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953년 3월 5일 스탈린의 사망 이후 소련은 권력승계 과도기를 맞는다. 공산당 서기장직과 수상직을 겸임한 말렌코프, 내무인민위원회 수장인 베리야, 그리고 외무장관 몰로토프를 정점으로 하는 집단지도 체제가 성립되는 듯이 보였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말렌코프가 당 서기직을 사임하고 대신 흐루시초프가 공산당 제1서기가 되었다. 베리야는 반역과 음모의 이름 하에 추종자들과 함께 체포되어 처형되고, 말렌코프가 수상직을 사임함에 따라서 흐루시초프의 정치적 입지는 확고해진다. 1958년 수상직까지 겸하여 막강한 권력을 장악한 흐루시초프는 1964년까지 소련을 통치하였다.
추천자료
주변국과 북한의 대외관계
조선로동당의 북한 통치체계에 대한 연구
동북아 국제정치에 대한 완벽분석
공공행정에 있어서 행정결정과정의 문제점
북한 핵문제에 대한 북미협상과 문제점 및 비판적 시각
레포트_정치학(탈냉전 시기 북한의 국가전략)
빌프레도 파레토의 생애와 이론
[6.15남북정상회담][남북관계]6.15남북정상회담의 성사배경, 의의, 6.15남북정상회담과 국가...
중국의 통일과 양안관계
국제통화제도를_역사적으로_비평하고_새로운_방향을_제시하라
북한 유일체제, 외교전략, 자립적 경제건설노선, 7.1경제관리개선조치
소비자 교육정보
자유주의의 상호의존모델 - 상호의존학파의 등장, 상호의존의 개념정의, 상호의존모델의 내용
북한정치와사회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