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e-Marketplace
e-Marketplace의 분류
1. Public vs, Private
eNtoB
POSCO의 전자조달
2.Vertical vs Horizontal
SCM과의 연결
1.B2B를 통한 가치창출
2.SCM 모형의 활용
2)VMI(vendor-Managed Inventory)
3. 온라인 경매의 유의점
e-Marketplace의 분류
1. Public vs, Private
eNtoB
POSCO의 전자조달
2.Vertical vs Horizontal
SCM과의 연결
1.B2B를 통한 가치창출
2.SCM 모형의 활용
2)VMI(vendor-Managed Inventory)
3. 온라인 경매의 유의점
본문내용
최적화 수준을 벗어나기 어려웠으나 B2B 전자시장이 구축됨에 따라 다수기업활동의 최적화를 추구함이 수월하게 되었다. 다수기업을 포괄하는 SCM모형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1)CFP(Collaborative Forecasting and Planning)
공급자와 구매자가 수요 및 재고와 관련한 정보를 공유하고 예측을 함께 행함으로써 생산. 물류계획수립의 효율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Wal-Mart가 구축한 RetailLink는 이의 좋은 예이다. Wal-Mart는 공급자에 대해 공동예측 및 계획수립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의 대가로 공급가격인하를 요구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Commerce One과 SAP가 공동으로 개발한 MarketSet과 EnterpriseBuyer는 제품의 교환, 전자구매의 효율화, 전자구매와 ERP연결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2)VMI(vendor-Managed Inventory)
구매자가 공급자로 하여금 구매자의 재고수준을 관찰하여 적시에 자발적으로 재고보충을 하게 하는 체제를 일컫는다. VMI는 CFP와 결합되기도 하는데, 이것을 CPFR(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라고 부른다.
3. 온라인 경매의 유의점
온라인 경매 등 구매자와 판매자간 단기적 관계에 입각한 spot 거래는 대규모 상품, 일반용품, 기타 저가생산품 거래에 적합하다. 이러한 거래프로세스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한다는 분명하지만, 매일의 입찰결과가 상황과 시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을 예측하기기가 힘든 점이 있다.
더구나 우리가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구매자가 역경매를 통하여 구매행위를 할 경우 공급자를 차별화하는 부가가치의 본질을 약화시킨다는 점이다. 경매의 초점은 가격에 맞추어지기 때문에 공급자와 구매자의 긴밀한 관계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사실 협업적 부품설계, 품질향상 노력, 자재의 적시배송 등은 일반적으로 가격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이와 같이 온라인 역경매에 의한 구매행위가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는 과거 수십 년간 중요하게 여겨졌던 전략적 구매의 가치에 혼란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저가 대량으로 거래되는 간접자재 등에 대해서는 역경매를 통한 구매방식을 기업의 생산활동에 핵심이 되는 중요 부품에 대하여는 장기적 신뢰관계에 입각한 전략적 구매를 전자구매와 결함시킨 방식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1)CFP(Collaborative Forecasting and Planning)
공급자와 구매자가 수요 및 재고와 관련한 정보를 공유하고 예측을 함께 행함으로써 생산. 물류계획수립의 효율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Wal-Mart가 구축한 RetailLink는 이의 좋은 예이다. Wal-Mart는 공급자에 대해 공동예측 및 계획수립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의 대가로 공급가격인하를 요구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Commerce One과 SAP가 공동으로 개발한 MarketSet과 EnterpriseBuyer는 제품의 교환, 전자구매의 효율화, 전자구매와 ERP연결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2)VMI(vendor-Managed Inventory)
구매자가 공급자로 하여금 구매자의 재고수준을 관찰하여 적시에 자발적으로 재고보충을 하게 하는 체제를 일컫는다. VMI는 CFP와 결합되기도 하는데, 이것을 CPFR(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라고 부른다.
3. 온라인 경매의 유의점
온라인 경매 등 구매자와 판매자간 단기적 관계에 입각한 spot 거래는 대규모 상품, 일반용품, 기타 저가생산품 거래에 적합하다. 이러한 거래프로세스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한다는 분명하지만, 매일의 입찰결과가 상황과 시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을 예측하기기가 힘든 점이 있다.
더구나 우리가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구매자가 역경매를 통하여 구매행위를 할 경우 공급자를 차별화하는 부가가치의 본질을 약화시킨다는 점이다. 경매의 초점은 가격에 맞추어지기 때문에 공급자와 구매자의 긴밀한 관계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사실 협업적 부품설계, 품질향상 노력, 자재의 적시배송 등은 일반적으로 가격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이와 같이 온라인 역경매에 의한 구매행위가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는 과거 수십 년간 중요하게 여겨졌던 전략적 구매의 가치에 혼란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저가 대량으로 거래되는 간접자재 등에 대해서는 역경매를 통한 구매방식을 기업의 생산활동에 핵심이 되는 중요 부품에 대하여는 장기적 신뢰관계에 입각한 전략적 구매를 전자구매와 결함시킨 방식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인터넷 활용 교육][인터넷 활용 수업]인터넷 활용 교육 및 인터넷 활용 수업의 현황과 기술...
8개 브랜드별 EPOP 모형 분석
[통일교육]통일교육의 목표, 통일교육의 방법, 학교통일교육의 실제, 통일교육의 문제점, 통...
미국 디지털경제(인터넷경제)의 이론, 미국 디지털경제(인터넷경제)의 성장모형, 미국 디지털...
토의학습(토의수업, 토론식학습)의 의미와 중요성, 토의학습(토의수업, 토론식학습)시 유의점...
[문제해결학습][문제해결력][문제해결]문제해결학습의 개념, 문제해결학습의 성격, 문제해결...
[미술교육][표현학습]미술과 ICT활용교육 표현활동학습(표현활동수업)의 기대효과, 미술과 IC...
[협동학습][협동학습모형][협동학습적용][ICT][정보통신기술]협동학습의 필요성, 협동학습의 ...
WBI(웹기반교육, 웹기반학습,수업)의 정의와 특징, WBI(웹기반교육, 웹기반학습,수업)의 교육...
인터넷활용학습(인터넷활용교육, 인터넷활용수업)의 정의와 특징, 인터넷활용학습(인터넷활용...
조직행위론,집단사고와 정치성,집단사고 모형이론,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
장기흡연중년남성의 금연교육-보건교육C형개별적으로 개인이나 집단을 정하고,선택대상에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