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Ataxia [운동실조]에 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 Ataxia [운동실조]에 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40세에 발병하며, 다리에서 시작하여
팔, 얼굴, 연하근, 언어근으로 파급되는 운동장애, 안구운동근마비 및 시신경위축 등을 특징으로 한다.
26) sensory Ataxia(감각성운동실조)
- 운동 성대뇌피질과 말초신경 사이의 고유수용 즉 관절위치감의 상실에 의한 운동실조증.
27) spinocerebellar Ataxia(척수소뇌성운동실조)
- 척수소뇌로의 퇴행병변에 의하여 일어나는 유전성 소뇌성 운동실조.
28) Ataxia-telangiectasia(모세혈관확장성운동실조증)
- 눈, 피부 모세혈관확장증과 반복되는 호흡기도감염증을 수반하는 폐질환과 이상한 눈 운동을 수반하는 유전성의 진행성 소뇌성운동실조증. 이것은 상염색체성 열성유전으로 전달되는 질환으로서 보통 걸음걸이를 배우려는 어린아이에게 나타난다. 또한 가끔 면역결핍성과 관련이 있다.
29) thermal Ataxia(체온실조)
- 체온의 현저한 또한 모순된 동요를 특징으로 한 상태.
30) truncal Ataxia(구간운동실조증)
- 구간부근육의 운동실조증.
31) vasomotor Ataxia(맥관운동실조)
- 혈관 운동신경 또는 혈관운동중추의 장애에 의한 혈관의 이완과 수축.
3. Ataxic gait (실조성 보행)
1) 소뇌성 운동실조보행
- 마치 파도에 마구 흔들리는 배의 갑판에서 넘어지지 않으려고 노력하면서 걷고 있는 모습을 보임. 즉 몸통 전체가 흔들리며 보폭은 넓고 상지의
흔들림은 없으며 보장이 매우 짧고, 일측 하지의 지면 접지가 일어난 후
균형을 잡기 위하여 체간이 흔들린 후 어느 정도 균형을 다시 이룬 후 다른 쪽 하지가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몸의 균형의 잡기 위하여 비교적 보폭을 넓게 잡는다. 환자는 일직선상을 걸을 수 없으며 특히 병변이 소뇌 편측에 있을 경우에는 병변이 있는 쪽으로 향하게 된다.
2) 척추성 운동실조보행
- 감각 신경성 운동 실조 보행이라고도 하며, 위치감각, 운동 감각 등 소위 고유 수용 감각 전달 체계의 이상이 있을 때 나타난다. 그러므로 말초 감각 신경의 병변으로도 올 수 있지만 척수의 후각의 병변에서 주로 보게 되며 임상적으로 척수로, 다발성 경화증 등에서 나타난다. 소뇌성 운동실조보행 때와 다른 점은 환자는 눈을 감으면 보행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머리를
숙이고 지면과 발을 보면서 걷게 된다. 유각기 말에 앞으로 나아가던 발을 갑자기 잡아당기게 되고 지면에 접지 할 곳 위에서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입각기의 시작 때 발뒤축으로 접지하게 되며, 발뒤축이 지면에 닿으면서
이중 발자국 소리를 내게 된다.
참고 자료
김진호, 한태륜. 재활의학. 군자출판사. 1997.
민경옥, 김순희. 질환별 물리치료. 대학서림. 1997.
신문균, 김본원외 4명 공저. 임상 신경해부학. 현문사. 1999.
김종만. 물리,작업치료사를 위한 신경해부생리학. 정담. 1996.
David j. Magee저. 정형물리치료진단학. 현문사. 1998.
Stephen G. Waxman. 증례를 통한 임상신경해부학. 한우리. 1998.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7.04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4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