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치료] 소아의 질환별 물리치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형외과학과 외상
1)상지의 선천성기형
-선천성 상위 견갑골
-사경

2)하지의 선천성 기형
-선천성 고관절 탈구
-내반고
-하지염전
-선천성 내반첨족

2. 호흡
1)낭포성 섬유증
2)천식

3. 심장
-류마티스열

4. 신경학
1)뇌성마비
2)이분척추

5. 류마티스학
-연소자 만성 다발성 관절염

본문내용

1-1. 상지의 선천성 기형

선천성 상위 견갑골
정의
- 한쪽, 때론 양쪽 견갑골이 정상보다 흉추벽에서 상방으로 전위되어 나타나는 기형이다.
원인
① 주로 태생기 견갑골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실패가 원인
- 견갑골의 분화 : 태생 5주에 제 C4-C6사이
- 견갑골의 하행 : 태생 9~12주에 T2-T7 사이로 내려온다.
② 극히 일부의 예 에서 상염색체 우성 유전에 의해 유전 되기도 함

.
.
.

임상양상
① 양측성 < 편측성 , 우측 < 좌측
② 남아보다 여아가 3~4배 정도 더 호발
③ 편측성 기형일 경우 보통 흉추 부위에 척추 측만증을 동반, 이때 만곡의 철면(convexity)은 견갑골이 올라간 쪽을 향한다.
④ 양측성일 경우에는 양쪽 어깨가 모두 올라가고 하부 경추와 흉추가 돌출된다.
⑤ 견갑골은 관상면에서 회전하여 내측 상각(upper angle)은 척추로부터 멀어지며 하각(lower angle)은 척추와 가까워진다.
⑥ 견갑골과 흉곽 사이 섬유성 유착 의하여 견갑-흉곽 운동이 제한되어 견관절의 전체 외전 운동이 감소된다.
⑦ 견갑 주위 근육의 발육 부전 : 주로 승모근, 능형근, 견갑거근, 전거근
  • 가격3,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13.07.05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8555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