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사의 사탑 보강대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피사의 사탑 보강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층 기둥이 압력을 못이겨 무너질 위기에 있었다. 사실 그것은 하늘을 향해 185피트 높이로 치솟은 속이 빈 원통에 불과하다. 그 속에, 계단이 꼭대기까지 감겨 올라가는 구조이다. 14000톤 무게의 계단은 벽이 지지하고 있고, 벽과 계단은 돌,석회,모르타르로 되어 있고, 얇은 대리석 마감으로 되어있다. 피사의 사탑에 대해 계속 걱정은 하였지만 마땅히 대책 없이 흐르는 가운데 1990년대 사탑의 기울기가 더욱 가속되게 됩니다. 정말로 놀라운 것은 탑은 5.44도 이상 기울게 되면 넘어가게 되었는데 피사의 사탑은 5.5도나 기울어져 있었다. 이리하여 불가사의 하다는 것입니다. 1990년대 피사 대책 위원회가 발족되어 세계 각처에서 여러 가지 제안이 들어왔다 10년간 25만불을 쓰며 여러 가지 시도를 해봤지만 시간과 돈만 낭비하는 꼴이 되어버렸다. 처음 시도한 납덩어리는 결과는 나쁘지 않지만 보기가 흉해 결국 잡덩어리를 철거햇다. 불편한 것은 참아도 아름답지 않은 것은 못보는 이탈리아 사람들의 불평이 너무 컸기 때문이다. 다음은 사탑 밑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지하에 중심추를 달자는 것인데 지하수가 문제였다. 결국 땅을 얼려 지반을 단단히 한 후 땅에 케이블을 심으려는 의도는 언제인지 정확하지 않으나 피사의 밑단에 이미 설치해져 있던 밑단을 땅이 얼며 자극하여 기울기가 더해졌다.
★ 마지막 피사의 사탑 대책!!
작업한지 5개월만에 탑은 북쪽으로 0.5인치 움직였다. 이런 공사 과정을 거쳐 1990년 안전상의 문제로 공개가 금지되었던 피사의 탑은 2001년 6월 16일 10년 만의 작업을 마치고 일반인에게 공개되었습니다. 현재 기울기는 5도 정도입니다. 피사의 사탑을 보고 옛날에는 지반의 상태를 확일 할수 있는 장비가 없었기 때문에 탑이 기울어 지면 평행을 맞추기 위해 반대방향을 무게를 더 올리거나 다른방법을 택했던 것 같습니다. 현대에 이르러 지반을 확인할 장비 및 건축 장비의 발달로 인해 흙추출이라는 방법을 통해서 올라간 부분의 흙을 빼내어 기운 탑을 조금만 기울게 만들게 되었습니다. 아마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사람들이 고민하였을 것입니다. 흙추출 이라는 대책을 통해 하나의 문화 유산을 지켜낼수 있었습니다. 만약 제가 대책을 생각 했었더라면 지반에 철근을 밖아서 지반을 튼튼하게만 만들려고 생각했었을 것입니다. 아니면 케이블을 이용하여 고정 시킬 생각만 하였을 것입니다. 그래도 훌륭한 대책이 나와 사탑을 지킨것에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 됩니다.
2. 직접기초의 파괴사례를 조사하고 의견을 피력하세요.
*직접기초의 개요
직접기초(Direct Foundation)는 상부구조로부터의 하중을 직접 지반에 전달시키는 기초를 말하며, 통상적으로 얕은 기초(Shallow Foundation)이라고도 부른다.
직접기초는 대부분 깊이(Df)와 폭(B)의 비(Df/B)가 1∼4의 범위에 들며, 확대기초(Spread Foundation)와 전면기초(Mat Foundation)로 분류된다.
*직접기초의 성립조건
직접기초가 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구조물하중에 대해서 지반의 지지력이 충분해야 한다.
구조물과 지반 전체가 안정되어야 한다(사면에 있는 구조물 등)
침하량이 구조물의 용도에 대한 허용치 이내이어야 한다.
구조물에 의한 수평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직접기초의 지지층 및 파괴유형
(1) 직접기초의 지지층
직접기초는 측면마찰력을 거의 기대할 수 없으므로 양질의 지지층에 직접 지지시켜야 하며, 일반적인 지지층은 절대적인 기준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에서 작용되는 하중과 지반의 지지력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신선한 암반뿐만 아니라 풍화암, 풍화토, N값이 약30 이상의 사력층 및 사질토층, 그리고 N값이 약 20 이상인 점성토층으로 충분한 층 두께를 갖는 지반이 지지층이 될 수 있다.(도로교 설계기준 해설 (하부구조, 2001))
(2) 직접기초의 파괴유형
직접기초의 파괴는 토사지반의 경우와 암반지반의 경우가 서로 다르며, 토사지반의 경우에는 주로 지지력의 부족에 의한 파괴가 발생되나, 암반의 경우는 지지력에 대한 안정성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흔치않으나, 암반의 풍화 및 절리의 정도에 따라 진행성 파괴가 발생되기도 한다.
직접기초의 파괴사례를 찾아보았지만 인터넷에 안나와있어 기본 개념만 정리해 보았습니다.
사례를 찾은뒤 저의 의견을 적었어야 했으나 그러지 못한 점 죄송합니다.
  • 가격4,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01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47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