는 것이 기회가 될 수도 있고 위기가 될 수도 있다. 이것을 결정하는 것은 우리의 ‘앎’과 받아드리는 자세에 달려 있다. 한국 교회는 이슬람화 위기가 되는 것이 아니라 기회가 될 수 있게 이슬람을 바로 알아야 하며, 참회적인 자세를 취해야 하고, 자유주의 신학을 배격하고, 평신도 훈련을 강화하고, 목회자가 전문화 되어야 한다.
네덜란드와,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종교개혁이 일어난 나라들이 지금 이슬람화 되어 가고 있으며 교회들이 문을 닫고 있다. 이러한 일들은 남의 일이 아니라는 것을 한국교회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이슬람화를 위기가 아닌 기회가 될 수 있는 한국 교회와, 한국사회를 소망한다.
* 참고 문헌
안희열. 『한국 다문화사회로서의 변화와 선교.』
황인혜. 『이슬람 다와와 한국이주 무슬림.』
안점식. 『핸드릭 크레머의 선교신학.』Krim, 2005.10.21
이광하. 『국내 이슬람 어떻게 볼 것인가?』
이철수. 『이슬람 이해를 통한 회교권 선교방법 연구.』
정윤진. 『10억의 무슬림 복음화 10억인 방파 선교.』
피터 하몬드. 『노예화, 테러 그리고 이슬람ㆍSlavery, Terrorism & Islam』
네이버 백과사전 『한국의 이슬람교』
위키 백과사전 『샤리아, 서울중앙성원 등.』
장훈태 『이슬람의 세계화 전략』
피터 하몬드『노예, 테러리즘, 그리고 이슬람』
키워드
추천자료
[2012-한국사회문제B]건강의 비용의 관점 접근이나 의료를 서비스로 간주하는 관점의 배경, ...
한국사회문제D) 현재 한국사회의 청년실업문제가 단순히 실업율의 문제가 아닌지에 대하여 설...
[한국사회문제A형]한국에서 정부가 보는 빈곤의 원인 조사하고 이를 개인들의 빈곤 경험에 근...
[한국사회문제 E형] 기후변화란 어떤 현상이며 한국사회의 사회문제로 보아야 할 이유는 무엇...
한국사회문제4A) 한국에서 정부가 보는 빈곤의 원인, 개인경험에 근거한 비판, 사회문제로서...
[한국사회문제] 먹거리의 결핍 문제와 과잉 현상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
[한국사회 문제 A형] 한국에서 정부가 보는 빈곤의 원인은 무엇인지 조사하고, 이를 개인들의...
[한국사회문제 A형] 한국 사회에서 청년문제의 핵심은 무엇이고, 왜 개개인의 노력만으로 해...
[한국사회문제 B형] 현재 한국사회의 에너지 문제는 어떤 상태인지 서술한 후, 문제의 원인을...
한국사회문제 A형) 한국 사회에서 청년문제의 핵심은 무엇이고, 왜 개개인의 노력만으로 해결...
[한국사회문제 E형] 한국사회 노동현실의 문제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를 골라서 이 문제가 왜 ...
[한국사회문제 C형] 한국 도시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일어났던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서 구...
[한국사회문제 A형] 한국 사회에서 청년문제의 핵심은 무엇이고, 왜 개개인의 노력만으로 해...
[성사랑사회E형] 한국 사회에서 엄마 역할을 하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한국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