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그리고 한번 걸러진 수돗물의 실험을 통해 채취한 원 액과 여과된 여과물을 탁도계에서 각각의 탁도를 검사한다.
5. 실험 결과
분리막 종류
UF:Ultrafiltration Membrane
분리막 면적
0.1
원액 종류
수돗물, 연못물
■수돗물
운전시간
투과유량
투과 Flux
제거율
기압
min
ml/min
L/m2*hr
원액탁도
투과액탁도
제거율%
원액COD
투과액COD
제거율%
2
1
320
192
3.69
0.499
86.477
8
5
37.5
4
1
575
345
3.69
0.374
89.864
8
5
37.5
6
1
700
420
3.69
0.286
92.249
8
5
37.5
■붕어방 연못물
운전시간
투과유량
투과 Flux
제거율
기압
min
ml/min
L/m2*hr
원액탁도
투과액탁도
제거율%
원액COD
투과액COD
제거율%
2
1
265
159
3.76
1.96
47.872
12
8
33
4
1
460
276
3.76
1.74
53.723
12
8
33
6
1
575
345
3.76
1.55
58.777
12
8
33
■한번거른 수돗물
운전시간
투과유량
투과 Flux
제거율
기압
min
ml/min
L/m2*hr
원액탁도
투과액탁도
제거율%
원액COD
투과액COD
제거율%
2
1
240
144
3.76
0.389
89.654
8
6
25
4
1
475
285
3.76
0.260
93.085
8
6
25
6
1
525
315
3.76
0.197
94.761
8
6
25
※ 계산식
ex)수돗물 2기압일때의 투과 Flux =
탁도 제거율% =
COD 제거율% =
6. 고찰
①역삼투 공정을 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한외여과 공정과 비교, 분석을 할 수가 없다.
②붕어방 연못물의 한외여과 제거율이 생각보다 낮은 수치로 나와 역삼투공정의 필요 성을 느꼈고 또한 반영구성의 멤브레인 필터의 노후로서 생각된다.
③한외여과 주입부의 펌프 노후로 인한 누수와 필터 입구 배관 등 누수로 인한 유량의 변화로 인해 오차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④원액과 여과액의 COD 구분이 힘들었다. 빠른 시간 내에 COD 측정의 간편함이 있지 만 정확하지 못하며 필터 노후로 인해 필터로서의 효율이 떨어진거 같다.
⑤탁도계를 이용한 탁도 측정시 이물질이 가라 앉아 정확한 탁도 측정을 할수 없는 것 이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⑥실험을 통하여 실제 공정에서의 막분리법(막여과법)의 종류와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 할 수 있게 되었다.
5. 실험 결과
분리막 종류
UF:Ultrafiltration Membrane
분리막 면적
0.1
원액 종류
수돗물, 연못물
■수돗물
운전시간
투과유량
투과 Flux
제거율
기압
min
ml/min
L/m2*hr
원액탁도
투과액탁도
제거율%
원액COD
투과액COD
제거율%
2
1
320
192
3.69
0.499
86.477
8
5
37.5
4
1
575
345
3.69
0.374
89.864
8
5
37.5
6
1
700
420
3.69
0.286
92.249
8
5
37.5
■붕어방 연못물
운전시간
투과유량
투과 Flux
제거율
기압
min
ml/min
L/m2*hr
원액탁도
투과액탁도
제거율%
원액COD
투과액COD
제거율%
2
1
265
159
3.76
1.96
47.872
12
8
33
4
1
460
276
3.76
1.74
53.723
12
8
33
6
1
575
345
3.76
1.55
58.777
12
8
33
■한번거른 수돗물
운전시간
투과유량
투과 Flux
제거율
기압
min
ml/min
L/m2*hr
원액탁도
투과액탁도
제거율%
원액COD
투과액COD
제거율%
2
1
240
144
3.76
0.389
89.654
8
6
25
4
1
475
285
3.76
0.260
93.085
8
6
25
6
1
525
315
3.76
0.197
94.761
8
6
25
※ 계산식
ex)수돗물 2기압일때의 투과 Flux =
탁도 제거율% =
COD 제거율% =
6. 고찰
①역삼투 공정을 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한외여과 공정과 비교, 분석을 할 수가 없다.
②붕어방 연못물의 한외여과 제거율이 생각보다 낮은 수치로 나와 역삼투공정의 필요 성을 느꼈고 또한 반영구성의 멤브레인 필터의 노후로서 생각된다.
③한외여과 주입부의 펌프 노후로 인한 누수와 필터 입구 배관 등 누수로 인한 유량의 변화로 인해 오차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④원액과 여과액의 COD 구분이 힘들었다. 빠른 시간 내에 COD 측정의 간편함이 있지 만 정확하지 못하며 필터 노후로 인해 필터로서의 효율이 떨어진거 같다.
⑤탁도계를 이용한 탁도 측정시 이물질이 가라 앉아 정확한 탁도 측정을 할수 없는 것 이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⑥실험을 통하여 실제 공정에서의 막분리법(막여과법)의 종류와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 할 수 있게 되었다.
추천자료
초산에틸의 합성(에스테르화 반응) 실험 결과레포트
[예비][발표] 실험 2. 용해도 및 분별 결정
Isolation of an Alkaloid;Caffeine - 카페인 추출 실험
[유기화학] 에스테르 향료(Isoamyl acetate Synthesis) 합성 실험(예비+결과레포트)
[유기화학] 재결정과 용해도(Recrystallization&Solubility) 실험(예비+결과레포트)
[유기화학] 알돌 축합(Aldol Condensation) 실험(예비+결과 레포트)
토질역학실험-압밀실험
[결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막분리
능동 여파기 (Active Filter) 실험 보고서
부유물질 (SS : Suspended Solids) 측정 실험 ( 고형물, 부유물질, 층고형물, 휘발성부유물질...
일반생물학 - 양파 표피세포 관찰 - 실험목적 : 양파 표피세포와 인간 구강상피세포 구조 관...
초사자 : 반추동물 사료 관점에서 식물체 중 비교적 소화가 잘 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성분...
[수질오염요소설계] 하수처리장 SVI30 계면침강 실험 및 F/M비 (결과보고서)
SS(Suspended solids) 부유물질 실험 - 상하수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