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SCI[척수손상]의 합병증 및 배뇨의 문제와 관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 SCI[척수손상]의 합병증 및 배뇨의 문제와 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 있습니다. 치료로 가장 좋은 방법은 손가락을 이용하여 막힌 변을 제거하여 주는 것입니다. 어떤 환자들에서는 항문 괄약근의 작용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관장약이 흘러나와버려 관장의 효과가 별로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설사, 구역, 식욕 부진 등을 나타내는 경우 복부 방사선 사진을 찍어 보면 대장 전체에 변이 꽉 차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만약 환자가 견딜 수 있다면 직장 부위의 변을 손가락으로 제거한 후 미네랄 오일을 수일간 투여한 후 완화제 약물을 처방하면 변을 배출하여 이러한 증상이 완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미네랄 오일이나 관장약을 오랫동안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치질은 척수 손상 후에 흔히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치질이 발생하는 원인들로는 운동부족, 설사약 과다 사용, 비만, 관장 프로그램 동안에 항문 자극, 그리고 만성적으로 복압이 증가한 상태 등입니다. 대부분의 치질은 스테로이드 계통의 바르는 약으로 치료될 수 있습니다.
2. 방광의 문제와 관리
(1)정상 빙광의 조절
①자율체계
-부교감신경성 지배 => S2~4에 있는 천구구획 신경세포부터 기시, 배뇨근의 수축
-교감신경성 지배 => T11부터 L1사이에서 일어나 지베, 배뇨근의 이완
②체성체계
-외요도괄약근과 부요도골반저 근육 => 횡문근섬유들로 구성, S2~4 천수구획으로 부터 체성지배를 받음, 음부신경을 통해 근위부 요도 외요도괄약근 요 생식 격막 지배
- 외음신경 => 음부신경총의 한가지, S2~4에서 나와 외괄약근과 골반저 근육의 운동 및 감각지배
③배뇨와 관계있는 반사들
-방광에 소변이 모이면 교감성 긴장 우세로 배뇨근이 이완되어 방광내 소변이 낮 은 압력 유지
-방광내 소변이 한계용량에 이르면 자동성자극이 방광에 도달되어 교감성 억제가 중단되고 부교감성 자극이 배뇨근을 수축시켜 긴장 증가시켜 방광내 압력이 증가 된다
-방광의 한계용량 : 약400ml~450ml 정도
-방광내 압력증가 : 방광벽내의 신장감수기가 활성되어 배뇨반사를 유발
-배뇨근 수축은 방광내 신장감수기의 활성화를 촉진
-배뇨반사는 곧 피로를 일으켜 방광은 이전의 이완상태로 되돌아감
(2) 척수 손상에 따른 방광기능
-척수 손상 : 방광의 수의적 조절이 상실, 반사성 조절에 혼란
-손상 후 방광기능을 결정하는 핵심 : 천수반사궁의 정상여부
-손상 부위가 높을 때 : 천수의 기능 유지로 천수반사궁도 정상
-천수의 기능이 붕괴시 : 천수반사궁의 기능이 붕괴
-척수손상 혼자의 방광 조절을 결정하는 요소 : 병변의 수준이 아니고 천수반사궁 의 완전성에 있음
(3)신경인성 방광 장애의 분류
-S1 그 이상 부위 신경 : 반사성 방광
-S2~4 그 이하 손상, 그 이하 손상 : 이완성 무반사성 방광
①경련성 신경인성 방광
-상운동 신경원 병변시 발생
-배뇨근의 지나친 수축으로 방광용적 감소 =>방광 내압 상승
-외괄약근의 경련 : 배뇨근의 비후나 방광벽의 비후시
-척수의 완전 병변시 : 방광내압 상승을 느끼지 못하여 배뇨장애
②이완성 신경인성 방광
-하운동 신경원 병변시 발생
-방광근의 지나친 이완으로 오줌이 차면 방광이 계속 확장
-회음근과 외괄약근의 긴장감소 : 완전한 방광 수축불능
-골반저근 이완 : 요실금의 원인
-방광확장으로 방광용적 증대 => 방광 내압 하락
③경증의 견련성 신경인성
-경련성 방광의 약증, 척수신경의 동맥강화성 변성
-배뇨반사 기전은 정상 : 대뇌의 억제작용이 약해지거나 상실되어 배뇨반사를 잘 통제하지 못한 결과로써 일어난 것이기 때문
-방광내압의 감지기전이나 소변배출은 정상적음
(4) 방광관리
①척수 충격의 시기의 방광관리
-이완성 방광의 상태
-방광의 자율적 긴장 보존이 중요
-도뇨관 이용으로 일정한 시간마다 배뇨시킴
②인위적 배뇨에 의한 방광관리
-주기적 배뇨법 : 도뇨관을 막아 방광에 소변이 차게 한 다음 도뇨관을 열어 방광 을 비우는 방법, 방광벽의 자극과 요로에 누공 형성
-간헐적 도뇨법
-도뇨관의 교환이나 세척은 완전히 멸균된 상태
-알카리성 방광염이나 가피형성
-혈뇨가 있으면 세척을 중지
③하반신 마비 환자의 방광관리
-손상 후 2년 이내에 요로에 결석형성
-침상에서 적당한 운동으로 요율체 방지
-발병 후 2년 이내에는 3개월 간격으로 방사선 촬영을 통하여 검사
-방광침범 병원균
④합병증
-상부요로 합병증 : 신우신염, 결석, 신수종 등
-하부요로 합병증 : 말초감염이나 누공 등
신우신염, 결석형성, 신수종, 역류발생, 외과적 교정으로 발생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04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4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