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식장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섭식장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988 Israel et al., 1994)를 통해 일반적인 접근 방법을 살펴볼 수 있다. 부모와 자녀가 정기적인 모임에 함께 참여하는데, 그 모임에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문제가 다루어진다. 즉 ① 섭식-영양에 대한 정보, 칼로리 제한, 그리고 실제로 식사할 때나 음식을 준비할 때의 변화, ② 활동성-구체적인 운동 프로그램과 일상적인 활동(예컨대 친구 집을 방문할 때 차를 타지 않고 걸어가는 것)을 통한 에너지 소모증가, ③ 과도하게 음식을 먹는 것 혹은 비활동성과 연결되어 있는 내적, 외적 자극을 알려주는 단서, 그리고 ④ 아동과 부모에게서 어떤 진전이 이루어질 때 이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를 제공해주는 보상이다. 가정의 환경을 변화시키고 보다 적절한 행동을 연습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숙제를 내주기도 한다.
연구 결과를 보면 아동의 체중 감소에 행동적 접근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Epstein et al., 1995; Israel, 1990 Israel & Zimand, 1989). 그러나 체중감소의 효과를 좀더 극대화하고 일관성과 지속성을 높일 수 있는 더 나은 치료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부모의 참여와 같은 일부 치료 요소의 중요성은 계속 강조되어 왔다. Israel, Stolmaker와 Andrian(1985)은 부모들에게 아동을 다루는 일반적인 원리들을 가르쳐주는 단기 과정을 실시하였다. 그런 다음 부모들은 아동과 함께 체중 감소를 위한 행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는데, 이 프로그램에서 체중 감소를 위한 일반적인 양육 기술의 적용을 강조하였다. 다른 집단의 부모와 아동은 행동치료 프로그램만 받았다. 치료 기간이 끝났을 때, 두 집단 모두 치료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체중감소를 나타냈다. 치료가 끝나고 1년 뒤에는 아동을 다루는 기술을 별도로 훈련을 받지 않은 부모에 비해 아동의 체중 감소 상태를 더 잘 유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가족의 생활양식을 변화시키고, 치료 프로그램이 종료도니 이후에도 적절한 행동을 유지시키기 위한 기술을 부모에게 가르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잘 말해준다(Israel, 1988). 감소되었던 체중이 다시 늘어나는 예가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특히 중요한 문제이다. 부모의 개입 이외에도 활동성 증가(특히 활동성이 가족 생활 양식의 일부가 되었을 경우)와 기타 가족 요인이 치료효과와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Foreyt & Goodrick, 1993; Israel, Silverman, & Solotar, 1986).
부모 참여를 증진시킬 필요성과 더불어 아동의 자기조절 기술 향상의 중요성도 제안되었다(Israel et al., 1994). 앞서 기술한 네 영역 프로그램에 비견되는 다면적 치료 프로그램을 받고 있는 표준치료 집단의 아동을 그와 유사한 프로그램에 더하여 광범위한 자기관리 기술 훈련까지 받는 고강도 치료집단의 아동과 비교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가 그림 1-1에 제시되어 있다. 치료 받기 3년 전에 이 두 조건의 아동들은 체중 증가율이 서로 비슷하였다. 치료기간 동안, 두 집단의 아동들이 나타낸 체중 감소 정도 역시 비슷하였다. 그러나 표준 집단의 아동들은 치료 후 3년이 지나자 치료 이전 수준으로 체중이 다시 늘어난 반면 자기조절 훈련까지 받은 집단의 아동들은 그러한 체중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Ⅲ. 결론
우리는 생활에서 배고픔과 먹는 것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우리 인간의 발달적 기초가 되는 영 유아기의 섭식은 신체발달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며 아동들의 욕구를 만족시키며 에너지원이 된다. 먹는 것은 이것이 유발하는 신체와 정신, 그리고 친밀한 인간관계들 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그러므로 유아기의 섭식장애를 미리 예방하며 혹 생겨난 장애에 대하여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또한 일반아동들과 더불어 장애아동들의 섭식장애를 치료해줄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거식증/폭식증] 체크 리스트
거식증과 폭식증은 환자 본인이 발병을 부인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가족이나 주위사람이 발견해 전문의사에게 연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 각 체크 리스트의 9개 항목 중 5개 이상이 해당된다고 생각되면 전문의의 진단을 권유할 필요가 있다.
여러분도 한번 체크 해보세요..^^
◆ 거식증 체크 리스트
1.짧은 기간 많은 체중감소가 이루어졌다.
2.체중감량 목표를 달성한 뒤 또 새 감량 목표를 설정한다.
3.마른 체격인데도 살이 찐 것 같다고 불평한다.
4.음식을 매우 적게 먹으면서 배고프지 않다고 한다.
5.혼자 있는 시간이 많고 식사도 혼자 하는 것을 좋아한다.
6.식사에 강박감을 갖고 있다.
7.월경이 중단되어 있다.
8.불행하다고 생각하거나, 거의 우울증을 보이고 있다.
9.학업성적을 올리려고 지나치게 노력한다.
◆ 폭식증 체크 리스트
1.최근 폭식으로 인해 체중이 늘었다.
2.다른 사람들에게는 다이어트 중이라고 말하면서 여전히 체중이 많이 나간다.
3.남 몰래 음식을 먹는다.
4.과 체중 또는 비만으로 인해 사회-육체적 활동이 위축되어 있다.
5.피로한 증상을 보인다.
6.체중 문제가 생활의 중심이 되고 있다.
7.우울하거나 비관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
8.폭식 습관이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것을 조절하지 못해 괴로워한다.
9.체중과 체형이 자신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제1요소라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발달정신병리학, 찰스 웨너 著; 이춘재 等譯, 중앙적성 출판사, 1998
·섭식특성과 기질, 알베르트 메라비안 著; 조옥귀 共譯, 경남대학교 출판사, 1998
·섭식절제, 부정적 정서 및 충동성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가톨릭대학교 심리대학원 학위논문, 이현정 著, 가톨릭대학교, 2001
·아동이상심리학, Eric J. Mash; David A. Wolfe 共著, 시그마 프레스, 2001
·아동정신병리,이현진 외 역, Eric J. Mash; Russell A. Barkley 共著, 시그마프레 스, 2001
정영숙 외 역, <아동기 행동장애>, 시그마프레스(2002)
김태련 외, <발달장애심리학>, 학지사(2003)
  • 가격3,2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3.06.30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44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