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dysphasia [연하곤란]에 관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 dysphasia [연하곤란]에 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인두 통과 시간이 감 소된 환자에게 좋음
* faucial arches를 지나 인두에 도달하는 것을 느리게 하여 삼킴 반응을 일으키도록 함. 왜냐 하면 bolus를 형성하지 않아서 구강 운동 조절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회 제공
* 환자의 구강을 통한 음식물 섭취를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기에 가 장 좋음.
* 가능하면 빨리 다음 단계로 발전시킴
- 2단계 : 응집되어 bolus 형성이 가능할 정도의 응집력 있는 부드러운 음식 → 기도 속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적음 -
* 회전 씹기 시작, 인두 쪽으로 음식물이 나아가기 위해 혀를 충분히 조절 할 수 있고 삼킴이 최소한으로 지연되는 환자
* 기계적으로 만든 부드러운 음식은 삼킴 반응의 시작에 영향을 주는 근육 운동과 감각 모두의 손실을 지닌 환자에게 aspiration의 위험을 줄여 주 며 입안 전체에 고유수용성 감각 자극 증가
* 부스러져서 기도에 유입되기 보다는 응집된 bolus로 남음. 왜냐 하면 혀 의 조절이 향상되어 혀의 뒷부분이 경구개 쪽으로 들어 올려짐으로써 삼 킴 반응이 빨리 일어남
- 3단계 : 잘라진 음식들로 씹기, bolus 형태의 음식을 조절하는 능력과 원활한 삼킴을 필요로 함 -
* 음식은 농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고기류는 삼킴 작용 조절을 촉진하기 위 해 세밀하게 잘게 잘라짐.
* 완전한 삼킴 반응과 턱과 혀의 조절에 최소의 문제점을 가진 환자
* 피로해 질 때만 삼킴 반응의 지연에 대한 관여 필요
- 환자는 치료사와 함께 먼저 어려운 음식의 항목을 식사하고 그런 다음 에 쉬운 음식의 식사 지속
- 구강 운동 조절 기능의 최소한의 제한, 씹기가 되며, 어떤 농도의 음식 이라도 bolus 형성이 가능하고 이것을 뒤쪽 faucial arches로 보낼 수 있다면 일반적으로 진전시킴. 때때로 기침은 하지만 어떤 농도의 음료 나 음식도 삼킬 수 있어야함.
- 생야채, 질긴 음식, 견과나 씨앗을 포함한 음식은 피함.
- 유동식
① 걸죽한 유동식
: 삼킴이 현저하게 지연되는 환자. faucial arches를 느리게 통과해 삼킴 반응이 일어날 시간을 줌.
② 약간 걸죽한 유동식 : 삼킴 지연이 중등도인 3~5초 정도 걸리는 환자 에게 사용
③ 묽은 유동식 : 유동식 단계에서 제일 높으며 정상적인 삼킴 필요
☞금기
음식☜
① 야채 스프나 샐러드 같은 다양한 질감의 음식
② 섬유질이 많고 질긴 야채류, 고기류, 과일류
③ 푸석푸석하고 부서지는 음식
④ 아스크림과 젤라틴 같이 녹는 음식
⑤ 씨와 껍질이 있는 음식
⑥ 양상추, 파슬리, 오렌지를 곁들인 음식은 혼란이 있는 환자들에게
안전하지 못하므로 피함.
☞재활
치료적 접근☜
※ Mendelson Maneuver(멘델슨 삼키기 방법)
1. 삼킬 때, 손을 목에 대고 후두가 올라가는 것과 꽉 조여지는 느낌이 드 는 것을 확인
2. 소량의 물을(찻숟가락 1/3정도) 입에 넣고 삼킨다. 삼킬 때, 위에서와 같이 후두가 올라간 시점에서, 후두를 꽉 조이듯이 하고 그 상태로 2초 정도 유지한다. 이 때, 손가락으로 후 두가 올라가는 것을 아래로부터 밀어주듯이 하여 도우면 더욱 효과적이다.
3. 2초 후 원상태로 돌아와 긴장을 푼다.
4. 위의 과정을 하루에 3-4차례 되풀이한다.
※ supraglottic swallow(기도폐쇄법)
1. 숨을 들이 쉰다.
2, 들이 쉰 상태에서 숨을 멈춘다.
3. 숨을 멈춘 상태를 유지하며 삼킨다.(만약, Trach-tube를 하고 있다면 tube 끝을 막는다)
4. 삼킨 후, 숨을 내쉬기 전에 기침을 한다.
5. 위의 과정을 되풀이 한다.
※ super supraglottic swallow(특수기도폐쇄법)
1. 숨을 들이 쉰다.
2. 숨을 최대한 들이 쉰 상태에서 숨을 멈추고 아래로 누르듯이 하면서 가슴에 단단히 힘을 준다. 이 때, 두 팔로 의자를 누르거나 당기면 더욱 효과적이다.
3. 위와 같이 숨을 멈춘 상태에서 삼킨다.
4. 삼킨 후, 숨을 내쉬기 전에 기침을 한다.
5. 위의 과정을 하루에 3~4회 되풀이한다.
※Thermal Tactile Stimulation(냉-촉각 자극법)
1. 목이 긴 찻숟가락(혹은 면봉)을 얼음이 당긴 컵에 담근다.
2. 그림에 표시 된 부위를 찻숟가락의 뒷면으로 마사지한다. 한 쪽 마사지(4회) - 다시 얼음 에 담갔다가 - 다른 쪽 마사지(4회)
3. 양쪽의 마사지가 끝나자마자 “삼키세요”라고 말하고 입에 고인 침이나 물기를 삼킴
4. 위의 과정을 하루에 3~4회 되풀이한다.
※ The Effort Swallow(과장되게 삼키기)
1. 평상시와 같이 삼키되, 혀와 목구멍을 단단히 조이는 듯이 하며 삼킨다.
2. 이렇게 단단히 조일 때, 목의 근육이 긴장되는 것을 외부에서도 볼 수 있다.
3. 이 방법을 고개를 숙이는 것과 병행하여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 Vocal Cord Adduction Exercises(성문폐쇄 연습)
1. 두 팔로 의자를 누르면서 몸을 약간 들어 올리듯이 하고 “아-”를 가능한 한 크게 높이가 같도록 하여 몇 초 동안 지속한다. 10회 반복한다.
2. 두 팔로 의자를 당기면서 가능한 한 크고 일정한 소리로 “아-”하는 발성을 몇 초간 지속 한다. 10회 반복한다.
3. 숨을 깊이 들이 쉰 상태에서 숨을 멈추고 아래로 누르듯이 하면서 가슴에 힘을 준다. “아 -”하고 크고 또렷하게 몇 초간 발성을 지속한다. 10회 반복한다.
4. “아, 아, 아”하고 짧은 발성을 가능한 한 크고 또렷하게 한다. 10회 반복한다.
5. 목의 근육에 단단히 힘을 준 상태에서 “아, 아, 아”하고 가능한 한 크고 또렷하게 발성한 다. 10회 반복한다.
6. 고개를 ( )쪽으로 돌린 상태에서 “아, 아, 아”하고 가능한 한 크고 또렷하게 발성한다. 10 회 반복한다.
7. 숨을 크게 들이 쉰다. 그 상태에서 숨을 멈추고 크게 기침한다. 10회 반복한다.
☞급성 aspiration의 증상 ☜
얼굴색의 변화. 특히 기도가 막혔을 때
길게 기침함.
가래가 낀 목소리, 심호흡, 목소리를 내지 못함.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05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