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영화기행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영화기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3. 카메라 시선의 한계과 극복, 히치콕의 <사이코>
<학습목표>
1. 영화 <사이코>를 히치콕의 다른 작품들과 관련 지어 학습한다.
2. ‘카메라의 시선’이라는 영화의 미학적 특징을 <사이코>를 통해 감상한다.
01) 영화 <사이코>와 히치콕의 작품들
*<사이코>
-알프레도 히치콕 감독의 대표작
-남녀 관계의 불가능성
-모성에 짓눌린 남성의 자아
-인간의 분열증적인 심리
-돈 문제
(이 작품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사항들)
*영화 <새>
-특히 ‘모성에 짓눌린 남성의 자아’라는 주제는 히치콕의 또 다른 영화 <새>에서도 볼 수 있다.
*영화 <39계단>
-히치콕의 초기 작품에서 부각된 ‘남녀관계의 불가능성’이라는 주제는 영화 <39계단>에서는 남녀 주인공인 해니와 파멜라가 적대적인 관계를 극복하고 결국 연인관계가 되는 것에서 이미 암시되어 있었다. 특히 이 영화에서 이들을 운명적으로 묶어주는 ‘손’을 클로즈업한 것은 이후 많은 드라마와 영화에서 차용되었다. 이후 히치콕의 창작 활동 후반부로 갈수록 남녀 관계는 이루어지기 보다는 불가능한 경향을 나타내게 된다.
*영화 <이창>
-한편 히치콕은 항상 자신의 작품에서 영화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 대표적인 작품이 <이창>인데, <사이코>에서도 히치콕은 카메라 시선의 한계를 보여주지만 동시에 그것을 극복하면서 유희를 한다. 영화 <이창>은 관음증이라는 고유한 인간의 본성을 형상화 한 것으로 이 영화에서 주인공은 건너편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의 일상을 훔쳐본다.
02) 카메라 시선을 중심으로 <사이코> 감상하기
*중요장면
-이 영화에서 남자 주인공인 노먼베이트의 모텔에 있는 박제된 새의 이미지와 여주인공인 마리온 크래인의 샤워 장면은 영화사에서 길이 남는 명장면으로 손꼽힌다. 특히 샤워 중 물이 배수구로 빠져나가는 이미지는 나중에 마리온의 차가 늪에 가라앉는 것으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노먼 베이트는 새 뿐만 아니라 자신의 어머니까지도 박제함
-또한 비교적 초기 작품인 영화 <39계단>에서 남녀 주인공인 해니와 파멜라가 적대적인 관계를 극복하고 결국 연인 관계가 되는 것과는 달리, <사이코>에서 마리온과 샘의 연인 관계는 지속되지 못함
-그런데 히치콕은 항상 자신의 작품에서 영화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 대표적인 작품이 <이창>이며 <사이코>에서도 히치콕은 카메라 시선의 한계를 보여주지만 동시에 그것을 극복하면서 이것을 가지고 유희를 한다.
*주요장면
-우리가 영화를 볼 때 카메라에 의해 스크린에 비친 이미지는 단면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카메라가 비추는 한 측면만을 보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의 시야는 사각의 프레임 밖으로는 미치지 못하게 된다. 이는 노먼 베이츠가 모텔에 투숙한 마리온이 옷을 갈아입는 모습을 벽의 구멍을 통해서 볼 때 여실히 드러난다. 이때 노먼 베이츠는 마리온이 구멍의 범위를 벗어날 때 더 이상 아무것도 볼 수 없게 된다. 물론 이러한 은밀한 훔쳐보기 자체가 영화의 매력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카메라 시야의 한계는 그것이 노먼 베이츠를 바라볼 때에도 드러난다. 노먼 베이츠의 내면에는 어머니의 자아와 자신의 자아가 갈등하고 있지만, 카메라는 그 중 한 면만을 보여줄 뿐이다. 마리온이 모텔에 처음 도착했을 때, 마리온의 연인인 샘과 마리온의 동생이 왔을 때, 사설탐정이 찾아 왔을 때 모두 노먼 베이츠는 한 번도 거울에 반사되지 않는다. 그러나 노먼 베이츠와 함께 대화하는 마리온, 샘, 마리온의 동생, 그리고 사설탐정을 보면 카메라는 이들의 모습을 거울을 통해 양 측면이 모두 보이도록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이 쇼트들에서 카메라는 노먼에 대해서는 자신의 사야를 제한하면서도 다른 인물들에 대해서 만큼은 이를 확산시키고 있다.
*카메라 밖을 봄
-관객은 평상시 카메라가 보여줄 수 없었던 이미지를 보고 있는 것. 사실 이 영화의 서사가 역동적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우리는 노먼 베이츠를 제외한 나머지 인물에 대해서는 모두 알고 있지만, 정작 핵심인물인 노먼에 대해서는 정반대의 측면을 보지 못하고 있다.
*중요장면
-히치콕은 스크린 뒤에 숨어서 카메라의 두 가지 시선을 가지고 장난하면서, 관객과 게임을 하고 있는 것이다. 즉 이 쇼트들의 의미를 알 사람만 알고 모르는 사람은 그냥 지나칠 거라는 것이다. 히치콕 영화의 또 다른 매력은 바로 관객을 이러한 게임으로 끌어들인다는 데 있기도 하다. 그래서 <사이코>에서 중요한 영화의 미학적인 사항은 카메라 시선을 어떻게 확장시키는가라고 할 수 있다.
<생각해보기>
1.영화<사이코>의 중요한 형식상의 특징은? (카메라 시선의 한계 극복)
2.영화<사이코>의 주인공인 노먼 베이츠의 또 다른 자아는 누구? (그의 어머니)
3.<사이코>에서 관음증적인 주제가 가장 부각되는 장면은? (노먼베이츠가 마리온이 샤워하는 것을 훔쳐보는 장면)
<정리하기>
현재 많은 감독들이 영향을 받았다고 고백하는 히치콕의 대표작 <사이코>에서 많이 언급되는 사항은 남녀 관계의 불가능성, 모성에 짓눌린 남성의 자아(이 주제는 히치콕의 또 다른 영화<새>에서 반복된다), 인간의 분열증적인 심리 그리고 미국으로 대표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돈 문제 등이다(이 영화에서 마리온이 죽게 된 직접적인 원인은 그녀가 회사의 공금을 훔쳤기 때문이다).
특히 남자 주인공인 노먼베이츠의 모텔에 있는 박제된 새의 이미지와 여주인공인 마리온 크래인의 샤워 장면은 영화사에서 길이 남는 명장면으로 손꼽힌다. 또한 비교적 초기 작품인 영화 <39계단>에서 남녀 주인공인 해니와 파멜라가 적대적인 관계를 극복하고 결국 연인 관계가 되는 것과는 달리, <사이코>에서 마리온과 샘의 연인 관계는 지속되지 못한다.
히치콕은 항상 자신의 작품에서 영화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 대표적인 작품이 <이창>이다. 이 영화 뿐만 아니라 <사이코>에서도 히치콕은 카메라 시선의 한계를 보여주지만, 동시에 그것을 극복하면서 이것을 가지고 유희를 한다. 이러한 사항을 중심으로 <사이코>를 감상해보도록 하자.
  • 가격13,86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13.07.01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46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