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신종인플루엔자 A [H1N1]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 신종인플루엔자 A [H1N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바이러스의 전파
신종인플루엔자 A(H1N1)의 전파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중이지만, 현재까지는 기존의 계절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전파방법과 유사함

계절인플루엔자는 비말감염을 통해 주로 사람 대 사람으로 전파됨

- 예를 들어, 감염된 사람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가까운 거리에 전파되는 비말감염의 경우,
비말은 공기 중에 퍼지 지 않고 가까운 거리(2m이내, 6 feet)로만 이동함

신종인플루엔자 A(H1N1) 전파 데이터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안구감염, 결막염 혹은 위장감염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음 이 바이러스는 감염자와 가까운 접촉자 사이의 전파가 일반적임
잠복기
잠복기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1~7일 사이로 추정되고 있음
임상증상
신종인플루엔자 A(H1N1) 확진환자는 발열, 오한, 두통, 상기도증상(기침, 인후통, 콧물, 호흡곤란), 근육통, 관절통, 피로감, 구토 혹은 설사를 보였음.

- 미국에서 발생한 64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발열(94%), 기침(92%), 인후통(66%)을 보였음
합병증
신종인플루엔자 A(H1N1)의 합병증에 대해서는 아직 자료가 불충분하지만, 예전 돼지인플루엔자(swine influenza) 환자를 보면 가벼운 호흡기질환에서 하기도증상, 탈수 혹은 폐렴, 급성호흡부전까지 증상을 보였으며 종종 사망까지도 일으킬 수 있음
전염기
신종인플루엔자 A(H1N1)의 전염기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추정된 전염기는 계절인플루엔자 감염에 근거함.

감염된 사람은 증상발생 하루 전부터 증상이 소멸될 때까지 전염력이 있을 것으로 봄(보통 증상발생 하루 전부터 증상발생 후 7일까지)

- 어린이의 경우 특히 10일 이상 전염기를 가질 수 있음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3.07.05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8556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